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산업 선도기업의 혁신역량 분석과 시사점 : 엔씨소프트를 사례로

Innovative Capabilities of NCsoft, the Leading Firm in the Korean Online Games Industry

  • 투고 : 2010.08.13
  • 심사 : 2010.09.13
  • 발행 : 2010.10.2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게임산업의 선도기업인 "엔씨소프트"의 혁신역량을 혁신경로 창출능력의 관점에서 핵심기술 관리역량 6개 지표, 연계/통합 역량 4개 지표, 기술혁신 전략수립/정책대응 역량 3개 지표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각 부분별 이 기업의 대표적 강점으로는 핵심기술관리의 측면에서 글로벌 선도게임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R&D투자, 연계/통합전략의 측면에서 해외 R&D인력과 스튜디오에 대한 적극적 투자와 M&A전략, 그리고 기술전략/정책 부문에서 글로벌 기술리더십의 확보를 들 수 있었다. 반면 보완이 필요한 부분으로 핵심기술관리 측면에서 개방형/가치창출형 지식재산관리전략으로 전환과 중장기적인 원천기술개발에 대한 투자 증대, 연계/통합전략 측면에서 공공부문 R&D기관과의 상생적 보완/협력방안 마련 및 국내와 해외 스튜디오 간 신기술 지식 교류 활성화 전략 수립의 필요 그리고 기술전략/정책 부문에서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제공하는 기능성 게임에 대한 투자 증대를 꼽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선도기업의 분석결과는 업계 전반의 발전전략 수립에도 시사점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novative capabilities of the leading company in the Korean online games industry, 'NCsoft'. The company is analyzed with the three types of innovation capabilities such as the capability to manage core competencies, the capability to integrate internal and external knowledge source, and the capability to build innovation policy/strategy. This paper concludes with suggesting the future strategies of the NCsoft by each capa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남중, 홍현기, "컨벡스 헐을 이용한 개선된 구 좌표계 기반 렌더링 방법",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 10 No., pp. 157-165, 2010.
  2. 남영호, "한국 온라인게임 산업의 서비스 혁신 패턴 분석",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Vol. 15 No. 1, pp. 117-137, 2008.
  3. 남영호, "디지털컨텐츠산업의 서비스혁신 패턴 분석: 온라인게임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Vol. 17 No. 1, pp. 119-148, 2009.
  4. 노상규, 위정현, 한국온라인게임산업의 발전과 정과 향후 과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5. 박민, 황승흠, "폭력성 비디오게임에 대한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판결이 한국게임법제도에 주는 시사점",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 10 No., pp. 65-78, 2010.
  6. 박철, 이재학, "가치사슬을 통한 온라인게임산업의 경쟁력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Leapfrogging 관점에서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벤처경영연구, Vol. 13 No. 2 pp. 117-146, 2010.
  7. 송위진, 성지은, 김연철, 황혜란. 정재용, 탈추 격형 기술혁신체제의 모색, 서울: 과학기술정책 연구원, 2006.
  8. 신타쿠, 준지로, 다나카, 다쯔오, 야나가와, 노리유키 편, 위정현 역저, 게임산업의 경제분석, 서울: 풀빛미디어, 2004.
  9. 위정현, "게임산업에서의 이노베이션: 온라인 게임과 비디오 게임", in 온라인 게임 비즈니스 전략 (서울: 제우미디어): pp. 21-41, 2006.
  10. 위정현, "온라인게임 개발의 성공 요인에 대한 탐색적 접근 -'FreeStyle' 개발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사례 분석",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대회 (2007. 8. 21.), 부산 누리마루 APEC 하우 스 (BEXCO), 2007.
  11. 위정현, 이솔, 김상용, 김성철, 노상규, 이석규, 오나라, 원은석, 송인수, 김진서, 김태광, 게임 산업 경영전략 연구, 서울: 한국게임산업개발원 (현 한국게임산업진흥원), 2007.
  12. 윤재선, 임찬, "MMORPG 사용자의 동기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 10 No., pp. 47-56, 2010.
  13. 이공래, 배용호, 김왕동, 이광호, 최지선, 송성수, 양희동, 박철우, 황정태, 김형진, 이원경, 임 해용, 한국 선도산업의 기술혁신경로 창출능력,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14. 이상기, "컴퓨터(온라인) 게임의 '긍정적 중독': 문화콘텐츠의 반복적 소비 행태에 대한 탐색적 고찰",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Vol. 23 No. 3, pp. 149-181, 2007.
  15. 최지선, 이지영, 이승훈, 하태정, 홍유진, 이영 희, 정진영, 기술기반 문화콘텐츠 서비스업의 혁신특성과 R&D전략: 온라인게임산업을 사례로,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16. 하유종, 박경주, "물리 엔진에 관한 고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 9 No., pp. 43-52, 2009.
  17. 허준석, 재미의 비즈니스-경제학으로본 게임 산업, 서울: 책세상, 2006.
  18. M. Anchordoguy, "Japan's software industry: a failure of institutions?", Research Policy Vol. 29 No. 3, pp. 391-408, 2000. https://doi.org/10.1016/S0048-7333(99)00039-6
  19. Keun Lee, "Making a technological catch-up: Barriers and opportunities",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 13 No. 2, pp. 97-131, 2005. https://doi.org/10.1080/19761597.2005.9668610
  20. M. Peltoniemi, "Diversity of firms as an enabler of innovations within the Finnish games industry",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ProACT Conference, Tampere, Finland, 2006.
  21. M. A. Schilling, "Technological Leapfrogging: Lessons from the U.S. video game console industry",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 45 No. 3, pp. 6-32, 2003. https://doi.org/10.2307/41166174
  22. F. T. Tschang, "Videogames as interactive experiental products and their manner of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Vol. 9 No. 1, pp. 103-131, 2005. https://doi.org/10.1142/S1363919605001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