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ew Growth Engine Fund Management Ways by PEF Vehicle

사모투자펀드 기구를 이용한 신성장동력투자펀드 운용방식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정기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
  • 이철규 (건국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0.04.07
  • Accepted : 2010.09.07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Korean Government has supplied small-medium enterprises with various technology financing programs such as R&D grant." loans, equities, guarantees since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nder policy suggestions for policy makers by analysing problems with regard to regulation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such as the following. First, the current three months of the fund formation period should be extended within six months for general partners to have enough time to raise funds in the current tough capital market situation. Second, the government's non priority loss devotion system should keep going to prevent general partner's moral hazard. Third, in order to fulfill the policy purpose that is to create globally well-known companies, the government investment ratio should scale up from the current 20% to 30% of the total fund size in that the stable capital supply for cor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companies is achieved. Finally, general partners of the New Growth Engine Fund should showoff their investment abilities to the potential investors such as institutional investors by accumulating all track records and know-hows that prove their specialities and implementing action plans to achieve the best result of their investment. This study provides general considerations of the selection procedure, the government investment ratio, the government priority loss devotion system and so on when formating the public funds.

정부는 1980년대부터 다양한 형태의 기술금융을 중소기업에 지원하고 있다. 기업에게 기술금융을 지원하는 형태로는 R&D 출연보조, 융자, 출자 그리고 보증방식이 있다. 본 연구는 정부의 기술금융 지원방식 중 출자형태의 신성장동력투자펀드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업무집행사원이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기 위해 펀드 결성기한을 현행 3개월에서 6개월 이내로 늘려야 한다. 둘째, 업무집행사원의 모럴해저드 문제를 야기 시키는 정부의 우선손실충당제도 배제를 현행처럼 계속 유지해야 한다. 셋째, 글로벌 기술기업의 창출, 육성 및 투자기업 가치제고라는 정책적 목적 달성을 위해 신성장동력투자펀드에 대한 정부의 출자비율 제한을 현행 20%에서 30%까지 확대하여 자본시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출자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업무집행사원은 수익실현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투자계획의 구체화를 통해 대형 기관투자자를 상대로 적극적인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주 (2005), 미국 PEF의 제도적 개관, 투신 제52호, 투자신탁협회.
  2. 기획예산처 (2006), 정책자금, 중소기업 발전에 도움이 되는가? - 국가재정운용계획 공개 토론회 : 산업-중소기업분야, 한국개발연구원.
  3. 김현욱 (2004),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4. 산업연구원 (2008), 투자활성화와 고용창출의 관계분석, e-KIET 산업경제정보 제406호.
  5. 이창용 (2005), EU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에 대한 벤치마킹, 한국채권연구원.
  6. 조영철 (2005),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 재정사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7. 중소기업청 (2007), 중소기업청 정책자금에 대한 실태조사 보고서, 중소기업청.
  8. 구경철, 오문성 (2009), "벤처캐피탈 투자조합의 세무처리 개선방안", 세무학연구 제26권 제2호, 한국세무학회.
  9. 김동석 (2001), "미국 유한책임회사(LLC)의 특징과 설립", 상사법연구 제20권 제3호.
  10. 김성태, 김기흥 (2009), "사모투자펀드와 사모M&A펀드이 투자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2009년 제1차 정기학술발표회, 한국증권학회.
  11. 오규택, 이기영, 이창용 (2007), "EU의 중소기업 금융지원 정책과 시사점 - EIF와 KfW를 중심으로", EU학 연구 Vol. 12 No2.
  12. 윤성승 (2005가), "PEF의 본질적 문제점", 한국금융법학회 2005년 춘계 제4회 학술발표자료.
  13. 윤성승 (2005나), "사모투자펀드와 관련한 상법상 합자회사와 미국의 Limited Partnership의 비교연구", 한림법학 FORUM 제16권.
  14. 정기연 (2010), "신성장동력투자펀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최병정 (2006), "금융지원제도를 중심으로 한 중소기업 자금지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David Silverman (1993), "Interpreting Qualitative Data-Methods for Analysing Talk, Text and Intersection", Sage Publication.
  17. Francois-Serge Lhabitant (2004), "Hedge Fund - Quantitative Insights", John Wiley & Sons, Ltd.
  18. Jonathan Blake, S J Berwin & Co Edit (2002), "Private Equity Fund Structures in Europe".
  19. Thomson Reuters (2009), "Thomson Reuters Asia Pacific Private Equity Markets: Asia Pacific Private Equity 2008 Report", Asia Pacific Private Equity Report 2008, Thomson Reuters.
  20. Wood, Robert W. (2003), "Limited Liability Companies", Wiley Law Publication.
  21. Woodrow W. Campbell, Jr., et al. (2003), "Private Equity: Current Topics", PLI Order No. B0-01Y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