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Effect of Corrosion Gas and Acidic Falling Materials for Conservational Wax on the Copper based Sculpture

동(銅)이 주종을 이루는 조형물 보존용 왁스의 산성강하물 및 부식 가스에서의 영향성 연구

  • Oh, Seung-Jun (Division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n Institute for Archaeology & Environment) ;
  • Wi, Koang-Chul (The Research Center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Hanseo University)
  • 오승준 (한국고고환경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위광철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센터)
  • Received : 2010.09.29
  • Accepted : 2010.11.08
  • Published : 2010.12.20

Abstract

The influence of noxious corrosive gas, which is the product of fossil fuel, and the acidic descent material, which becomes the reason for such reaction, on wax which protects the cultural assets, and the habitat factor were researched. It could be viewed that corrosion occurred rapidly due to the acidic descent material, which have the long staying on the material, rather than harmful corrosive gas. Also, it could be figured out that such corrosion began from whitening phenomenon of coated wax. As the acidity increased, more whitening phenomenon occurred, and eventually, it could be found out that whitening effect began due to the acidic descent material, corrosive gas and various 0.1 M acid solution, which lead to the exposure of internal metal, and corrosion occurred. The wax with the greatest resistance to the acidity due to its least changing aspect seemed to be Renaissance wax, except sulfuric acid.

화석 연료의 생성물인 유해 부식 가스와 이들의 원인으로 나타나는 산성 강하물이 야외 동(銅) 조형물을 보호하고 있는 왁스에 미치는 환경에 대한 영향성을 연구하였다. 부식이 유해 가스보다는 체류성이 강한 산성 강하물에 의해 급격히 진행되는 것으로 볼 수 있었으며, 이 부식의 시작이 코팅된 왁스의 백화 현상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성도가 증가할수록 백화 현상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산성강하물 및 부식 가스에 의해 백화 현상의 시작으로 내부 금속의 노출 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부식이 진행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왁스가 코팅된 동 시편은 유해 부식 가스와 산성비, 0.1 M의 산들에 노출되었으며 이의 결과로 가장 변화가 적고 산성도에 대한 저항성이 큰 왁스로는 황산의 결과를 제외하고는 모든 실험에서 Renaissance wax의 변화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학열, "금속부식공학". 연경문화사, p4, (1997).
  2. 이창규, 김홍표, 이병국, 이홍로, 류우석, "DL-EPR과 Huey 방법을 이용한 예민화된 Alloy 600의 입계 부식 연구". 한국부식학회지, 28, p142, (1999).
  3. 진지영, "루이즈 부르주아의 재질과 보존 방안조사". 삼성 미술관 Leeum 연구논문집, 4, p132, (2008).
  4. 강대일, "문화재보존환경개론". 가삼, p148, (2007).
  5. 김희강, "대기오염개론". 동지, (1993).
  6. 정원석, 김정구, 서창제, 이병훈, "산성비 분위기에서 교량용 강재 SWS400의 용접부 부식에 관한 연구". 대한용접.접합학회지, 15, p124, (1997).
  7. 황정순, "자연 환경에 의한 야외 청동물 부식성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0, (2006).
  8. 이혜연, 조남철, 김우현, "옥외철제문화재적용을위한탈염처리방법연구". 보존과학회지, 25, p50, (2009).
  9. 이수, 박근호, 진석환, 박신규, "금속 코팅용 아크릴 올리고며 에멀젼의 합성에 관한 연구". 한국유화학회지, 25, p485, (2008).
  10. 박혜진, "야외금속 코팅재료의 특성과 차단효과성에 관한연구". 한서대학교석사학위논문, p1, (2006).
  11. 한서대학교, "국보 제41호 용두사지 철당간 보존 처리 보고서". 청주시, p17, (2002).
  12. 서동진, "인공 산성비에 의한 덩굴 식물의 내성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 (2008).
  13.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EGE.
  14. 이해욱, 김홍준, "TEOS-MTMS-PDMS 혼성 코팅막의 금속 부식 방지 특성". 가야대학교 논문집, 9, p53, (2000).
  15. 구광덕, 성장현, "카르보닐 철분말의 사출성형시 결합제의 왁스 함량이 성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금속재료학회, 1992, p61,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