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 The Cases of Baebongsan Park and Ogeum Park in Seoul -

산지형 도시근린공원의 배수시설 특성 - 서울시 배봉산공원과 오금공원을 사례로 -

  • Lee, Sang-Su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Received : 2010.09.20
  • Accepted : 2010.11.01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bborhood parks--Baebongsan Park and Ogeum Park--in Seoul. Based on an analysis of existing drainage facilities, the volume of storm water runoff (VSW), the runoff rate of open channels(ROC), and the detention capacity of open charmels(DCOC) by each drainage watershed, the coefficient of runoff rate(CROC) as evaluated to be relevant between VSW and ROC and the coefficient of the detention capacity of open channe1s(CDCOC) as evaluated with DCOC compared to VSW were estimated and analyzed by parks and by watershe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otal drainage area of Baebongsan Park was 34.13ha including surface runoff area(15.05ha; 44.09%), open channel area(l4.60ha; 42.78%), and natural waterway area(4.48ha; 13.13%). The total drainage area of Ogeum Park was 20.39ha including open channel area (10.14ha; 49.73%), ridge-side gutter area(7.17ha; 35.16%), surface runoff area (2.52ha; 12.36%), and natural waterway area (0.56ha; 2.75%). In Baebongsan Park, the portion of surface runoff was comparatively higher while the portion of artificial drainage area was higber in Ogeum Park. 2. In Baebongsan Park drainage districts were largely divided: VSW was $7.28m^3/s$ in total(average $0.23m^3/s$). Comparatively, tbe VSW in Ogeum Park, including smaller drainage districts, was $4.37m^3/s$ in total(average $0.12m^3/s$). 3. The ROC of Baebmgsan Park was $11.58m^3/s$ in total(average $0.77m^3/s$) and the CROC was 5.26, while in Ogeum Park, the ROC was $15.40m^3/s$(average $0.34m^3/s$) and tbe CROC was 8.87 higher than that of Baebongsan Because the size and slope of the open channel in Baebongsan Park was higher, the average ROC was larger, while tbe CROC of Ogeum Park was higher than that of Baebongsan Park, for the VSW in Ogeum Park was comparatively lower. 4. The DCOC in Baebongsan Park was $554.54m^3$ and the average of CDCOC was 179.83. That of Ogeum Park was $717.74m^3$ and the average of the CDCOC was 339.69, meaning that the DCOC of Ogeum Park was so much higber that drainage facilities in Ogeum Park were built intensively. This study was focused m the capacity of the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by using the CROC to evaluate relevance between VSW and ROC and the CDCOC to evaluate the DCOC as compared with VSW. The devised methodology and coefficient for evaluating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may he universally applicable through additional study. Further study m sustainable urban drainage systems for retaining rainwater in a reservoir and for enhancing ecological value is required in the near future.

본 연구는 서울시에 있는 산지형 도시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배수시설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배수현황, 우수유출량, 배수유출량,그리고 배수시설용량을 산출하고, 우수유출량과 배수유출량을 비교분석을 위해 배수유출량계수를 산출하고 배수시설의 설치규모를 분석하고자 배수시설용량계수를 도출하여 배수구역 및 공원별로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봉산공원의 전체배수면적은 34.13ha로서 배수유형별로는 표면배수구역 15.05ha(44.09%), 개수로배수구역 14.60ha(42.78%), 자연수로배수구역 4.48ha(13.13%)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표면배수구역이 넓어 자연상태의 표면유출이 많았다. 한편, 오금공원의 전체배수면적은 20.39ha로서 표면배수구역 2.52ha(12.36%), 자연수로배수구역 0.56ha(2.75%), 개수로배수구역 10.14ha(49.73%), 산마루측구배수구역 7.17ha(35.16%)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인공적인 배수시설구역이 높게 나타났다. 2. 배봉산공원의 총우수유출량은 $7.28m^3/s$로서 배수구역별 우수유출량 평균은 $0.23m^3/s$이며, 각 배수구역은 규모가 크고 길어서 우수유출거리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오금공원의 총우수유출량은 $4.37m^3/s$로서 배수구역별 우수유출량 평균은 $0.12m^3/s$으로 배봉산공원에 비해 절반 정도로 나타났으며, 지형의 기복이 뚜렷하지 않고 배수시설이 많아 배수구역이 작게 세분되었다. 3. 배봉산공원에 개수로가 설치된 배수구역의 전체 배수유출량은 $11.58m^3/s$이고, 배수구역별 평균배수유출량은 $0.77m^3/s$, 평균배수유출량계수는 5.26이었다. 한편, 오금공원은 전체 배수유출량은 $15.40m^3/s$이고, 배수구역별 평균배수유출량은 $0.34m^3/s$, 평균 배수유출량계수는 8.87로 나타났다. 배봉산공원은 배수구역별로 개수로의 규모와 경사 등이 커서 상대적으로 평균 배수유출량이 높게 나타났지만, 배수유출량계수는 배수구역별 우수유출량이 적은 오금공원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4. 배봉산공원의 전체 배수시설용량은 $554.54m^3$로서, 배수시설용량계수는 평균 179.83으로 나타났다. 한편, 오금공원은 전체 배수시설용량은 $717.74m^3$로서, 배수시설용량계수는 평균 339.69로 나타났다. 오금공원이 배수시설용량계수가 훨씬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오금공원에서 배수유역별로 설치된 배수시설의 총량이 많으며, 집약적으로 설치된 것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적이고 조방적인 배수체계로 조성된 배봉산공원과 인공적이고 집약적인 배수체계로 조성된 오금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배수유출량계수와 배수시설용량계수를 산정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산지형 도시공원의 배수시설의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향후 공원의 배수유출량과 배수시설용량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결과는 도시공원의 배수시설 계획 및 설계와 우수의 저류 및 생태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친환경적인 배수체계를 구축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시공원의 배수시설 특성은 지형 및 경사, 식생, 배수유형 등에 영향을 받게 되어 공원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향후 더욱 많은 공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공원에서 우수를 저류하고, 생태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친환경적인 배수체계 및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권,김태균(2008)지역별 강우분포를 고려한 블록포장지역의 유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한국조경학회지 36(4):111-119.
  2. 국토해양부(2009)하천설계기준.
  3. 김영란(2004)서울시 침수피해 저감을 위한 우수저류시설 적용방안.서울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4. 김지호,박영진,최인호,송재호(2004)산지유역의 합리식 유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한국수자원학회 2004학술발표회논문집:173-177.
  5. 농업과학기술원(2000)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6. 서울특별시(2002)하수도정비기본계획(변경)보고서.
  7. 서울특별시(2007)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재정비계획 수립 90.
  8. 서울특별시(2009a)서울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변경)보고서.
  9. 서울특별시(2009b)남산 물관리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보고서.
  10. 서울특별시,한국수자원학회(1999)98수해백서.
  11. 이해주,지병윤,정도현,김종윤,차두송(2000)임도 옆도랑의 침식요인 평가와 안정성 판별에 관한 연구.한국임학회지 89(3):397-404.
  12. 이호상,김기원,김철영(2004)임도의 횡단배수시설에 관한 연구.한국임학회 2004학술연구 발표논문집:325-327.
  13. 최기수,이상석(2003)조경구조학.서울:일조각.
  14. 환경부(2005)하수도시설기준.
  15. Chen, Jieyun and Barry J. Adams(2005)Analysis of storage facilities for urban stormwater quantity control. Advances in Water Resources 28:377-392. https://doi.org/10.1016/j.advwatres.2004.11.005
  16. Johns, Philand Neil Macdonald(2006)Making space for unruly water : Sustainable drainage systems and the disciplining of surface runoff. Geoforum 38:534-544.
  17. Kennedy, S., L. Lewis, E. Sharp and S. Wong(2007)Sustainable Urban Drainage Systems(SUDS)-More than adrainage solution?.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uistainable Techniques and Strategies in Urban Water Management. Lyon:NOVATECH 2007.pp.423-430.
  18. Lal, A. M. W., Mark Belnap and Randy Van Zee(1998)Simulation of overland and groundwater flow in the Everglades National Park.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ater Resources Engineering Conference. Memphis: rsmbiblio.bib: pp.610-615.
  19. Molzahn, Robert E. and Christopher B. Burke(1986)Assessment of drainage infrastructure for urban areas.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1(3/4): 387-389. https://doi.org/10.1016/0886-7798(86)90022-2
  20. Storm, Steven, Kurt Nathan and Jake Woland(2008)Site Engineering for Landscape Architects (5nd ed.). New Jersey:John Wiley & Sons.
  21. http://gis.seoul.go.kr/
  22. http://parks.seoul.go.kr/park/common/etc/park001.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