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 Field Oxygenation Device and Its Practice in the Oxygen Depleted Water Mass

빈산소 수괴해역 용존산소 환경개선장치 개발과 현장 적용

  • Lee, Yong-Hwa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im, Young-Suk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Shim, Jeong-Min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won, Kee-Young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이용화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 김영숙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 심정민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 권기영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Received : 2010.11.05
  • Accepted : 2010.12.23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Oxygen depleted water mass can damage aquatic animals not only in direct way but also in indirect way by generating toxic substances including occurrence of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which are also highly detrimental to animal life in the water mass. An oxygen dissolution device was developed, which makes turnover of the oxygen rich (over 20 mg/L) surface water down to the bottom where hypoxia is evident and tested the device in terms of oxygen recovery in the oxygen depleted bottom water. the device with turnover rates of $3.6\;m^2$/min at the liquid oxygen injection rate of 48~26.3 L/min could recover dissolved oxygen level to 7~25 mg/L at depth 7 m to lead to the dissolution level of over 90% by the supply of liquid oxygen. The running advantage of the device is that it does not require any auxiliary tank and higher energy for operation. Therefore, it can be highly useful device to relieve damages to the farmed animals in the oxygen depleted waters.

빈산소 수괴는 산소 부족뿐만 아니라, 용존산소의 결핍에 따른 혐기 상태에서 생성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등 유독가스가 어 패류를 직접 폐사시키거나, 저서생물 군집의 출현종과 개체 수에도 심각한 영향을 마친다. 본 연구에서는 빈산소 수괴가 발생한 해역의 저층 해수를 펌핑하여, 액체산소를 용해시켜 용존산소 농도를 20 mg/L 이상으로 상승시킨 해수를 다시 저층으로 주입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그 효능을 검토하였다. 이 장치를 이용하여 해수를 $3.6\;m^2$/min 용량으로 저층에 주입하면서 액체산소를 분당 4.8~26.3 L 범위로 공급할 때, 단시간에 해수 중 용존산소 농도는 7~25 mg/L로 상승하였다. 이때 공급한 액체산소는 해수 중에 90% 이상 용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장치는 산소를 용해시키기 위한 별도의 탱크가 필요 없고, 해수를 수면위로 퍼 올리는 높이가 낮아도 되므로 적은 동력을 이용하여 높은 효율로 고농도의 산소를 저층에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장치는 연안 및 호소의 저층 빈산소 수괴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어 빈산소 수괴 발생으로 인한 양식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산과학원(2009), 한국 연안의 빈산소 수괴, p. 173.
  2. 국립수산진흥원(1983), 한국 연안어장 보전을 위한 환경오염 조사 연구, 사업보고 제58호 부록, p.252.
  3. 문성용, 서호영, 최상덕, 정창수, 김숙양, 이영식 (2006), 가막만 동물플랑크톤의 수층 분포에 미치는 저산소화의 영향, 한국환경생물학회지, 제24권 제3호, pp. 204-247.
  4. 윤상필, 정래홍, 김연정, 김성수, 이재성, 박종수, 이원찬, 최우정(2007), 가막만의 저서환경과 다모류 군집 특성, 한국해양학지 바다, 제12권 제4호, pp. 287-304.
  5. 윤상필, 김연정, 정래홍, 문창호, 홍석진, 이원찬, 박종수(2008), 가막만의 2005년과 2006년 동계 저서환경 및 대형저서다모류 군집구조, 한국해양학지 바다, 제13권 제1호, pp.62-82.
  6. 윤종성(1998), 연안역에서의 저층 빈산소수의 용승현장(청조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제7권 제3호, pp. 291-299.
  7. 윤종성(1999), 성층수역에서 저층의 빈산소수의 혼합 및 용승현상애 관한 연구(II), 대한토목학회, 제19권 제II-5호, pp. 575-583.
  8. 조창환(1979), 1978년 진해만 적조와 양식굴의 대량폐사, 한국수산학회지, 제12권 제1호, pp. 27-33.
  9. 최우정, 박청길, 이석모(1994), 진해만의 빈산소 수괴 형성에 관한 수치실험, 한국수산학회지, 제27권 제4호, pp. 413-433.
  10. 홍재상(1987), 1983년 하계 진해만 일대해역의 저서생물의 생태학적 연구-저서생물과 저층용존산소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해양연구보고서, BSPE 00095-149-3, p. 103
  11. Hanazato, T.(1997), Development of low-oxygen layer in lake and its effect on zooplankton communities., Korean. J. Limnol., Vol. 30, pp. 506-511.
  12. Hong, J. S.(1987), Summer oxygen deficiency and benthic biomass in the Chinhae bay system, Korea. J. Oceanol. Soc. Kor., 22(4), pp. 246-256.
  13. Karim, M. R, M. Sekine, T. Higuchi, T. Imai and M. Ukita, (2003), Simulation of fish behavior and mortality in hypoxic water in an enclosed bay, Ecological Modelling, 159, pp. 27-42. https://doi.org/10.1016/S0304-3800(02)00282-X
  14. Mizumukai, K., T. Sato, S. Tabeta and D. Kitazawa(2008), Numerical studies on ecological effects of artificial mixing of surface and bottom waters in density stratification in semi-enclosed bay and open sea. Ecological Modelling, 214, pp. 251-270. https://doi.org/10.1016/j.ecolmodel.2008.02.023
  15. Pearson, T. H. and R. Rosenberg(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 Rev., 16, pp. 229-311.
  16. Wu, R. S. S.(2002), Hypoxia: from molecular responses to ecosystem responses, Marine Pollution Bulletin, 45, pp. 35-45. https://doi.org/10.1016/S0025-326X(02)00061-9
  17. 西日本新問(2009), 고농도산소 해수 주입, 6.14일자. p.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