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상공사의 특성요인 적합도 분석에 의한 공공부문 'CM at Risk 방식' 도입의 타당성 분석

Feasibility Analysis of Introducing CM at Risk Delivery Method to the Korean Public Construction Industry by Analyzing Attributes of the Projects

  • 고민혁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 김예상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
  • 권순욱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
  • 진상윤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 발행 : 2010.03.31

초록

건설공사의 성공을 위해서는 고도의 사업관리 능력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다양한 CM 발주방식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최근 들어 'CM at Risk 방식'의 도입이 정부 차원에서 모색되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그것이 국내 건설 산업과 도입 대상이 되는 공공건설공사의 특성에 적합한가, 또 제도 도입 시 본연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가에 대한분석이 선행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M at Risk 방식' 도입 전, 그 대상공사의 특성 및 각 공공공사 유형별 사업특성과의 적합도를 분석하여 본 발주방식 도입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시설물의 유형을 9가지로 구분하고 'CM at Risk 방식'의 일반적 인 특성과 'CM at Risk-GMP 방식', 'CM at Risk 방식-실비정산 방식'에 대한 특성요인 15가지를 도출하였으며, CM업계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유형에 대한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문에 응답한 CM전문가들은 'CM at Risk 방식'의 도입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공공공사에 대한 'CM at Risk 방식'의 적용은 공기단축에 대한 필요성 부재나 발주자의 제한된 재정능력 등, 기존 국내 공공공사의 특성으로 인하여 극히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A high degree of management skills and functions is essential to the success of construction projects. While the various construction management delivery methods have been realized as the solutions,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to introduce 'CM at Risk Method' to the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However, even if its effect has been verified successful in the international market, it must be considered before legally adapting the method that it would be suitable to our public sector,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feasibility of 'CM at Risk Method'. In order to do that, 15 attributes of construction projects were found, which were suitable to 'CM at Risk Method' in general, 'CM at Risk-GMP Method', and 'CM at Risk-Cost Reimbursable Method' and suitability of each attribute to each of 9 categories of public construction facilities was evaluated by questionnaire survey to CM specialists. Results showed that 'CM at Risk Method' might not bring improper effect to the industry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sector, the effect would be very limi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예상 (2008). 건설제도 및 계약, 보문당, 서울.
  2. 건설기술 . 건축문화선진화기획단 (2007). 사업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발주방식 시범적용에 관한 연구, 용역보고서, 한국건설관리학회.
  3.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http://www.kosis.kr).
  4. 김흥수, 손병관 (2001). "CM at Risk의 이해와 주요시사점.", 건설산업연구원.
  5. 권오경 (2008). "갈길 먼 CM at Risk.", 특집 CM at Risk, 제9권 제3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9
  6. 산성훈, 서용철, 구교진, 현창택 (2003). "CM at Risk의 국내 건설시장 도입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제23권 제1호, 대한건축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구조계), pp.343-346.
  7. 장철기 (2006). "미국 CM at Risk 시장 동향 및 시사점." 건설관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1-11.
  8. 장철기, 이복남, 최석인, 이덕규 (2006). "CM at Risk의 이해와 도입가능성 진단.",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9. 전재열 (2005). "건설사업 선진화를 위한 발주자 중심의 CM at Risk 도입 방안." 건설관리, 제6권 제3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9-23.
  10. 최석인, 이복남 (2008. 04). "공공부문의 . CM . at . Risk . 도입방식 . 검토와 . 정책적 . 제언." 건설관리, 제9권 제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5-29.
  11. 최규산, 이호경, 박영호, 백준홍 (2003). "대형할인점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CM at Risk 적용 타당성 관한 연구.", 제23권 제2호,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구조계), pp. 527-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