공유수면 매립지 내 가로경관 개선 방안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해운대 머린시티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reetscape in Landfill of Public Water Surface and Its Evaluation (Focusing of Marine City in Haeundae)

  • 김종구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투고 : 2010.02.03
  • 심사 : 2010.02.24
  • 발행 : 2010.04.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유수면 매립지에 조성되는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현재 조성된 가로경관의 현황을 분석, 문제점을 도출하여 가로경관의 구성요소에 의하여 제어된 시뮬레이션과 인자분석을 통하여 보다 개선되고 변화된 가로경관 계획을 모색코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부산광역시 해운대 마린시티를 대상으로 한다. 현재의 마린시티 가로경관을 분석한 결과 주요 문제점은 해안변이라는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비연속적인 가로 공간 구성, 해안도로변 보 차 혼용도로로 인한 통행의 불편함과 안전상의 문제, 보행자를 위한 스트리트 퍼니처 요소 부족, 그리고 무질서한 옥외광고물 사용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린시티 가로경관의 문제 원인을 가로구성요소의 부족과 부조화, 비연속성 등에 두고 선별된 가로구성요소들을 적용시킨 시뮬레이션과 요인분석 및 평가를 통하여 공통적인 의미를 가진 주요 인자를 추출하여 보았다. 가로경관 요인분석 및 평가 결과 "스트리트 퍼니처", "주변과 조화로운 가로경관", "자연적 개방감을 지닌 가로경관", "동적인 심볼성을 지닌 가로경관" 요인 순으로 추출되었다. 향후 가로경관 계획 시 스트리트 퍼니처의 적절한 배치 계획과 주변과 조화를 이루면서 개방적, 연속성을 가진 심볼성 가로경관 계획에 더 중점을 두어 마린시티만의 정체성에 더욱 적합한 변화된 가로경관 계획수립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out changed and improved streetscape through the simulation using components of streetscape abstracted by factor analysis after analyzing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streetscape for housing developments prepared on publis water surface. An analysis object is located in Haeundae Marine City in Busan.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streetscape of marine city at present, I could see that main problems were discontinuous street space that did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seashore, uncomfortable and insecure passage owing to coexistence street at seashore, insufficient street facilities for pedestrians, and disordered outdoor signboards. Therefore, I put the causal problems of marine city's streetscape in the insufficient street components, disharmony, and discontinuity so analysed the simulation elements applying selected street components and evaluated them to deduce demand factors having common meaning. As the result, the common demand factors were 'street furniture', 'harmonious streetscape with surrounding', 'landscape with natural openness', and 'landscape with dynamic symbol' in the order. So it needs to stress on a plan for proper arrangement of 'street facilities' and symbolic streetscape having continuity and harmony with surrounding so that the plan can proceed more properly for marine city's ident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종구(2001), "가로경관의 선호도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36권 제6호, pp.251-257.
  2. 김종구(2000), "다차원척도법에 의한 가로경관의 평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제35권 제3호, pp.141-151.
  3. 송대호(1998), "건축물의 형태분석을 통한 도시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4권 2호, pp.217-229.
  4. 정태일(2003), "우리나라 경관관련 법.제도 및 계획 속에 나타난 경관유형과 제어요소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권 10호 pp.111-120.
  5. 김선숙(2002), 지구단위계획 측면에서 본 도시가로경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상희(2004), 가로경관의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걷고 싶은 거리- 돈화문로를 대상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우림(2004),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있어서의 경관계획수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심종혁(2002), 가로환경의 만족도 분석을 통한 경관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김해시 가락로의 가로변건축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득영(2004), 걷고싶은 거리의 보행환경분석에 관한 연구 -홍대앞 걷고 싶은 거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미하(2006), 역사지구의 가로경관개선에 관한 연구 -북촌의 가로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