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in Ophthalmic Optics

안경광학과 임상실습 실태에 관한 연구

  • Lee, Ok-Jin (Department of Optometry & Vision Science, Dongnam Health University) ;
  • Shin, Jin-Ah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Yeojoo Institute of Technology) ;
  • Jung, Se-Hoon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Shinheung College University)
  • Received : 2010.11.15
  • Accepted : 2010.12.1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Purpose: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clinical practice in ophthalmic optics and offer a effective operation plan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school survey were investigated from 30 ophthalmic optics school and student survey were investigated from 161 students among these 4 schools. Results: 'No specific program for clinical practice' were 60.7%. Most schools apply clinical practice to credit (96.4%) but naming of subject and credit were varied in each school. 'Communication skill' was most difficult task and 'cleaning and arrangement of frame and stuff' were major task to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Best benefits through clinical practice was 'knowing real status of optical business'. Comparison in carrier preference, optical shop and spectacles/contact lens company were decreased and eye hospital and norelation work were increased after clinical practice. Conclusions: Wide study on effective operation plan for clinical practice in ophthalmic optics and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close cooperation and interest were needed between schools and clinical practice places.

목적: 안경광학과 임상실습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여 임상실습의 효율적 운영과 질적 개선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의 30개 안경광학과를 대상으로 임상실습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중 4개 대학에서 161명의 학생으로부터 임상실습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임상실습을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이 마련되지 않은 곳은 60.7%였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임상실습을 졸업학점에 반영(96.4%)하였고, 각 대학의 임상실습에 관한 교과목명과 해당학점은 다양하였다. 실습 학생들에게 임상실습 수행 중 가장 어려웠던 사항은 '고객응대'였고 임상실습의 주 업무는 '안경원 청소 및 안경테와 도구정리'였다. 임상실습을 통해 가장 유익했던 점은 '안경업계 현실파악'이었다. 임상실습 전과 후의 진로 비교에서 '안경원'과 '안경/콘택트렌즈 관련업체'의 선호도는 감소하고 '안과 병의원'과 '전공과 관련 없는 일'의 선호도는 높아졌다. 결론: 안경광학과 임상실습의 효율적 운영과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폭 넓은 연구와 학교와 실습업체 간의 긴밀한 협조와 관심이 요구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동남보건대학

References

  1. 대한안경사협회, 한국갤럽, "2008년 전국 안경 사용율 보도자료", 한국갤럽(2008).
  2. 김인식, 엄정희, "2년제 대학의 현장실습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연구-안경광학과를 중심으로", (경남대)학생생활연구, 18:173-195(2000).
  3. 이영애, 김영선,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정도와 수행자신감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8(4):353-359(2008).
  4. 전화연, "임상실습시 간호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분석적 연구-전문대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84).
  5. 김선엽, 김지혁, 송주영, 안덕현, 채정병, "물리치료학 전공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3):71-84(2004).
  6. 이숙자,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0(2):41-52(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