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역사 미세먼지(PM10)의 확산방향과 확산속도 추정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화산역을 대상으로)

Estimation of Diffusion Direction and Velocity of PM10 in a Subway Station (For Gaehwasan Station of Subway Line 5 in Seoul)

  • 박종헌 (서울도시철도공사 기술본부) ;
  • 박재철 (서울도시철도공사 환경관리팀) ;
  • 음성직 (서울도시철도공사)
  • 투고 : 2010.06.23
  • 심사 : 2010.10.21
  • 발행 : 2010.10.31

초록

지하역사 미세먼지의 효율적 저감방안 마련을 위하여 서울지하철 5호선 개화산역 대합실, 승강장, 본선터널 3곳의 미세먼지 농도를 동시간대에 30분 단위로 측정하고, 각 위치에서 측정한 미세먼지농도 변화패턴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지하역사에서의 미세먼지 확산방향과 확산속도를 추정하였다. 지하역사의 미세먼지 농도는 본선터널이 가장 높고, 승강장, 대합실 순으로 낮아진다. 본선터널과 승강장, 대합실의 미세 먼지농도는 열차운행이 많은 혼잡시간대에는 증가하고 비 혼잡시간대에는 감소하는 패턴을 보인다. 위치에 따른 미세먼지농도의 상대적인 크기와 변화패턴에 대한 통계적 분석결과 본선터널의 높은 미세먼지농도가 승강장으로 확산되고, 승강장의 미세먼지 중 일부가 대합실로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역사의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본선터널 내 미세먼지 집중발생지점과 발생원, 확산경로, 확산수단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발생원을 제거하거나 발생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환기시스템 가동을 위치별로 미세먼지농도가 높아지는 시간대에 맞추어 가동시킴으로써 전력사용량과 피크전력을 줄일 수 있다.

In order to prepare an efficient solution for PM10 reduction in underground stations, the authors measured PM10 concentration levels every 30 minutes in the concourse, platform, and tunnel of Gaehwasan Station of Seoul's subway line 5.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changing pattern of PM10 concentration, the direction and velocity of diffusion in underground stations were estimated. The PM10 concentration levels were highest in the tunnel, followed by the platform and concourse. PM10 concentrations in the tunnel, platform, and concourse showed a pattern of increasing in the rush hours and decreasing in the non-rush hour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of PM10 concentrations and changing patterns in each location, the higher PM10 concentration in the tunnel expanded to the platform, and some from the platform expanded to the concourse. Therefore, to efficiently reduce PM10 concentrations, it is essential to detect the centralized generation, diffusion factor, expanding route, expanding measure, and other variables and to remove or reduce the diffusion factor and level. Through operating the ventilation system in the right time frame while the PM10 concentration level increases, the power consumption and peak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신도.송지한.이희관 (2004), 지하철 터널내 운행열차에 의한 열차풍의 산정, 설비공학논문집 vol. 16, no. 7, pp.652-657.
  2. 김종호.이상칠.도연지.김신도 (1995), 교통환기력에 의한 터널내 환기량 추정에 관한 연구, J. KAPRA vol. 11, no. 3, pp.273-278.
  3. 김현명.신동호.임용택.백승걸(2001), "이질적 지하철승객 기반의 동적 출발시간선택모형 개발 (도심을 목적지로 하는 단일 지하철노선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119-134.
  4. 김운수.엄진기.황기연.장지희(1999), "교통수요관리 기법을 활용한 환경오염비용의 내부화 방안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99-110.
  5. 김민정.김성수(2004), "한국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생산성 : 비모수적 Malmquist 접근법에 의한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35-46.
  6. 노영만.박화미.이철민 외 (2007), 서울시 지하철 객차내에서의 미세먼지 농도 평가, J. of Korean Soc. Occup. Environ. Hy. vol. 17, no. 1, pp.13-20.
  7. 박성규.김신도.이영인(2001), "자동차 대기오염물질 산정 방법론 설정에 관한 비교 연구 (강남구의 실시간 교통량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35-47.
  8. 박준환.김원호.남두희.이영인(2007), "환경정의를 고려한 교통운영 전략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7-17.
  9. 서울도시철도공사(2010), 제34회 서울시 투자출연기관 고객감동 창의경영 우수사례발표 - 최우수상
  10. 송회봉,.신동철.황승만 외 (1999), 대구지역 지하철역사의 실내공기질 특성평가, J. of KSEE vol. 21, no. 9, pp.1673-1688.
  11. 황희진.오미정.강선이 외 (2005), Low-Z particle EPMA 단일입자 분석법을 이용한 지하철 승강장에서 미세입자 특성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ol. 21, no. 6, 한국대기환경학회, pp.639-647.
  12. 환경부 실내공기질공정시험법, 고시 제2010-24호(2010).
  13. Christer Johansson, Per-Ake Johansson (2003), Particulate matter in the underground of Stockholm, Atmospheric Environment 37, pp.3-9.
  14. H.J. Gerhart, O. Kruger (1998), Wind and train driven air movement in train stations, Journal of Wind Engineering and Industrial Aerodynamics 74-76, pp.589-597. https://doi.org/10.1016/S0167-6105(98)00053-1
  15. Imre Salma, Tamas Weidinger, Willy Maenhaut(2007), Time-resolved mass concentration, composition and sources of aerosol particles in a metropolitan underground railway station, Atmospheric Environment 41, pp.8391-8405.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7.06.017
  16. Jong Ryeul Sohn, Jo-Chun Kim, Min Young Kim et al (2008), Particle Behavior in Subway Airspace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vol. 2-1, pp.54-59. https://doi.org/10.5572/ajae.2008.2.1.054
  17. Ki Youn Kim, Yoon Shin Kim, young Man Roh et al (2008), Spatial distribution of particle mater (PM10 and PM2.5) in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54, pp.440-443. https://doi.org/10.1016/j.jhazmat.2007.10.042
  18. Nicolas Bukowiecki, Robert Gehrig et al (2007), Iron, manganese and copper emitted by cargo and passenger trains in Zurich (Switzerland): Size-segregated mass concentrations in ambient air, Atmospheric Environment 41, pp.878-889.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6.07.045
  19. R. Lorenzo, R. Kaegi, R. Gehrig, B. Grobety (2006), Particle emissions of a railway line determined by detailed single particle analysis, Atmospheric Environment 40, pp.7831-7841.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6.07.026
  20. Sunni Kang, Heejin Hwang, Yoomyung Park et al (2008), Chemical Compositions of Subway Particles in Seoul, Korea Determined by a Quantitative Single Particle Analysis, Environ. Sci. Technal. 42, pp.9051-9057. https://doi.org/10.1021/es802267b
  21. T.Y. Chen, Y.T. Lee, C.C. Hsu (1998), Investigations of piston-effect and jet fan-effect in model vehicle tunnels, Journal of Wind Engineering and Industrial Aerodynamics 73, pp.99-110. https://doi.org/10.1016/S0167-6105(97)00281-X
  22. Yu-H Cheng, Yi-Lun Lin, Chia-Chen Liu (2008), Levels of PM10 and PM2.5 in Taipei Rapid Transit System, Atmospheric Environment 42, pp.7242-7249.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8.07.011
  23.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홈페이지(http://www.smrt.co.kr)
  24. 서울메트로공사(http://www.seoulmetro.co.kr)
  25. 서울특별시 대기환경정보서비스홈페이지(http://air.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