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습지의 수서곤충상과 분포 특성

Aquatic Insects Fauna and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n Jeju Island Wetlands

  • 투고 : 2009.05.25
  • 심사 : 2010.08.03
  • 발행 : 2010.08.31

초록

지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제주도 지역 습지 102곳에 대해 수서곤충상과 서식지의 해발 고도와 고도의 분포 범위, 먹이형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사지내에서는 제주도의 수서곤충 총 7목 32과 73속 100종이 확인되었다. 분류군별로는 하루살이목 1종, 잠자리목 23종, 강도래목 1종, 노린재목 23종, 딱정벌레목 47종, 날도래목 3종, 파리목 2종이었다.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종은 방물벌레이며, 다음으로는 고추잠자리, 밀잠자리, 애소금쟁이이며, 다음은 애송장헤엄치게로 확인되었다. 단 한 곳에서만 확인된 종은 잘룩허리왕잠자리 등 16종이었다. 고도에 따른 분포특성과 범위는 저지대에서는 방게아재비 등 10종, 중간지대에서는 새가슴물땡땡이 1종, 고지대에서는 민강도래Kub 등 6종이었다. 그리고 협역분포종은 물장군 등 44종, 중간분포종은 물벌레 등 18종, 광역분포종은 메추리장구애비 등 21종 이었다. 조사지에서 확인된 100종 중 포식성 75종, 식식성 18종, 잡식성 5종, 부식성 2종으로 나타났고 광역분포종의 대부분은 포식성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제주도의 수서곤충은 대다수가 제한적인 고도의 범위에 분포하고 있고 포식성의 식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searching the fauna, altitudinal distribution, and food patterns of the aquatic insects on Jeju island.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02 freshwater wetlands during 2004 to 2008. The identified species were 100 belonged to 73 genera, 32 families, and 7 orders. One species of the genus Ephemeroptera, 23 of the Odonata, 1 of the Plecoptera, 23 of the Hemiptera, 47 of the Coleoptera, 3 of the Trichoptera, and 2 of the Diptera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most widely distributed species was Sigara substriata, which was followed by Crocothemis servilia, Orthetrum albistylum, Gerris latiabdominis, and Anisops ogasawarensis. Sixteen species including Gynacantha japonica were very restrictedly distributed, which were sampled from only one site, respectively. The restrictedly distributed species (R) were classified into three altitudinal ranges, low (L), middle (M), and high (H). Ten species including Ranatra unicolor were RL type, only one species, Berosus japonicus, was RM, and 6 species including Nemoura KUb were RH. Narrowly distributed species (N) were 44 including Lethocerus deyrollei and intermediately distributed species (I) were 18 including Hesperocorixa distanti, and widely distributed species (W) were 21 including Nepa hoffmanni. According food uptake patterns, 75 species were carnivores, 18 herbivores, 5 omnivores, and 2 detritivores. Especially almost W were carnivores. From these results, we could concluded that the most aquatic insects species of Jeju island were characterized by their very limited altitudinal distribution range and carnivorous prefer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용정, 서상재. 1986. 한국 수서곤충 목록. 한국곤충 6: pp. 91-104.
  2. 남상호, 박영준, 조영호, 오홍식, 권오석, 한용구. 2006. Fauna of Macroinvertebrates and Composition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about the Aquatic Insects to Microhabitats from the Geum River, Korea. 한국생태학회지 29(5): pp. 415-425.
  3. 노태호, 전동준. 2004. 한국산 수서곤충류 섭식기능군 유형 및 군집 안정성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7(2): pp. 137-149.
  4. 농업과학기술원. 2006. 논생태계수서무척추동물도감. 광문당. pp. 25-361.
  5. 문교부. 1960. 한국동식물도감 제10권 동물편(곤충류II). pp. 970.
  6. 문교부. 1971. 한국동식물도감 제12권 동물편(곤충류IV). pp. 1069.
  7. 배연재, 조신일, 황득휘, 이황구, 나국본. 2004. 우포습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과 군집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pp. 75-91.
  8. 원두희, 권순직, 전영철. 2005. 한국의 수서곤충.(주)생태조사단. pp. 11-223.
  9. 위인선, 조영관, 이종빈, 나철호, 김종선. 1992. 강도래상과 4종의 먹이습성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5(2): pp. 63-72.
  10.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237pp.
  11. 이숭화, 조영복, 이창언. 1992. 제주도산 수서갑충상. 생물과 자연. 22(1): pp. 45-60.
  12. 장영덕, 황수옥. 1992. 금강상류의 수서곤충군집에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5(4): 243-253.
  13. 정상배. 2006. 제주도 습지내 수서곤충 분포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pp. 45.
  14. 정상배, 김원택. 2008. 한라산 고산습지의 학술적가치조명과 과제, 제주특별자치도 환경자원연구원 학술심포지엄자료집. pp. 43-62.
  15. 제주도. 2001. 제주의습지. 대영인쇄사. pp. 36-270.
  16. 조복성. 1969.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곤충류II).문교부. pp. 165-257.
  17. 조신일. 2004. 한국산 물장군의 생태학적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2.
  18.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건국대학교 출판부. pp. 60-136.
  19. 환경부, 제3차 전국내륙습지조사 지침, 2008. pp.211-212.
  20. Asahino, S., Ishihara, T., Yasumatsu, K. 1973. Iconographia Insectorum Japonicorum Colore naturali edita Volumen III. Hokuryukan. pp. 103-108.
  21. Dobson, M., Frid, C. 2008. Ecology of Aquatic Systems.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Inc., pp. 282.
  22. Francis O., Robert B. 2009. Ecological integrity of upper Warri River, Niger Delta using aquatic insects as bioindicators. Ecological indicators 9(3): pp. 455-461. https://doi.org/10.1016/j.ecolind.2008.06.006
  23. Kawai, D. 2005. Aquatic Insects of Japan. East Sea Univ. Publish group. pp. 658.
  24. Shunichi, U., Yoshihiko, K. 1994.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I. pp. 514.
  25. Southwood, T. R. E. 1960. The abundance of the Hawaiian trees and the number of their associated insect species. Proc. Hawaiian. Entomol. Soc. 17: pp. 299-303.
  26. Takehiko N., Kazuo O., Shizumu N., Yoshihiko K. 2007. Iconographia Insectorum Japonicorum Colore Naturali Edita Vol. II. Hokuryukan. pp. 526.
  27. Ueno, S., Kurosawa Y., Sato, M. 1985.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I. Hoikusha. pp. 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