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투자사업 평가의 적정 사회적할인율 추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Estimation of the Appropriate Social Discount Rate for Evaluating Public Investment Project

  • 장병철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손의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오미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투고 : 2009.12.10
  • 심사 : 2010.03.24
  • 발행 : 2010.04.28

초록

공공투자사업평가 시 사회적할인율의 높고 낮음에 따라 비용 편익분석의 결과가 상이하다는 점에서 적정 수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리고 사회적할인율의 개념을 무엇으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많은 논란과 연구가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할인율의 개념을 크게 세 가지 사회적 시간선호율, 사회적 투자수익률 그리고 이 둘을 가중평균 한 값으로 구분하였다. 추정방법으로는 사회적 시간선호율의 경우 소비이자율과 Pearce and Ulph식을 사용하였고, 사회적 투자수익률은 민간 총 자본 수익률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가중평균은 투자의 잠재가격을 이용한 Squire, L., Herman G. van der Tak식과 공공투자와 대치되는 민간투자와 민간 소비지출비율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점의 사회적할인율을 추정하기 위해 연대구분을 1990년대, 2000년~2003년, 2004년~2008년으로 각각 구분한 후, 과거 한국개발연구원에서 제시된 1999년 7.5%, 2004년 6.5%, 그리고 2007년~현재 5.5%와 각각 비교하였다. 추정결과는 1990년대 6.6~10.7%, 2000년~2003년 4.0~7.0%, 2004년~2008년 2.4~3.9%로 각각 추정되었다. 현재 공공투자 사업평가에 사용되고 있는 사회적할인율 5.5%는 본 연구의 추정결과 보다 약1.6~3.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MF이후 급격하게 하락한 소비이자율은 계속적으로 낮아지고 있고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투자 사업의 목적인 현 세대부터 장래세대까지 모두를 고려한 사회적 자원의 재분배를 실현시키기 위해 선 현재의 사회적할인율은 점차 하향조정할 필요가 있다.

When the cost-benefit analysis is applied for social discount rate(SDR), the choice of SDR to be used in analysis is critical. One of the important issues when public investment project evaluate what is the SDR theory, so there have studied about SDR and no exact answer it so far. In this study, there are three of SDR theories that be estimated social time preference rate, social investment returns and the weighted average method from 1990s, 2000 to 2003 and 2004 to 2008.. First, social time preference method computes consumer's interest rate and the model of Pearce and Ulph(1999). Second, social investment returns method computes private returns of capital. Third, the weighted average method computes the model of Squire, L., Herman G. van der Tak(1975) and private consumption expense and the private investment expense. SDR is estimated in the rage between 2.4% and 3.9% from 2004 to 2008. It is not appropriate that the interest rate was unstable. But it is consider for social equity from present to future generations. Considering this things, downward need to the value of current SDR 5.5%.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준영(1996), 한국의 총자본스톡: 민간 및 정부자본스톡체계, 한국경제연구원.
  2. 김동건(1997), 비용 편익 분석, 박영사, pp.129-153.
  3. 옥동석(2000), 실용적인 사회적 할인율: 개념과 적용상 쟁점, 한국공공경제학회, pp137-166.
  4. 최도성(1998), 공공투자사업의 할인율 분석, 한국교통개발연구원.
  5. 한국개발연구원(199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연구 개정판.
  6. 한국개발연구원,(200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연구 제 4판.
  7. 한국은행, 경제통계연보, 각 연도.
  8. 하헌구․조희덕(1999), 교통투자사업의 사회적 할인율 추정, 한국교통개발연구원.
  9. Baumol, W. J.(1968), "On the Social Rate of Discount", American Economic Review 58, pp.788-802.
  10. Brent, R.J.(1994), "Applied Cost-Benefit Analysis Brookfield", VT: Edward Elgar.
  11. Broome, J.(1991), "Counting the Cost of Global Warming", White Horse Press, Cambridge.
  12. Burgess, David F.(1982), "The Impact of Foreign Trade Distortions on the Social Discount Rate", Canadian Journal of Economi Review.
  13. Cline, W.R.(1992), "The Economics of Global Warming". Washington DC: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4. Dasgupta, P.(2007) "Commentary: The Stern Review's Economics of Climate Change," National Institute Economic Review 199, pp4-7.
  15. Diamond and Mirrlees(1971), "Optimal Taxation and Public Production: I--Production Efficiency," American Economic Review,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vol. 61(1), pp.8-27.
  16. HM Treasury(1997/2003),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Treasury guidance, London", HM Treasury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17. HEATCO(2005), "Developing Harmonised European Approaches for Transport Costing and Project Assessment", pp.21-23.
  18. Lind, Robert C.(1982) "A Primer on the Major Issues Relating to the Discount Rate for Evaluating National Energy Option", in: R. Lind et al., eds., Discounting for Time and Risk energy Policy, Resources for the Futuew, Washington D.C.
  19. Nordhaus, W.D.(2007). "A Review of the Stern Review on the Economics of Climates Change,"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XLV, pp.682-702.
  20. Pearce, D. and Ulph, D.(1995), "A Social Discount Rate for the united Kingdom", Centre for Social and Economic Research on the Global Environment university College London and university of East Anglia.
  21. Ramsey, F.(1928), "A Mathematical Theory of Saving", Economic Journal vol. 38, pp.543-559. https://doi.org/10.2307/2224098
  22. Rosen, H. S. and Gayer, T.(2007), "Public Finance", pp.157-173
  23. Sandmo and Dreze(1971): Sandmo, A. and J.H. Dreze, "Discount Rate for Public Investment in Closed and Open Economies", Economica 38, pp.395-412. https://doi.org/10.2307/2551880
  24. S.C. Rambaud and M.J.M. Torrecillas(2006), "Social Discount Rate: A revision", Anales de Estudios Economicos y Empresariales Vol XVI, pp.75-98.
  25. Squire, L., Herman G. van der Tak(1975), "Economic Analysis of Project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26. Stern, N.(2006), "The Stern Review on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Weitzman, M.(2007), "A Review of the Stern Review on Economics of Climate Change",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45(3), pp.703-724. https://doi.org/10.1257/jel.45.3.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