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ransport Policy Assessment Using the Integrated Land Use Transport Model

통합 토지이용 교통모형을 이용한 교통정책평가에 관한 연구 I: 기존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이승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손지언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0.01.14
  • Accepted : 2010.02.19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olicy which encourages people to use cars on the road has been based on the growth of economy in Korea. It has also caused the concentration and overcrowding in Seoul. That's because the increasing number of people possessing cars interconnects with the urban development. The transportation is a derived demand; so many scholar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land use and transport. Considering such importance, this study theoretically compared the developed urban land use-transportation models each other and outlined the particular models briefly. Models were categorized by 2 types; optimizing model and predictive mode. Predictive model is also defined by static model, entropy based model, spatial-economic model, and activity model. After studying models, we investigated other major cities in America. This process is the pre-step for transport policy assessment. Through careful literature review, we can finally develop the integrated land-use transportation model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we will be able to deal the changes of traffic demand pattern under U-Society.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ITS projects in the future.

도로교통 장려정책은 1970년대부터 산업성장에 기반이 되어 국가전반에 순기능을 발휘하였으나, 점차 수도권에 집중 된 토지개발정책과 맞물려 역기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승용차보유대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던 시기는 정부의 적극적인 도시개발이 진행되어온 시기와 맞물린다고 볼 수 있다. 교통은 통행목적 및 활동에 기반하는 파생적 수요이기 때문에 교통수요를 정확히 추정하고, 이를 통해 정책평가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에 대한 특성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교통과 토지이용에 관한 통합모델을 고찰하여, 교통수요추정의 정확성 확보를 위한 정책평가 기반을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교통-토지이용모델의 이론적 배경이 되고 있는 Predictive model과 Optimizing model에 대해서 고찰하고, 해외사례를 통하여 사용된 모델에 대한 평가 및 장단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미 시행되고 있거나, 계획되고 있는 다양한 도시정책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를 제시하기 위한 사전단계임으로 이를 기반으로 향후에 서울 및 수도권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토지이용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술의 발달로 인한 U-Society환경이 교통패턴에 미치는 영향, 즉 이동 중에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U-Transportation 현상이 통행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 ITS 사업 추진에 중요한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John Bates, Jan Oosterhaven, "Review of land-use/transport interaction models,"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transport and the Regions, Oct. 1999.
  2. L. Clement, "Review of Existing Land-Use Transport Models," Certu, 1996.
  3. Vergil G. Strover, Frank J. Koepke, "Transportation and Land development, 2nd edition,"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2002.
  4. Yupo Chan, "Location, Transport and Land-Use; Modelling Spatial-Temporal information," Springer, May 2006.
  5. 김익기, 도시토지이용-교통모형의 이론적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1993.
  6. 최병남 외 4인, 시공간통합 국토시뮬레이션모형 개발연구(I), 국토연구원, 2005.
  7. Daniel Jonsson, "Calibration of a transport and land use interaction model, IMREL for use with a transport demand model, SAMPERS," Department of Infrastructure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Stockholm, Sept. 2001.
  8. Bert van Wee, Land use and transport; research and policy challenges, Jouranl of Transport Geopgraphy 10, pp. 259-271, Dec. 2002. https://doi.org/10.1016/S0966-6923(02)00041-8
  9. Anas A, "Capitalisation of urban travel improvements into residential and commercial real estate," Journal of Regional Science, vol. 35, pp. 351-375, Aug. 1995. https://doi.org/10.1111/j.1467-9787.1995.tb01409.x
  10. Oryani Kazem, Harris Britton, "Review of Land Use Models: Theory and Application," Sixth TRB Conference on the Application of Transportation Planning Methods, 1997.
  11. Seunjae Lee, "Is Land-use Transport Model Applicable to a Dynamic City Seoul?," International Seminar on Land Use and Transportation in Seoul, Korea, March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