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모트를 활용한 시지각 장애아동 교육 콘텐츠개발

Development of an Edutainment Contents using Wiimote Controller for Children with Visual Perception Disabilities

  • 유상조 (창원대학교 정보시각화연구실) ;
  • 한경임 (창원대학교 특수교육과) ;
  • 김봉석 (창원대학교 정보시각화연구실) ;
  • 박동규 (창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투고 : 2010.02.02
  • 심사 : 2010.07.12
  • 발행 : 2010.10.30

초록

현재까지 유아나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활용 교육 콘텐츠는 지각훈련, 인지훈련, 한글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되었으나 가장 큰 문제점은 컴퓨터 모니터 앞에서 장시간 마우스를 이용하여 교육을 할 경우 활동성이 저하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특히 왕성하게 운동 능력이 발달하는 시기의 유아와 운동 장애로 인해 활동 기회가 부족한 장애 아동에게 적잖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활동성과 협동력, 몰입성을 강화시키는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스크린 상에서 인간의 동작을 인식하여 이를 대화식으로 보여주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콘텐츠의 단점을 보완하고, 사용자의 활동성을 강화하기 위해 위모트가 가지는 센서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빔 프로젝터나 컴퓨터 스크린으로 교육콘텐츠를 제공하고 신체를 직접 움직이며 적외선 펜을 사용하여 자극에 반응하는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Until now, many Computer Aided Education(CAE) contents are developed for kid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contents cover various types of training, including visual perception training, intelligence development training, and literature education areas. Major problems on those contents are those contents requires long training time on desktop machine, which deteriorates human activities. These problems also cause inaction syndrome for young kid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Solving this problem, we require a human motion sensing contents on touch screen or touch board, which interacts with a trainees and enhancing activity, collaboration and immersiveness. We implement and develope an education contents interacts with a trainee using beam projector or screen and IR(Infra-Red) pens using wiimote controller sensing technology.

키워드

참고문헌

  1. 임호찬 and 김미경, "미술치료교육이 미세뇌기능장애아의 시지각 기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6권, 제4호, pp 563-580, 2005, 12.
  2. Arnheim, R., Art and Visual Perception: A Psychology of the Creative Eye, Berkeley,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4.
  3. 여광용, 특수아동의 심리학적 이해, 학지사, 서울, 2003.
  4. 박순길, "뇌성마비아의 시지각 능력과 언어학습능력과의 관계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제8권 1호, pp 45-64, 2006.
  5. Watson, C, & Willows, D.M., "Information-ercessing patterns in specific reading disability,"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8, pp 216-231, 1995. https://doi.org/10.1177/002221949502800404
  6. Kirk, S. A, and Chalfant, J. C., Academic and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London: Love Publishing, 1984.
  7. 신동경,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중도 뇌성마비 아동의 문자 학습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8. 이효정, "뇌성마비아의 시지각에 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 15권, 3호, pp 433-446, 2003.
  9. 강희정 and 김영일,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주의집중 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제8권, 3호, pp 213-232, 2006.
  10. 노현숙, "컴퓨터중재 시지각 훈련이 정신지체아의 정보활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신지체분과 현장특수교육 연구보고서, 2003.
  11. 전주영, 조민경, 김해영, 이은혜 and 김수경, "일반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의 상관관계,"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245-258, 2007.
  12. 여광용,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특수교육, 1994.
  13. Gerwin de Haan, Michal Koutek and Frits H. Post, "Toward Intuitive Exploration Tool for Data Visualization in VR," Proc. of ACM Symposium on Virtual Reality Software and Technology 2002, pp. 105-112, Nov. 2002.
  14. Gun A Lee, Gerard Jounghyun Kim and Chan-Mo Park, "Modeling Virtual Object Behavior within Virtual Environment," Proc. of ACM Symposium on Virtual Reality Software and Technology 2002, pp. 41-48, Nov. 2002.
  15. Johnny Chung Lee, "Low-Cost Multi-point Interactive Whiteboards Using the Wiimote," http://www.johnnylee.net/projects/wii/. 2007.
  16. 이민정, 천미향 and 박동규, "CCD 카메라와 빔 프로젝터를 이용한 비몰입형 2차원 가상현실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30, No.1, pp. 594-596, 2003.
  17. 김주완 and 장병태, "평면을 이용한 이미지 시퀸스에서의 3D 그래픽 정합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 30, No.1, pp. 190-192, 2003.
  18. 강수균, 이규식, 전헌선 and 최영하, "감각.운동.지각훈련," 대구:대구대학교출판부,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