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과 우리나라의 부문별 감축여건

Greenhouse Gas Mitigation Policies and National Emission Targets of Korea

  • 김호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 : 2010.09.30

초록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배출활동을 억제하거나 배출집약도를 개선시키는 다양한 기술의 도입의 개발 보급을 촉진하는 정책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이처럼 온실가스의 저감을 위한 다양한 정부개입을 '기후정책'이라 하는데, 그 이론적 속성과 더불어 각 국가 고유의 상황에 따라 정책의 상대적 유효성이 결정된다. 온실가스 배출분석은 일정 기간에 국가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을 전망하고,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후정책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이다. 배출분석은 국가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기준년도 배출량 산정, 목표 시점까지의 배출추이에 대한 기준 배출량, 그리고 이러한 미래 배출량에 변화를 초래하는 다양한 기후정책 시나리오에 대한 평가 등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기후정책의 유형과 그 평가 선택기준을 고찰하는 한편,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추이와 부문별 감축여건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나라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및 기후정책 운용에 있어서 유용한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Reducing emissions across all sectors requires a well-designed policies tailored to fit specific national circumstances. And every climate policymaker would like to have an accurate method of assessing the quantitative impacts of future policies to address GHG-related problems. Estimates of future changes in a nation's GHG emissions, the expected environmental impacts of future energy sector developments, and the potential costs and benefits of different climate technology and mitigation policy options are desirable inputs to policy making. Various mitigation analysis and modeling approaches helped to fill the needs for these kinds of information, and as such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national mitigation policy making in many countries for most of two decades. This paper provides a overview of GHG mitigation policies and mitigation analysis, and sectoral mitigation circumstances and potential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호석, 김종호, 국내 대기오염규제의 온실가스 저감효과 제고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9).
  2. 산업자원부, 에너지총조사보고서 각호.
  3. 신의순, 김호석, 기후변화협약과 기후정책, 집문당(2005).
  4. 환경부,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 물질 배출분석을 통한 Post-Kyoto 기후변화 대응전략 수립 및 통합관리방안 구축(2010).
  5. Stavins, R. N., "Policy Instruments for Climate Change: How Can National Government Address a Global Problems?," Dicussion Paper 97-11, Resources for the Future(1997).
  6. Weitzman, M. L., "Prices vs. Quantities," Review of Economic Studies, 41, 477-491(1974). https://doi.org/10.2307/2296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