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ighting plan for the Tunnel of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using Fluorescent Induction Lamps and the Design Feasibility Investigation using Simulation

방폐장터널의 무전극형광램프 조명설계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적합성 검토

  • 백승경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공예학과)
  • Received : 2010.03.29
  • Accepted : 2010.05.03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Besides its basic function of illuminating a space, lighting can greatly affect the efficiency of a space when an advanced technology and planning, together with the effects of various presentations, are applied to lighting. A lighting plan suitable for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a space will only be made feasible by considering the location of a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mps to be used. In particular, the lighting plan for a space with a special function requires prior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at space.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a lighting environment for the tunnel of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is investigated via a prior lighting design and simulation, which take into accoun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unnel. For this study, the use of fluorescent induction lamp is suggested, and the standards of lighting plan and structure are follow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each segment of the tunnel. Then, a simulation analysis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plan.

조명은 공간을 비추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 진보된 기술과 디자인으로 다양한 연출 효과와 함께 공간에 효율성을 좌우한다. 공간의 효율성에 적합한 조명설계는 공간의 입지적 여건과 램프 특성에 따라 설계되어질 때 가능해진다. 특히, 특수공간의 조명설계는 공간적 특수성을 감안하여 사전 분석과 검토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폐장 터널의 공간적 특수성을 감안한 조명환경을 위하여 사전의 조명설계와 시뮬레이션을 통한 적합성 검토를 하고자 한다. 이에 무전극형광램프를 제안하며 방폐장 터널의 입지현황에 따라 구간별 조명설계 기준과 구성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조명설계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여 적합성 검토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경호․김충년․김경식, 조명의 이해와 설계, 태영문화사, 2006, p.145.
  2. 김용갑, 고효율 무전극 형광등 광원 기술개발(직관형 및 둥근형), 산업자원부, 2005, p.16.
  3. 함중걸, 고효율 무전극형광등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산업자원부, p.16.
  4. 최홍규 외 7인, 조명설비 및 설계, 성안당, 2006, p.5-76.
  5. 일본건축학회편저, 윤혜림역, 빛과 색의 환경디자인, 성안당, 2005, p.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