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분포셀 연접공간 집단화를 통한 기반시설부담구역 검토 사례연구

Spatial Aggregation of Contiguous Population Distribution Grid Cells Based on Stepwise Cell Grouping Scenarios

  • 최내영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건설도시공학부 도시공학)
  • 투고 : 2010.10.20
  • 심사 : 2010.11.22
  • 발행 : 2010.12.30

초록

지난 2008년도에 기존의 기반시설부담금제가 국토계획법 상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로 개정되면서 2009년도 이후 전국적으로 다수 지자체들이 본 제도를 도입, 시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새 제도를 통해 난개발 방지를 위한 선계획의 마련과 기반시설 설치비용 확보를 위한 유용한 제도적 기반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반 시설설치계획과 기반시설부담비용 산정과정에 앞서 필요한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에 대해 시행령에서 명시한 인구증가율 기준을 근거로 인구격자의 수직수평방향 사출형 셀 집단화 방법을 통해 구역지정 대안을 검토해 보고 이를 실제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화성시 수영리 개발제한구역 일원 대상지에 적용해 봄으로써 상기 방법론의 기술적 적용가능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실무적 차원의 구역결정 제언을 시도해 보았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 2008, the Development Impact Fee Zoning has been newly amended and added to the existing National Territory Planning Act. Since the beginning of 2009, many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started to adopt the law as a powerful tool to prepare the prescirbed masterplans for the installment of adequate infrastructure and to procure the financial resources to realize the plan. The study, in this context, tried to build gridded population data and analyzed the population cells that exceed the legal criteria of population increase rate required by the law over the case area of Sooyoung-Ri in Hwasung City. The study further probed to group the selected population cells in five specified increasing steps on which the alternative impact fee zones are built. Throughout the process, the study could properly set a reasonable impact fee zone and suggested a practical examples of the final zone specification applicable by the local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2004, 기반시설연동제 운영편람.
  2. 국토해양부, 2008a,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 시행 및 운영활성화를 위한 연구.
  3. 국토해양부, 2008b,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 운영편람.
  4. 김형복, 홍철진, 2003, "개발에 따른 기반시설부담비용의 적정배분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8권, 3호, pp.259-74.
  5.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8, 도시계획론 5정판, 서울 : 보성각.
  6. 이명훈, 김철, 2002, "도시개발사업에 있어 도시기반시설의 비용부담실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7권 제1호, pp.219-29.
  7. 최내영, 2009a. "인구격자 셀 버퍼공간 설정에 의한 기반시설부담구역경계 검토방안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7권, 제4호, pp.53-60.
  8. 최내영, 2009b, "인구증가 분석격자의 공간정보를 이용한 기반시설부담구역 설정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2권 제4호, pp.74-83.
  9. 최막중, 김진유, 1999, "기발시설 제약조건에서의 도시개발용량과 토지이용밀도,"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4권 제3호, pp.61-72.
  10. 화성시, 2004, 화성시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 및 부담계획 기준수립 연구.
  11. 화성시, 2005, 매송 기반시설부담계획.
  12. 화성시, 2008, 도시기본계획 2020.
  13. Baden, M. and Coursey, D., 1998,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Impact Fees on Chicago's Suburbs", A Discussion Paper for the Workshop in Economic Policy and Public Finance, University of Chcago Department of Economics.
  14. Bracken, I. and Martin, D., 1995, "Linkage of the 1981 and 1991 Censuses Using Surface Modelling Concepts",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27, pp.379-390. https://doi.org/10.1068/a270379
  15. Burge, G. and Ihlanfeldt, K., 2006, "Impact Fees and Single-family Home Construction", Journal of Urban Economics, Vol. 60, pp.284-306. https://doi.org/10.1016/j.jue.2006.03.002
  16. Martin, D., 1996, "An Assessment of Surface and Zonal Models of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Vol. 10(8), pp.973-989. https://doi.org/10.1080/02693799608902120
  17. Mennis, J., 2003, "Generating Surface Models of Population Using Dasymetric Mapping", The Professional Geographer, Vol. 55(1), pp.31-42.
  18. Moody, M. and Nelson, A., 2002, "Impact Fees: the Grease That Sustains Local Economic Development", A Discussion Paper prepared for the Brookings Institution Center on Urban and Metropolitan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