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ation of Material Homogenity and Making Techniques of the Jar Coffins from the Oryangdong Kiln Site and the Ungokdong Tomb Site in Naju, Korea

나주 오량동 가마와 운곡동 분묘 유적 출토 대형전용옹관의 재료학적 동질성과 제작기법 해석

  • Kim, R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o, Mi-Soon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Yeon, Ung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Seo, Jeong-Seo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란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조미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
  • 연웅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
  • 서정석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10.05.08
  • Accepted : 2010.08.26
  • Published : 2010.09.20

Abstract

The pu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firing environments and making techniques for the jar coffins from the Oryangdong kiln site and the Ungokdong tomb site in Naju. All jar coffins had very similar physical,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lthough it was excavated from the different sites. The wall thickness of the jar coffins was about 2.3 to 5.3 cm. Under the microscopy, the jar coffins include a large quantity of various quartz with some microcrystalline and showed partly orthoclase and biotite. It is presumed that the mineral sherds added to maintain the thick wall and to control the percentage of contraction during drying and firing of jar coffins and it has contained about 11.4 to 19.8 %. Firing temperature of the jar coffins is estimated as 1,000 to $1,150^{\circ}C$. Also, all jar coffins and soils show similar geochemical behavior of elements and clay-mineralization degree within the site. This indicates making that the soil is probable to be a raw material of the jar coffins. But it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major elements of soils which is collected at the kiln floor and the trench region of the Oryangdong kiln site because of the lack of quartz and feldspar in the soils. Therefore, it can use of the jar coffins making clay, if it goes through a simple special process such as mixing temper.

이 연구는 나주 오량동 가마 유적과 운곡동 고분 유적에서 출토된 대형전용옹관의 재료학적 동질성과 소성환경 및 제작기법적 특성을 비교검토 한 것이다. 모든 옹관편은 회색계열로 물리적,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이 상당히 유사하다. 옹관 기벽의 두께는 약 2.3~5.3㎝로 미정질의 기질 사이로 분급이 다양한 다량의 석영을 포함하며 부분적으로 정장석과 흑운모가 관찰된다. 이는 대형의 옹관 제작시 건조 및 수축률을 조절하고 두꺼운 기벽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 것으로 사료되며 약 11.4~19.8%의 면적비를 가진다. 옹관편의 X-선 회절분석 결과, 뮬라이트와 헤르시나이트 등이 검출 되었으며, 이를 열적특성 분석 결과와 함께 종합할 때 약 $1,000{\sim}1,150^{\circ}C$의 소성온도를 경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옹관의 태토로 추정되는 오량동 태토저장공 토양과 옹관편과의 동질성이 입증되어 의미가 있다. 그러나 점토질의 오량동 가마 소성토와 원료산지로 추정되는 유적 남사면 토양의 경우, 미량 및 희토류원소의 거동특성은 일치하나 주성분원소에서 다소 차이를 보인다. 이들은 옹관 태토와 동일 기반암의 풍화에 의해 생성된 토양으로 간단한 정선이나 비짐첨가등 별도의 과정을 거친다면 옹관태토로의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정호, "전남지역의 옹관묘-대형옹관고분 변천과 그 의미에 대한 시론". 호남고고학보, 6, p69-84, (1997).
  2. 성낙준,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의 성격". 지방사와 지방문화, 3, p103-119, (2000).
  3. 홍보식, "영산강유역 고분의 성격과 추이". 호남고고학보, 21, p.107-137, (2005).
  4. 국립광주박물관, "영암내동리 초분골고분 ". p1-281, (1986).
  5. 정광용, 강대일, 이정호, "중성자 방사화분석에 의한 5세기 옹관의 산지 연구". 제20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55-65, (2004).
  6. 양필승, 박철원, "대형옹관의 제작기법 연구: 영산강유역 출토 옹관을 중심으로". 보존과학연구, 26, p57-75, (2005).
  7. 김란희, 이선명, 장소영, 이찬희, "기흥 농서리 유적 출토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소성온도 해석". 보존과학회지, 25, p255-271, (2009).
  8. 김지영, 이찬희, 조선영, 김란희, 이호형, "아산 탕정지구 외골유적 출토 고려 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제작기법". 보존과학회지, 25, p299-316, (2009).
  9. 김지영, 박진영, 박대순, 이찬희, "부여 쌍북리 유적 출토 도가니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1-12, (2010).
  10. 홍승호, 최범영, "나주 도폭 지질 보고서(1:50,000)". 한국동력자원연구소, p1-22, (1990).
  11. 강경숙, "한국 도자기 가마터 연구 ". 시공아트, p76-87, (2006).
  12. 목포대학박물관, 동신대학교박물관, "오량동 가마유적". p1-174, (2004).
  13.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나주 오량동 토기요지(사적 456호) 1차 시굴조사 약보고서 ". p1-17, (2008a).
  14.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나주 오량동 토기요지(사적 456호) 2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p1-22, (2008b).
  15. 마한문화연구원, 동신대학교박물관, "나주지방산업단지 (국민임대산업단지) 조성부지 발굴조사 약보고". p1-39, (2007).
  16. Dean, W.E.Jr., "Determination of carconate and organic matter in calcareous sediments and sedimentary rocks by loss on ignition: Comparison with other method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44, p242-248, (1974).
  17. Nockolds, S.R.,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p1007-1032, (1954). https://doi.org/10.1130/0016-7606(1954)65[1007:ACCOSI]2.0.CO;2
  18. Taylor, S.R. and McLennan, S.M.,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p312, (1985).
  19. Mason, B.H. and Moore, C.B., "Principles of geochemistry". John Wiley & Sons, New York, p.1-344, (1982).
  20. Pearce, J.A.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 activec continental margines". In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 (Eds. Hawkesworth C.J. and Norry M.J.), Shiva, p230-349, (1983).
  21. 신숙정, "상노대도 조개더미 유적의 토기연구". 백산학보, 28, p211-272, (1984).
  22. 한이현, "화성 향남유적 출토 토기의 정량분석과 고고과학적 해석 ".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4, (2007).
  23. Laurence D., "영산강 유역의 대형 옹관묘". 호남고고학보, 4, p115-127, (1996).
  24. 이정호, "대형 옹관의 제작과 가마에 대한 검토". 제1회 고대옹관연구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p23-68, (2009).
  25. Caria, M.S., "토기연구법(이성주 역)". 도서출판 고고, p46-48, (2008).
  26. Coble, K.L., "Effect of particle-size distribution in initialstage sintering". Jornal of American Ceramic Society, 56, p461-466, (1973). https://doi.org/10.1111/j.1151-2916.1973.tb12524.x
  27. 이찬희, 김란희, 조선영, "천안 쌍용동 용암유적 출토 조선시대 토기의 재현실험과 고고과학적 의미". 제29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37-39,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