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New OSMU Education Model Applying Local Content as a Source

지역 콘텐츠를 이용한 OSMU 교육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승환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디지털콘텐츠)
  • Received : 2010.11.12
  • Accepted : 2010.12.26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OSMU is now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words in the media industry. However, how to educate future media workers who can design and implement OSMU is an unsolved problem to media educator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wo perspectives of OSMU, namely economic perspective and storytelling perspective, this study propose a new OSMU education model for college students. Beginning with creating local content using MediaWiki, this model consists of five phases of media windowing, including MediaWiki, smartphone application, Web design, multimedia e-magazine for tablet PC, and publication. A Chuncheon-based university has been experimenting with this new OSMU education program. MediaWiki has played important role for creating local content collaboratively. All That Chuncheon application is now on service via SKT Tstore and Chuncheon Web pages has been designed successfully. Multimedia e-magazine and book publication is under preparation. The experiment has been successful so far, mainly due to the strategic choice of local content as the source of following media window. Also students have been strongly motivated for participating in this OSMU program.

OSMU가 미디어 산업의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지만 정작 어떻게 전문 인력을 교육해야 할지에 대한 대응은 미흡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OSMU를 바라보는 두 개의 큰 흐름인 경제적 시각과 스토리텔링적 시각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학 차원의 새로운 OSMU형 교육모델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OSMU 교육 프로그램은 미디어위키를 이용하여 협업으로 지역 콘텐츠를 생산하도록 한다. 이후 만들어진 콘텐츠를 미디어위키, 스마트폰용 앱, 웹디자인과 멀티미디어형 e-매거진의 소스로 활용하고, 출판과 신문 등의 멀티소스로 활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디지털콘텐츠전공이 있는 지역의 한 대학에서 새로운 교육모델을 실제 OSMU 교육에 적용한 결과 큰 무리없이 진행될 수 있었다. 먼저 미디어위키는 교수와 학생들이 협업으로 지역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효과적이었고 그 자체로 온라인 위키 서비스를 제공한다. 안드로이드용 스마트폰 앱은 T스토어를 통해 공식 출시되어 높은 이용자 평점을 받고 있다. 또 개발된 지역 콘텐츠을 활용한 실제적인 웹 디자인이 이루어졌다. 한편 출판을 위한 과정의 과도기로 지역 콘텐츠는 각종 신문의 연재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지역 콘텐츠는 향후 멀티미디어형 e-매거진과 책의 형태로 출판될 예정이다. 콘텐츠의 개발과 동시에 멀티유스 전략을 실행하는 것은 단기간에 성과물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이는 학생들의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성취감은 소중한 교육적 효과로써 앞으로 더욱 적극적인 참여를 유인하는 동기부여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교육 프로그램은 향후 더 발전하여 대학 레벨에서 콘텐츠와 미디어 실무 제작능력 배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경험과 보다 교육학적 이론에 바탕을 둔 발전된 정규 OSMU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은 앞으로의 과제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