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산업의 주요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MRIO를 이용하여)

The Major Ripple Effects of the Logistics Industry (Using a MRIO(Multi-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 투고 : 2009.07.08
  • 심사 : 2009.12.15
  • 발행 : 2010.02.28

초록

본 논문은 국가 경제의 동맥역활을 하는 물류산업에 초점을 맞추고 권역별 물류산업의 특징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6개 권역(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전라권, 경북권, 경남권)으로 구분된 지역산업연관표(MRIO표)를 이용하여 지역별, 산업별로 경제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맞게 기존의 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29개 부문으로 재구성하였고, 총산출액 비교 및 외생화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공급지장효과, 전후방연쇄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물류산업은 생산유발효과보다 공급지장효과가 큰 산업으로 나타났고, 지역간의 거래보다는 지역내의 거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수도권 물류산업은 중간수요적 원시산업 특성을 가지는 관계로 파급효과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경남권의 자동차 및 석유화학, 전라권의 석유화학 등에 미치는 물류산업의 파급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logistics industry o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To do this, we used a MRIO table provided by the Bank of Korea which includes inter and intra regional relationship of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for 6 areas - the Seoul Metropolitan, Gangwon, Chungcheong, Jeonra, Gyeongbuk, Gyeongnam area, but an original MRIO table was recomposed of 29 sectors focused on logistics industr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producing-inducing effects, supply-shortage effects and inter-industry linkage effects based on logistics industry by region and industry. As a result, the logistics industry has more supply-shortage effect rather than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has a higher ripple effect on the automotive in Gyeongnam area and petrochemical industry in Jeonra area. In particular, the ripple effect of th Metropolitan logistic industry was far smaller than that of other areas, because the Seoul Metropolitan industry was identified as the primary and middle demand industr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광하(2000),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 곽승준.유승훈.장정인(2002),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해양정책연구 제17권 제1호 pp.1-31.
  3. 김상봉(2004), "지방공항산업에 의한 지역경제영향분석 연구 -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8(3), pp.91-117.
  4. 김의준.김홍석.박추환.신동진(2006), "도로 및 철도사업의 중장기 권역별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지역연구 제22권 제3호 pp.3-28.
  5. 박우람.권오경.Jose Tongzon(2008), "세계 물류산업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41-49.
  6. 박창귀(2007), "우리나라 6대 광역 경제권역 간 산업연관관계", 국토연구 제55권 pp.115-136.
  7. 박지영.박창근(2008), "산업별 시, 도간 경제교역량 추정", 지역연구 제24권 제2호 pp.27-57.
  8. 박창호(2001), "인천지역 물류산업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항만물류산업을 중심으로", 인천발전연구원
  9. 박희정.한표환(2002), "지방양여금에 의한 지방도로 정비사업의 성과", 한국지방재정논집 제7권 제1호 pp.75-98
  10. 장영태.이태우.김승곤.신성호(2006),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연안 및 내륙수상운송 부문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pp.35-60.
  11. 정봉민(2004), "산업연관분석방법에 의한 해운.항만서비스 가격변동의 물가파급효과 추정", 로지스틱스 연구 제12권 제2호.
  12. 지해명.강현.안홍기(2003), "MRIO 시산표 작성: 지역간 교역계수 추정 연구", IDI정책연구보고서
  13. 최영윤.하헌구(2008), "물류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산업연관분석의 적용", 로지스틱스연구 제16권 제2호 pp.81-102
  14. 이태우.장영태.신성호(2006),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운송부문별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의 상호비교 분석", 한국해운물류학회, 제51권 단일호 pp.47-69.
  15. 한국은행(2007) 2003년 지역산업연관표
  16. 한상용(2007), "수단별 운송서비스산업의 산업간 경제파급효과 분석", 교통정책연구, 제5권 제1호.
  17. Gosh, A.(1958), "Input-output Approach in an Allocation System", Economica, Vol.25, pp.58-64. https://doi.org/10.2307/2550694
  18. Harry W. Richardson(1972), "Input-Output and Regional Economics", Redwood Press pp.63-67.
  19. Isard,W(1951), "Interregional and Regional Input- Output Analysis : A Model of a Space Economy",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33.
  20. Leontief, W(1970), "Environmental repercussions and the economic structure : an input-output approach",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52, No.3 pp.262-271. https://doi.org/10.2307/1926294
  21. Pierre Vilanin, Louie Nan Liu and David Aimen (1999), "Estimation of Commodity Inflows to a Substate Reg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99.
  22. Thomas J. Zlatoper and Ziona Austrian(1989), "Freight transportation demand: A survey of recent econometric studies", Transportation Vol.16, No.1 pp.2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