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자동안굴절계와 iTrace로 측정한 굴절검사 값의 비교

Comparison of Autorefraction and Refraction with iTrac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효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
  • 이군자 (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 김샘이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
  • 김세롬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 Kim, Hyojin (Department of Visual Optics, Division of Health Science, Baekseok University) ;
  • Lee, Koon-Ja (Department of Optometry, College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
  • Kim, Sam-Yi (Department of Visual Optics, Division of Health Science, Baekseok University) ;
  • Kim, Se-Rom (Department of Visual Optics, Division of Health Science, Baekseok University)
  • 투고 : 2010.01.30
  • 심사 : 2010.03.19
  • 발행 : 2010.03.31

초록

목적: 아산지역에서 일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동안굴절계를 이용한 굴절검사 값과 조절마비제를 사용하지 않고 iTrace로 조절력을 배제하여 굴절력을 측정한 값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9월부터 12월까지 12~13세 42안을 대상으로 현성굴절상태에서 자동 안굴절계를 이용한 자동굴절검사와 iTrace를 이용한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iTrace를 이용한 굴절검사는 원거리(5 m 이상)와 근거리(눈 앞 30cm)를 주시하도록 한 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치는 등가구면 굴절력으로 나타냈고, 굴절이상의 정도에 따라 그룹 1(-0.50D < ~ < +1.00D)과 2(-0.50D 이하)로 분류하였다. 결과: 자동굴절검사, iTrace를 이용해서 측정한 원거리 및 근거리 주시시의 평균 등가구면 굴절력은 각각 1.08${\pm}$0.77D, -0.29${\pm}$0.95D와 2.34${\pm}$0.67D였다(p<0.001). 대상자의 52.4%에서 원거리 주시시 보다 자동굴절검사의 결과는 근시인 0.50D~-1.00D로 측정되었다. 그룹 l과 2에도 검사방법 간의 평균 등가구면 굴절력은 자동굴정검사로 측정한 값이 원거리 주시시의 측정치에 비해 두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근시방향으로 측정되었다. 결론: 자동굴절검사와 5m 이상의 원거리용 응시한 후 iTrace로 측정한 굴절검사의 굴절력은 0.79${\pm}$0.34D의 차이를 보여 자동굴절검사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된 굴절력을 나타냈다.

Purpose: Difference of refraction result from the method of autorefraction and iTrace were investigaged for the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in Asan City. In iTrace method. exclusion of accommodation without cycloplegia was used. Methods: Manifest refractive stale of 42 eyes of 12~13 years old were measured using autorefractor and iTrace. Refractions of far (more than 5 m) and ncar (30 cm) vision were measured using iTrace. All data showed that the spherical equivalent were classified as being in the group 1 (-0.50D < ~ < +1.00D) and 2 (below -0.50D) according 10 refractive errors. Results: Mean spherical equivalent using autorefractor and iTrace (far and near vision) were -1.08D, -0.29D and -2.34D, respectively (p<0.01). Compared with the far vision using iTrace, autorefraction was measured the myopia with -0.50D ~ -1.00D in 52.4% of total eyes. Autorefraction also statistical significant were measured a more myopia than the far vision using iTrace in group I and 2. Conclusions: The difference of refractive errors between autorefraction and iTrace, objective refraction were measured with far vision of more than 5 m were -0.79D. Autoreftaction showed statistically decreased refraction errors than iTrace with far vi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상준, 김정민, 유병철, 엄상화, 안기수, 이용환, 김신동, "2002년 부산, 울산 및 경상남도 19세 남자의 근시 유병률", 대한안과학회지, 50:1392-1403(2009). https://doi.org/10.3341/jkos.2009.50.9.1392
  2. 김혜란, 최선미, "최초 안경착용자의 현성굴절검사와 조절마비굴절검사의 비교", 한국안광학회지, 13(4):145-149(2008).
  3. 문남주, 김재찬, 구본술, "초.중고등학교 학생 굴절검사시 조절마비제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대한안과학회지, 29(3):377-385(1988).
  4. Michaels D. D., "Visual optics and refraction", The C. V. Mosby Co., St. Louis, pp. 268-281, 363-401(1975).
  5. 김민섭, 장혜란, "소아에서 조절마비전과 하에 시행한 자동굴절검사의 연령별 분석", 대한안과학회지, 39:728-734(1998).
  6. 최영호, 최윤영, "소아 굴절검사방법에 따른 차이 비교 및 생활양식이 근시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지, 46:1841-1847(2005).
  7. Duke-Elder S., "System of ophthalmology", Vol. 5, Mosby co., St Louis, pp. 383-398(1970).
  8. Newell F. W., "Ophthalmolgy", 5th ed. Mosby Co., St Louis, pp. 378-379(1982).
  9. Won J. B., Kim S. W., Kim E. K., Ha B. J., and Kim T., "Comparison of Internal and Total Optical Aberrations for 2 Aberrometers: iTrace and OPD Scan", Korean J. Ophthalmol., 22(4)210-213(2008). https://doi.org/10.3341/kjo.2008.22.4.210
  10. 양석우, 이나영, 김소열, "굴절이상에 따른 조절마비검사 전 후의 시력변화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47(9):1454-1458(2006).
  11. 정현용, "초등학생 근시 3년새 30배 늘어", 서울신문, 2008-10-29. p. 9(2008).
  12. Saw S. M., Nieto F. J., Katz J., Schein K. J., Levy B., and Chew S. J., "Factors related to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Singaporean children", Optom. Vis. Sci., 77(8):549-554(2000).
  13. 남운고, 조현국, 손정식, 곽호원, 문병연, "진주지역 근시 안경착용 초등학생들의 굴절교정상태와 조절기능의 검사", 한국안광학회지, 14(1),109-114(2009).
  14. Lin L. L., Shin Y. F., Tasi C. B., Chen C. J., and Lee L. A., "Epidemiology study of ocular refraction among school children in Taiwan 1995", Optom. Vis. Sci., 76(5):275-281(1999). https://doi.org/10.1097/00006324-199905000-00013
  15. He M., Huang W., Zheng Y., Huang L., and Ellwein L. B., "Refractive error and visual impairment in school children in rural southern China", Ophthalmology, 114(2):374-382(2007). https://doi.org/10.1016/j.ophtha.2006.08.020
  16. Wong E. K., Patella V. M., and Pratt M. V., ''Clinical evaluation of Humphery automatic refractor", Arch. Ophthalmol., 102:870-875(1984). https://doi.org/10.1001/archopht.1984.01040030690020
  17. 정미분, 이기석, 김태훈, 성아영, "소아기의 조절마비 굴절검사값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11(3):275-280(2006).
  18. 정진호, 김명준, 차흥원, "레이져 레이 트레이싱 방식 수차계와 쉑-하트만 방식 수차계의 임상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47:1911-1919(2006).
  19. lida Y., Shimizu K., Ito M., and Suzuki M., "Influence of age on ocular wavefront aberration changes with accommodation", J. Refract. Surg., 24:696-701(2008).
  20. 성공제, 최억, "근거리검영법 조절마비후검영법 및 자각적굴절검사로 측정한 굴절이상의 비교 관찰", 대한안과학회지, 28(1):143-149(1987).
  21. 이요한, 홍승호, "학영아동에 있어서 Cycloplegic Refraction 효과의 통계적 고찰", 대한안과학회지, 17(4):485-487(1976).
  22. 정지원, 김태훈, 성아영, "조절마비제를 사용한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의 비교", 대한시과학회지, 9(3):283-289(2007).
  23. Gwiazda J., and Weber C., "Comparison of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and astigmatism measured with three different models of autorefractors", Optom. Vis. Sci., 81(1):56-61(2004). https://doi.org/10.1097/00006324-200401000-00011
  24. Chat S. W., and Edwards M. H., "Clinical evaluation of the Shin-Nippon SRW-5000 autorefractor in children", Ophthalmic Physicol. Opt., 21(2):87-100(2001). https://doi.org/10.1016/S0275-5408(00)00048-X
  25. Rosenfield M. and Chiu N. N., "Repeatability of subjective and objective refractive", Optom. Vis..Sci., 72(8):577-579(1995).
  26. Rassow B. and Wesemann W., "Automatic infrared refractors a comparative study", Am. J. Optom. Physiol. Opt., 64(9),627-638(1987).
  27. 진용한, "굴절검사와 처방", 울산대학교 출판부, pp. 99(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