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월파량 예측모형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mparision of Overtopping Performance and Prediction Models for Rubble Mound Breakwaters Armoured Tetrapod (테트라포드로 피복된 사석경사제에서 월파 성능 및 예측모형의 비교)

  • Kim, In-Ch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2 no.6
    • /
    • pp.397-404
    • /
    • 2010
  • Laboratory tests of wave overtopping rates for a rubble mound breakwaters armoured Tetrapod were carried out, with varying design waves, crest berm widths and crest freeboar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vertopping performance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dely used overtopping prediction models through the results of laboratory tests. Laboratory tests show that structure slope and wave periods have a considerable influence on overtopping rates, but the difference of overtopping rates related to crest berm widths is slight. Owen(1980)'s prediction considerably overestimates compared to the measured valued. Prediction of Van der Meer et al.(1998) underestimates only for steep slope($cot{\alpha}$=1.5). Besley(1999)'s and Pedersen(1996)'s predictions have a relatively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results for slopes with a broader crest berm width. In general, best agreement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overtopping rates is observed using modified Pedersen(1996)'s formula for all test conditions.

Analysis of the Effect of Reducing Wave Overtopping by Wave Return Walls (반파 구조물에 의한 월파 저감 효과 분석)

  • Oh, S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8 no.1
    • /
    • pp.1-6
    • /
    • 2016
  • The effect of reducing wave overtopping by use of the wave return wall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ased on physical experiments. The overtopping discharge for the arc seawall and the inclined seawall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predictive formula that estimates reduction of overtopping by the wave return wall. When the overtopping discharge was relatively large ($q/{\sqrt{gH^3_s}}>10^{-3}$), the agreement in terms of overtopping reduction rate was fairly good between the prediction and the measurement. For the condition of smaller overtopping than the above criterion, however, the discrepancy was large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result. In this context, it is required to develop a better formula for estimating reduction of wave overtopping by the wave return wall.

Simulation of flooding of coastal urban areas by rainfall and storm surge (강우와 폭풍해일에 의한 해안 도시지역 범람 모의)

  • Yoo, Jaehwan;Jang, Sedong;Kim, Beom Jin;Kim,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3-233
    • /
    • 202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의 증가로 침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해안지역의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으나, 해안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해안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폭풍해일로 인한 월파뿐만 아니라 강우도 고려하여 해안지역의 범람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해안지역에 대한 빈도별 폭풍해일과 강우로인한 범람 모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수치해석 모형의 경계조건을 산정하기 위해 EurOtop(2018)의 경험식을 이용하여 월파량을 산정하였다. EurOtop의 월파량 산정 시 암석 옹벽이 아닌 콘크리트 옹벽으로된 경사식 단면으로 고려하여 계산하였고 산책로와 벽까지 고려하여 계산하였다. 경험식 계산을 위해 매개변수(유의파고, 여유고, 구조물의 조도계수, 구조물의 기울기 및 경사 등)를 조정하여 계산하였다. 이 중, 계산에 사용된 유의파고는 시나리오별 강우에 대해 SWAN(Simulating WAves Nearshore)으로 계산된 값을 활용하였고, 해안선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해안지역 각 지점별 파고값의 평균을 사용해 월파량 계산을 진행했다. 이때, 파고의 종류로 5% 확률의 파고, 평균 파고, 중앙값 파고, 95% 확률의 파고로 분류해 월파량 계산을 진행했고, 그 중, 평균 파고를 이용해 계산한 월파량을 수치해석 모델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시나리오별로 계산된 월파량만을 이용해 2차원 침수모형인 FLO-2D의 경계조건 입력값으로 사용하여 침수 양상을 표출하기 위해 Mapper와 ArcGIS를 이용하여 침수와 범람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 다른 조건으로 시나리오별 계산된 월파량, 연구유역 해안 반대편에 위치한 산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 그리고 해안지역 전체에 내리는 강우를 입력자료로 사용해 모의를 진행한 후 Mapper와 ArcGIS로 표출하여 침수 및 범람 양상을 확인하였다.

  • PDF

Hydraulic and Numerical Tests on Wave Overtopping for Vertical Seawall with Relatively Shallow and Steep Sloped Water Depth (상대적으로 수심이 낮고 급한 전면 경사를 갖는 직립식 호안에서의 월파량 산정에 관한 수리 및 수치 실험)

  • Young-Taek, Kim;Hyukjin, Choi;Hwangki, L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4 no.6
    • /
    • pp.258-265
    • /
    • 2022
  • In Korea, the hydraulic model tests for measuring the wave overtopping have been almost conducted with no bottom slope or single slope condition in Korea. In this study, the bottom seabed for the coastal road area was fabricated at the wave flume and the wave overtopping was measured. The overtopping rate was also measured with the numerical modelling by OLAFoam. The measuring data were compared with EurOtop manual. It could be known the the influence of the foreslope in front of the vertical wall was significant and the these effects should be concerned when designing the coastal structures. And also it could be known that OLAFoam could be used to predict the wave overtopping rate for the complex bottom topography.

Analysis of coastal city flooding in 2D and 3D considering extreme conditions and climate change (극한 조건과 기후변화를 고려한 2차원 및 3차원 해안 도시 침수 해석)

  • Jaehwan Yoo;Sedong Jang;Byungh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6-126
    • /
    • 2023
  • 최근 대한민국에서는 기후변화로 전국 각지에서 돌발성 호우와 태풍의 강도 및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국가시설이 위치한 해안 도시의 2차원 3차원 모형을 통해 극한 조건하 침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해양수산부 "2019년 전국 심해설계파 보고서"를 기반으로 극치분포 중 Weibull 분포를 이용하여 극한 조건, 1,000년부터 1,000,000년 빈도의 재현기간의 파도 높이와 풍속을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를 SWAN(Simulating WAves Nearshore)의 입력값으로 해상에서 100m 간격의 파고 높이를 계산하였다. 이때 100m 간격으로는 방파제 지형을 정확히 해석하지 못하였기에, 상세파고 계산을 위한 Nesting 기법을 이용하여 20m 간격의 파고 결과를 도출하였고, 해안 도시 인근 해상에서 10.916m의 파고를 예측하였다. 또한, 예측된 파고를 이용해 EurOtop(2018) 매뉴얼의 경험식을 기반으로 연구 유역으로 유입되는 월류량 계산에 사용하였다. 결과로 16방위 중 SSE 방향, 1,000,000년 빈도 재현기간 조건에서 0.0306cms/m의 월파량을 예측했다. 예측된 자료를 바탕으로 2차원 침수해석은 FLO-2D 모형, 3차원 침수해석은 FLOW-3D 모형을 이용하였다. 2차원 침수해석 결과 주요 지점에서 0.18~0.33m의 침수가 예상되었고 3차원 침수해석 결과 동일한 지점에서 0.240~0.333m의 침수가 예상되었다. 모의 결과 2차원과 3차원 모형 간 침수 예측 결과가 0.3cm에서 6.1cm의 차이를 나타내어 모형 구축이 합리적으로 이뤄졌다고 판단하였으며 연구 유역에서는 침수가 예상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해안에 위치한 주요 도시지역과 국가 주요 시설물에 대한 침수해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대피계획 등 재난예방대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음으로 예상된다.

  • PDF

Modified SBEACH Model for Predicting Erosion and Accretion in front of Seadike (수정 SBEACH 모델에 의한 호안 전면의 침퇴적 예측)

  • Han, Jae-Myong;Kim, Kyu-Han;Shin, Sung-Won;Deguchi, Ichir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3 no.6
    • /
    • pp.482-488
    • /
    • 2011
  • Seadike is a coastal structure constructed in the rear region of the foreshore to maximize its usability by preventing direct effect of wave. The expected construction field is determined under the design wave and tidal condition where minor wave overtopping is anticipated. Thus, the location of seadike is generally fixed at the highest site of the surrounding area with seadike crest height controlling the permissible range of wave overtopping volume. But a lot of times, frontal sand beach of the seadike continuously deforms due to incident waves, resulting failure in maintaining its initial slope. The erosion and deposition of the seadike front cause changes in the crest height and volume of wave overtopping and decrease in the setting depth of the seadike, which endangers seadike region as a result. In this study, the relation of local scouring and setting depth of the seadike front in the run-up region is examined by using 2D hydraulic model tests and numerical simulations by modified SBEACH model. As a result, the study learned that if appropriate boundary condition is applied to the modified SBEACH model, it is possible to create practical estimations on the local scouring at the seadike foot when erosive waves flow into the region.

Prediction of Mean Water Level Rise Behind Low-Crested Structures and Outflow Velocity from Openings by Using a Hybrid Method Based on Two Dimensional Model Test and Hydrodynamic Numerical Modeling (단면수리모형 및 해수유동모델링 결합기법에 의한 저마루 구조물 배후의 평균수위 상승 및 개구부 유출유속 예측)

  • Lee, Dal Soo;Lee, Ki-Jae;Yoon, Jae Seon;Oh, S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9 no.6
    • /
    • pp.410-418
    • /
    • 2017
  • The stability of low-crested structure (LCS) and overtopping discharge over a seawall behind the LCS are influenced by the water level behind the structure. Hence, the experimental results can be distorted unless the increase of water level is known when two-dimensional experiment is carried out. In order to estimate increase of the mean water level behind the low-crested structure, this study applied a hybrid technique that combined results of two-dimensional model test and hydrodynamic numerical modeling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level and discharge. By using this technique, the mean water level increase and flow field can be obtained almost at the same time, which resolved the above problem considerably. In addition, this method can provide an approximate information about the outflow velocity from the openings of the structure, which is helpful for selecting appropriate planar configuration of the low-crested structure.

Development of Turbidity Management System for Nakdong River using Water Quality Model (수질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탁도관리시스템 구축)

  • Kim Young Do;Noh Joonwoo;Ko Ick Hwan;Kim Woo 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378-1382
    • /
    • 2005
  • 여름철 집중강우시 유입되는 고탁수층은 저수지의 밀도성층으로 인하여 표수층 하부에 위치하며, 이를 적기에 배제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확산현상과 연직방향의 전도현상으로 인해 저수지 전역에 분포하게 되어, 탁수현상의 장기화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탁수장기화에 대한 저수지내 대책의 하나로서 홍수유입후 탁도가 높은 물을 단기간동안 방류하고, 갈수기에는 탁도가 낮은 물을 방류하는 선택취수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임하댐의 경우, 2004년 태풍 '디앤무'와 태풍 '메기'로 인해 발생한 탁수를 선택취수를 통하여 조기에 배제함으로써 호내탁도를 저감시킨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탁수 우선배제 기법은 반드시 하류하천의 영향범위를 사전에 분석검토하고, 하류하천의 수질현황을 고려한 합리적인 운영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2004년 태풍 '디앤무' 발생직후의 댐방수로에서 170 NTU의 고탁수를 방류한 경우, 유하거리 250 km인 지점까지 30 NTU이상 유지된 바 있으며, 태풍 '메기'에 의한 고탁수 유입시, 임하댐 방류수 157 NTU, 안동댐 방류수 37 NTU인 경우에 임하댐 하류 113 km인 구미 선산 취수장까지 63 NTU의 탁도가 유지된 바 있다. 현재 임하댐의 경우, 하류하천으로의 방류수 수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자동수질측정시스템이 발전취수탑 전면 1개소, 조정지댐 1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수질측정시스템과 연계하여 수질모형을 통하여 임하댐 하류하천인 낙동강 본류의 탁도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환경부의 수질측정망 자료를 통하여 최근 3년간의 부유사농도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으며, 태풍 직후의 낙동강 주요지점별 탁도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임하댐 고탁도방류에 의한 영향범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하천수질모형을 이용하여 탁수예측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고, 이를 이용한 탁도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함께, 2단계에 (주)웹솔루스에서 자체적으로 설치 운영하고 있는 2개소의 하수관거 모니터링 관측시설, 그리고 안양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5개소의 강우관측소와 7개소의 수위관측소를 모두 통합하여 실시간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수위자료는 10분단위의 텍스트정보와 그래프형태로 지원되며, 검색기간 설정을 통해 원하는 기간내의 자료를 선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기초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류하천의 탁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택취수탑의 운영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선택취수탑 주위의 성층흐름을 기존의 실험자료와 수치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온도성층구조나 취수구의 위치변화에 따른 방류수 수질특성을 조사하였다.쇄파대(artifical reef)와 같은 완충지대를 갖는 호안을 축조함으로써 월파량을 감소시키는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수행을 통해 태풍 내습시 발생 가능한 자연재해에 대한 사전 방지를 목적으로 태풍피해의 원인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여 현재의 방재대책이 항구적인 방재대책으로 전환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L-arabinose, 및 D-galactose; 제3차(第三次)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C)에서 L-rhamnose, D-xylose, L-arabinose 및 D-galactose, 비가수분해물(非加水分解物)(C')에서 D-xylose와 D-galactose를 검출(檢出)하였다. (4) 구성당(構成糖)의 형태(形態)와 구조(構造)를 밝히기 위(爲)해 polysaccharide C에 대한 periodate산화(酸化) 실험(實驗)을 하여 $C_5H_8O_4$당(當) periodate의 소비(消費)와 form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을 측정(測定)하였는데 periodate의 소비량(消費量)은 1.23 mole, formic acid의 생성량(生成量)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