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측 측부 인대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2초

고해상도 초음파로 추시된 슬관절 내측측부인대 점액낭염에 대한 증식치료의 효과 (Effects of Prolotherapy on Medial Collateral Ligament Bursitis of the Knee Joint Identified with High Resolution Ultrasound)

  • 김응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69-473
    • /
    • 2019
  • 슬관절 내측 통증은 정형외과 영역에서 흔한 문제이다. 초음파를 통하여 내측측부인대 점액낭염, 내측 반월상 연골 낭종, 내측측부인대 퇴행성 변화, 내측 반월상 연골의 탈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증식치료는 무릎의 내측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내측측부인대 점액낭염 환자에게 증식치료 시행 후 근골격계 초음파로 추시하여 점액낭염의 호전을 관찰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원위 대퇴골 인대 부착부의 강도 비교 - 사체의 대퇴골에 행한 실험적 연구 - (Comparative Biomechanical Study of Stiffness on Ligamentous Attached Sites of Distal Femur - Experimental Laboratory Study on Cadaver Femora -)

  • 곽지훈;심재앙;양상훈;김동희;이범구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6-32
    • /
    • 2009
  • 목적: 사체의 원위 대퇴골을 이용하여 각각의 인대가 붙는 부위의 골 강도를 비교함으로서 재건술이나 인대 보강 술식시 고정에 참고할 수 있는 지표로 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0구의 사체, 15개의 원위 대퇴골을 이용하여 골밀도 측정 후 5 개의 원위 대퇴골에 5.0 mm 유관나사를 각각의 인대 부착부, 즉 전방 십자 인대, 후방 십자 인대, 내측 측부 인대, 외측 측부 인대의 부착부에 삽입하고 최대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고(실험 1), 10개의 원위 대퇴골을 이용하여 돼지의 신전건을 각각의 인대 부착부, 즉 전방 십자 인대, 후방 십자 인대, 내측 측부 인대, 외측 측부 인대의 부착부에 삽입하고 흡수성 간섭 나사로 고정 후 최대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실험 2). 결과: 골밀도 검사는 실험 1이 $1.205{\pm}0.137\;g/cm^2$, 실험 2가 평균 $1.236{\pm}0.089\;g/cm^2$로 양 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실험 1의 최대 인장 강도는 전방 십자 인대 군이 평균 $519.1{\pm}111.7$ N, 후방 십자 인대 군이 평균 $638.9{\pm}144.4$ N, 내측 측부 인대군이 평균 $169.7{\pm}56.0$ N, 외측 측부 인대 군이 평균 $225.6{\pm}61.5$ N으로 후방 십자 인대 군, 전방 십자 인대 군, 외측 측부 인대 군, 내측 측부 인대 군 순이었고, 실험 2의 최대 인장 강도는 전방 십자 인대 군이 평균 $310.6{\pm}31.0$ N, 후방 십자 인대 군이 평균 $379.9{\pm}47.4$ N, 내측 측부 인대 군이 평균 $104.01{\pm}14.4$ N, 외측 측부 인대 군이 평균 $131.5{\pm}21.9$ N으로 실험 1과 동일한 순이었다. 양 실험 모두 전방 십자 인대 군과 후방 십자 인대 군 간, 내측 측부 인대 군과 외측 측부 인대 군 간 강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내측 측부 인대 군과 외측 측부 인대 군이 전방 십자 인대 군과 후방 십자 인대 군에 비해 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대퇴 터널과 동일한 두께, 최소 길이의 간섭 나사못 고정은 불충분한 고정력을 제공하므로 전방 십자인대, 후방 십자인대, 내, 외측 측부 인대 재건술시 부가적인 술식이 필요하며 특히 외측 측부 인대와 내측 측부 인대 부착 부위의 강도는 후방십자 인대와 전방 십자 인대 부착 부위의 강도에 비해 현저히 약하므로 외측 또는 내측 측부 인대 재건술 및 보강술시 고정 방법에 대해 주의를 요하며 이를 보강할 수 있는 술식이 필요로 하다고 사료된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 시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의 효과 (Effect of Release of the Superficial Medial Collateral Ligament in Repair of the Posterior Medial Meniscus Root Tear)

  • 양병세;이동원;남상욱;하정구;김진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4-120
    • /
    • 2012
  •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 시 시행하는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의 유용성 및 안전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부터 2010년 9월까지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을 시행하지 않고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 20명(PM군)과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을 시행하고 봉합술을 시행한 시행한 환자 32명(RM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반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제외하였다. 안정성 검사로 술 후 3개월, 1년 추시 시 압통, 주관적 불안정성 및 외반 부하 검사를 시행하였고, 유용성 검사로 압박대 사용시간을 비교하였고, 임상 결과는 Lysholm 점수와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점수로 평가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과 관련하여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합병증은 없었다. 술 후 3개월 및 1년 추시 관찰 시 압통, 주관적 불안정성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5명의 환자에서 외반 부하 검사상 grade I의 불안정성을 보였다. 압박대 사용 시간은 PM군 $53.5{\pm}13.6$분, RM군 $41.3{\pm}12.7$분으로 두 군간 차이를 보였다(P<0.05). 술 후 임상결과는 PM군은 술 전 Lysholm 점수 $56.8{\pm}5.5$에서 술 후 $85.1{\pm}5.8$로(P<0.001), 술 전 IKDC 점수 $42.6{\pm}6.3$에서 술 후 $77.2{\pm}6.3$로(P<0.001), RM군은 술 전 Lysholm 점수 $56.2{\pm}5.4$에서 술 후 $87.4{\pm}3.9$로(P<0.001), 술 전 IKDC 점수 $42.7{\pm}5.7$에서 술 후 $89.6{\pm}2.9$로(P<0.001) 개선되었다. 두 군간 수술 전, 후의 Lysholm 점수, IKDC 점수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표층 내측측부인대 유리술은 슬관절 내측 수술 시 시야 확보에 유리하며,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임상적 의미있는 잔존 불안정성을 남기지 않아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 부착부 봉합술 시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발생한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후 발생한 골용해 (Osteolysis-Related Bioabsorbable Suture Anchor Fixation in a Medial Collateral Ligament Avulsion Fracture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 허정욱;박만준;홍성확;박준형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45-549
    • /
    • 2020
  •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드물게 발생하는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의 치료는 보조기나 캐스트 등의 보존적 치료, 금속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등의 다양한 치료법이 소개되고 있다.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은 생체 적합성, 방사선 투과성, 제거를 위한 2차 수술이 불필요하다는 장점 등으로 여러 부위에서 금속 고정물을 대체해 사용되고 있으나 골용해 등의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발생한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후 심각한 골용해 소견을 경험하여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판단하에 이에 대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스키에 의한 슬관절 인대 손상 (Ligament Injuries of Knee in the Recreational Skiers)

  • 이동철;고진혁;김동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7-43
    • /
    • 2003
  • 목적: 스키손상에서슬관절인대손상의형태와영향을줄수있는인자를분석하고, 수상전후의슬관절기능평가및스포츠활동도변화를알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슬관절인대손상환자30명을대상으로설문및이학적검사, X선및MRI 촬영을통한평가를하였고, 기능평가는Lysholm Knee Scoring Scale, 스포츠활동도는Tegner activity score로평가하였다. 결과: 내측측부인대손상을동반한전방십자인대손상이11명으로가장많았고, 내측측부인대손상이9명으로그다음이었다. 수상기전은유령발현상(phantom foot phenomenon)과외전-외회전기전이각각13례와12례로83 $\%$를차지했다. 최종추시에서평균Lysholm score는93.4점으로매우양호하였으며, 활동도는수상전Tegner activity score 6.1점에서수상후4.2점으로감소되었다. 기능과활동도평가에서내측측부인대단독손상군이경과가가장양호하였으며, 내측측부인대손상을동반한전방십자인대손상군이경과가불량하였다. 스키손상에영향을미칠수있는요인으로는스키를지속적으로2시간이상탄경우, 바인딩이풀리지않는경우, 적절한스키강습프로그램을받지않은경우였다. 결론: 환자들의수상후Lysholm score는매우양호했지만, 수상후스포츠활동도에서는수상전과뚜렷한차이를보여적극적이고체계적인스포츠복귀프로그램이필요함을알수있었다.

  • PDF

초음파를 이용한 슬관절 내측 불안정 평가 -측정기법- (Evaluation of Medial Instability of the Knee with Ultrasonography - Technical note -)

  • 김정만;이동엽;고인준;김승민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3-77
    • /
    • 2008
  • 목적: 슬관절의 내측 측부 인대 손상으로 인한 내측 불안정의 정도 측정 시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반 및 외반 상태에서 동적으로 측정하는 기법을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내측 측부 인대의 손상이 있었던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관찰 시에 손상 직후 운동제한 보조기(limited motion brace)를 착용시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수상 직후, 6주 및 12주에 초음파로 내측 불안정성의 치유 경과를 관찰하였다. 평가는 슬관절을 30도 굴곡시키고 내반 및 외반 상태에서 대퇴골의 내측f 상과의 직하부에서 경골의 골 기시부까지의 거리를 계측하였다. 결과: 초음파 이용 시 내측 상과(medial epicondyle) 직하부에 골피(cortex)가 직선으로 내려가기 시작하는 부위와 경골 근위부의 관절 연골 둥근 부분 직하부의 골피 시작 부위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였고 내반 및 외반은 하지 중력 만을 이용한 생리적 상태로 초음파 시야를 조정하면서 동적으로 측정하여 항상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초음파는 내측 불안정의 정도 평가 시에 내측 측부 인대의 추가 손상 없이 내반 및 외반의 동적 상태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 PDF

슬관절의 해부학과 신체 검진법 (Anatomy and Physical Examinations of the Knee)

  • 유재호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0-57
    • /
    • 2008
  • 구조물에 대한 체계적 이해인 해부학과 그 역할에 대한 기능적 확인이라고 할 수 있는 신체 검진법은 슬관절을 진료하는 임상의로서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소양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슬관절의 골성 구조, 반월상 연골, 전후방 십자 인대, 내외측 측부 인대, 근육, 내측 및 외측 삼층 구조 개념, 전후방 해부학, 슬관절 주위 점액낭에 대한 해부학 및 반월상 연골, 내외측 측부 인대, 전방 십자 인대, 후방 십자 인대 및 후측방 구조물에 대한 신체 검사에 대해 기술하였다. 해부학 및 신체 검진법에 대한 개념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는 슬관절을 치료하는 임상의에게 나침반과 등대와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의 관절경적 봉합술 (Arthroscopic Repair for the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 최종혁;윤한국;김형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7-142
    • /
    • 2005
  • 목적: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최소한의 절개에 의한 봉합술 후 조기 운동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슬관절의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로 내원하여 인대 봉합술로 치료받은 환자 중 최소 6개월 이상 추시 관찰되었던 38명(39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평가는 이학적 검사, KT-10000을 이용한 전방 전위 검사 및 Lysholm평가를 이용하여 수술결과를 파열양상, 활막의 상태, 내측 측부 인대 손상 여부등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후 운동장해는 근위부 및 원위부의 복합파열과 내측 측부 인대 동반손상시 빈도가 의미있게 높았으며 근위부 단독파열과 활막의 파열이 없는 경우 의미있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전방 불안정성은 근위부 파열만 있는 경우 의미있게 적었으며 복합파열과 활막의 손상이 심할수록 전방 전위가 의미있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급성 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로 관절경적 봉합술은 근위부 단독파열이면서 활막손상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결과가 좋은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Throwing injury of elbow

  • 최창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3년도 제14차 학술대회
    • /
    • pp.158-166
    • /
    • 2003
  • 반복적인 투구동작은 성장기의 주관절에 손상을 주기 쉬우며 투구 시 통증을 유발할 경우, 투구를 중지하고 관절의 능동적 휴식을 통해 유연성을 회복하고 점차 근력강화운동을 시행해야 한다. 유소년기 Little league elbow의 주된 병변인 상완골 내상과 골단염을 포함한 대부분의 손상은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굴곡구축 등의 운동제한을 동반한 통증이나 관절 내 유리골편 등의 감입으로 인한 증상이 있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요하며, 성인의 경우 내측 측부인대의 만성 불안정성 둥에 대해서 인대 재건술 등의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투구 시 주관절의 손상은 대부분의 경우 과 사용으로 인한 것이며, 특히 성장기에 손상의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부모와 코치 그리고 경기 관계자 둥이 성장기 소년의 근력과 관절의 상태가 성인과 다름을 이해하고, 운동의 강도와 횟수를 적절히 조절하며 손상시 조기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디지털 텔로메터를 이용한 무릎 외측측부인대의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Knee Lateral Collateral Ligament Stability by Using the Digital Telometer)

  • 성열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319-32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텔로메터를 이용하여 20 대 정상 남자와 여자 무릎 외측측부인대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지원대상자는 본 연구 목적에 동의하고 과거 무릎 관련 질병이 없는 정상 성인 31 명(남자 16 명, $21.1{\pm}1.5$ 세, 여자 15 명, $21.2{\pm}1.2$ 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방법은 디지털 텔로메터를 이용하여 내측대퇴경골관절강에 내반력의 힘을 가한 후 압통정도를 조사하였고 디지털 방사선영상에서 외측 무릎관절공간(JSW)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무릎에 부하의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남자그룹의 JSW는 $5.60{\pm}0.76$ mm, 여자그룹의 JSW는 $5.05{\pm}0.55$ mm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2). 그러나 무릎에 부하의 힘을 가한 결과, 여자그룹이 남자그룹보다는 다소 더 넓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p>0.05). 무릎에 부하의 힘을 가할 때 남녀 모두 약 17~19 daN에서 압통을 느꼈다. 이 결과는 향후 디지털 텔로메터를 이용한 무릎 관절 외측측부인대의 안정성 검사 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