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emiotic Meaning of Myth of Family and Gender Through the Corporate Advertisement: Focusing on the SK Advertisement

기업광고를 통해 본 가족신화와 젠더의 기호학적 의미: SK기업광고를 중심으로

  • Cho, Hee-Sun (Department of Consumer & Family, Sungkyunkwan University) ;
  • Baek, Seon-Gi (Department of Mass Communi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 Yang, Da-Jin (Department of Consumer & Family, Sungkyunkwan University)
  • 조희선 (성균관대학교 소비자가족학과) ;
  • 백선기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양다진 (성균관대학교 소비자가족학과)
  • Received : 2010.06.30
  • Accepted : 2010.08.30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process in which how the Myth of family and gender image are reproduced and taken in by the recipients through semiotics analysis of three versions consisting of children, husband and housewife series of SK corporate's TV advertisements from the last half of year 2009 to the first half of year 2010. The analysis of the corporate advertisements shows that each advertisement binds and stereotypes concept of family and gender to Myth of family, especially case of female, and consequently, the result through text analysis is that corporate advertisements reproduce and restructure traditional Myth of family and role of gender. Going forward, Family study requires to realize importance of effect of mass media, especially of TV advertisement, to research diverse case studies and searching about it.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옥, 하주용(2007). 지상파 텔레비전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고정관념 지수를 이용한 성별스테레오타입 분석. 한국언론학보, 51(2), 453-478.
  2. 김선영(2004). 텔레비전 광고에 재현된 가족 이데올로기 연구: 텍스트 분석 및 수용자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선영(2006). 가족이미지를 차용한 텔레비전광고분석. 가족과 문화, 18(1), 83-116.
  4. 김인식(1995). 롤랑바르트의 초기기호학. 기호학연구, 1(1), 39-61.
  5. 김종덕(2007). 한국 TV광고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 광고학연구, 18(1), 215-243.
  6. 김종필(2003). TV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성역할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남경태(2005). 한국TV광고에 나타나는 젠더표상. 한국광고홍보학보, 6(2), 7-42.
  8. 남혜숙(2008). TV드라마에서 표출된 여성성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문윤수(2008). 광고의 기호분석이 사회문제를 진단하는 해석으로 연장되기 위한 사례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0(4), 188-225.
  10. 배병렬, 이민우(1999). 광고의 이해. 서울: 대경.
  11. 배현미, 이준일, 우소영(2007). 기업의 경제적 사회적 책임활동과 기업이미지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1(3), 874-875.
  12. 백선기(2001). 텔레비전 드라마의 갈등표출과 이데올로기적 의미-드라마 아줌마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10(1), 157-195.
  13. 백선기(2010). 광고 기호학.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14.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1996). 여성과 남성을 위한 여성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5. 성지영(2006). 아파트 영상광고의 신화와 이데올로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이두희(1997). 광고론. 서울: 박영사.
  17. 정기현(1997). 텔레비전 광고 속의 여성성과 남성성. 한국방송학보, 9(1), 215-250.
  18. 정기현(2007). 한국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젠더표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미디어.젠더&문화, 8(1), 71-107.
  19. 정호연(2002). TV기업광고와 가족이데올로기.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임영호, 김보영, 최수정(2008). 신문사진에 나타난 신화의 유형. 언론과학연구, 8(2), 388-430.
  21. 한상필(2003). 광고를 통해 본 한국문화의 변화: 1960년대부터 2000년까지의 광고 내용분석. 광고연구, 58(1), 135-162.
  22. 한은경(1997). 광고모델로서의 동물이 내포하는 기호학적 의미. 한국언론학회, 4(2), 391-425.
  23. Barthes, R.(1980). Elements of Semiology. New York: Hill and Wang.
  24. Barthes, R.(1995). Mythologies. New York: Hill and Wang. 신화론. 정현(역). 서울: 현대미학사. (1972년 원저발간)
  25. Kim, K., & Lowry, D. T.(2005). Television Commercials as a Lagging Social Indicator: Gender Role Stereotype in Korean Television Advertisin. Sex Roles, December, 901-910.
  26. White, D. M.(1977). Popular Culture: Mirror of American Life. New York: Publisher's Inc, 350-360.
  27. Judith, W.(1998). Decoding Advertisemen. London: Marion Boyars Publishers. 광고의기호학: 광고읽기 그 의미와 이데올로기. 박정순(역). 서울: 나남. (1978년 원저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