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테트라포드로 피복된 사석경사제를 대상으로 하여 설계파 조건, 피복층 마루폭 그리고 마루 여유고를 변화시켜 수리실험을 수행한 후, 대상 구조물의 월파 성능을 검토하며 그리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월파량 예측모형을 적용하여 수리실험 결과와 비교를 통해 예측모형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사면경사와 주기는 월파량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나, 피복층 마루폭의 변화에 따른 월파량의 차이는 미미한 편이다. Owen(1980)의 예측모형은 계측월파량과 비교하여 과대 예측하는 반면에, Van der Meer et al.(1998)의 예측모형은 비교적 급한 사면($cot{\alpha}$=1.5)에서만 과소 예측하는 경향이 있다. Besley(1999)와 Pedersen(1996)의 예측모형은 보다 폭이 넓은 피복층 마루폭을 가진 사면에서 계측월파량에 비교적 좋은 일치를 보여주나, 모든 실험조건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수정 Pedersen의 예측모형이 계측월파량에 가장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Laboratory tests of wave overtopping rates for a rubble mound breakwaters armoured Tetrapod were carried out, with varying design waves, crest berm widths and crest freeboar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vertopping performance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dely used overtopping prediction models through the results of laboratory tests. Laboratory tests show that structure slope and wave periods have a considerable influence on overtopping rates, but the difference of overtopping rates related to crest berm widths is slight. Owen(1980)'s prediction considerably overestimates compared to the measured valued. Prediction of Van der Meer et al.(1998) underestimates only for steep slope($cot{\alpha}$=1.5). Besley(1999)'s and Pedersen(1996)'s predictions have a relatively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results for slopes with a broader crest berm width. In general, best agreement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overtopping rates is observed using modified Pedersen(1996)'s formula for all test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