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남자 역도 선수의 척측 측부인대 초음파 검사

Ultrasonographic Assessment of the Ulnar Collateral Ligament in High School Male Weight Lifters

  • 장일웅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 김세식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 최창혁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Jang, Il-Woo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Kim, Se-Si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Choi, Chang-Hy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발행 : 2010.09.30

초록

목적: 남자 고교 역도 선수에게서 나타나는 주관절 부위의 변화와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의 정도 및 빈도를 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평균연령 16.8세(범위 16세-18세) 고교 남자 역도 선수 15명(실험군, Group I) 및 평균 연령 16.7세(범위 16-17세)인 대조군(Group II) 9명을 대상으로 하여 주관절 부위 병력 청취, 신체검사, 단순 주관절 방사선 촬영, 외반 부하 방사선 검사 및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관절 주위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단순 방사선 촬영상 내측 관절 간격은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3.6 mm, 2.7 mm; p>0.05), 외반 부하 방사선 사진상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 되었다(우측 평균 5.86 mm 및 3.52 mm, p<0.01, 좌측 평균 5.33 mm 및 3.64 mm, p<0.01). 초음파 검사상 실험군에서 내측 관절 간격이 유의하게 증가 되어 있었고(우측 평균 4.66 mm 및 3.29 mm, p<0.01, 좌측 평균 8 mm 및 3.38 mm, p<0.01), 척골 근위부가 유의하게 외측 이동되어 있었으며(우측 평균 0.73 mm 및 1.43 mm, p<0.01, 좌측 평균 0.96 mm 및 1.53 mm, p<0.05), 주관절 각변형 또한 실험군에서(우측 A형 6례, B형 9례, 좌측 A형 9례, B형 6례), 대조군(우측 A형 9례와 좌측 A형 9례)에 비해 유의하게 나타났다. 실험군에서 운동경력(p>0.1) 및 우세팔 여부(p>0.05)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남자 고교 역도 선수들의 주관절 내측 이완성의 빈도가 높았으며, 동적 초음파 검사를 이용시 보다 효과적인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Purpose: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injury in elbow joints in the high school male weight lifting athlet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group (group I) included 15 male weight lifting athletes (average age: 16.8) and the control group (group II) was demographically matched 9 male with no symptoms on their elbow. Both elbow joint was evaluated through physical examination, plain radiograph, valgus stress view and ultrasonography. Results: On plain radiograp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3.6 mm, 2.7 mm; p>0.05) for the medial articular distances between both groups. The valgus stress view revealed the significant increase in group I (right, avr. 5.86 mm and 3.52 mm, p<0.01, left, avr. 5.33 mm and 3.64 mm, p<0.01). On ultrasonography, medial joint space was increased in group I (right, avr. 4.66 mm and 3.29 mm, p<0.01, left elbow 4.28 mm and 3.38 mm, p<0.01). The lateral shifting of proximal ulna also increased in group I (right, avr. 0.73 mm and 1.43 mm, p<0.01, left, avr. 0.96 mm and 1.53 mm, p<0.05). The angular deformity were more prevalent in group I. Conclusion: The medial joint space widening and angular deformity was prevalent in male weight lifting athletes. the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was useful in evaluating the degree and incidence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injur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