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tegory Grammar and Gender Ideology of the Su-Hyeon Kim's Home-drama Focused on <Mom's dead upset>

김수현 홈드라마의 장르문법과 젠더 이데올로기 <엄마가 뿔났다>를 중심으로

  • 유진희 (동아방송예술대학 방송콘텐츠학부 방송극작과)
  • Received : 2010.10.26
  • Accepted : 2010.11.15
  • Published : 2010.11.28

Abstract

This study is the secondary full-scale research of a TV drama writer, who has been out of scholarly pursuits. This study examines the Su-Hyeon Kim's differential and tendency in home-drama genre, who has been constructing a general idea of TV drama genre, namely a home-drama, and a melodram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meantime both of exclusive evaluation by the functional measure of social norm, also by the feminism-based evaluation of her drama's supporting role of patriarchal gender ideology. By focusing on her recent highly popular home-drama (2008), this study shows that the writer used her own category grammar strategy of harmonizing both of convention and invention in genre. The conventions in genre are 'a big family', 'a pluralistic construction' 'a realism based on a everyday life', and 'a theme of love of a family with happy ending'. The invention in genre are 'a change of the 1st generation patriarchy', 'a change of the 2nd generation role of a housewife' and a change of the 3rd generation marriage customs'. Also this paper presents that the writer showed a humanistic tendency that pursues a recovery of both 'humanity' and 'love of family based on trusting', which have been destroying by capitalistic ideology, rather than discussing whether her tendency on the gender ideology of patriarchism is conservative or not.

본 연구는 학문적 연구 대상에서 소외돼온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에 관한 후속 연구로,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홈드라마와 멜로드라마라는 장르 개념을 구축한 김수현 작가 홈드라마의 장르 차별성과 이데올로기 경향성을 논하고 있다. 김수현 작가의 멜로드라마에 관한 선행 연구에 이어 홈드라마 장르 연구를 시도한 첫 번째 목적은 기능주의적 사회규범 잣대의 편협한 단편적 평가를 재고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페미니즘 시각에 매몰된 평가에 의해서 김수현 홈드라마가 가부장 이데올로기를 옹호한다는 평가를 재고하기 위해서이다. 이 같은 평가야말로,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 연구의 부재라는 현실의 반증이기도 하다. 2008년 화제작 <엄마가 뿔났다>를 중심으로 한 연구 분석 결과, 김수현 작가의 홈드라마 장르문법은 안정적, 변동적 서사 전략을 적절히 융합, 구사함으로써 대중적 소구력을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가족과 중층적 인물 구성, 일상성을 기초로 한 사실주의와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가족애의 주제 의식의 안정적 장르 관습에 시대상을 반영한 1대 가부장의 변화, 2대 전업주부의 역할 변화, 3대 결혼 풍속도의 변화라는 변동적 서사전략을 융합 구사함으로써 장르문법의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연구 대상 드라마의 갈등 유형과 갈등 관련 젠더 역할 분석 결과, 김수현 작가는 홈드라마 장르를 통해 그간의 남성 지배 가부장 젠더 이데올로기에 관한 진보적, 보수적 경향성 논의 보다는 그 저변에 자리한 작가의식, 즉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붕괴돼 가는 인간성의 회복과 사랑과 이해,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가족애를 지향하는 인본주의적 경향성을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방송비평회, 방송비평의 실제, 한울아카데미, p.282, 2001.
  2. 원용진, “장르변화로 읽는 사회”, 언론과 사회, 제16호, pp.100-133, 1997.
  3. 토마스 샤츠, 한창호, 허문영 역, 헐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나래, 1995.
  4. 박승현, 이윤진, “장르의 속성에 대한 고찰”, 언론과학연구, 제24권 1호, pp.78-107, 2007.
  5. S. Neale, “Questions of genre", Screen, Vol.31, No.1, pp.45-66, 1990,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 기준에 대한 연구” 방송연구, 겨울호, pp.105-136, 2004, p.108에서 재인용. https://doi.org/10.1093/screen/31.1.45
  6. G. Murdock, “Fabrication fictions: Approaches to the study of television drama production", Communication, Vol.6, pp17-33, 1980, 김훈순, 박동숙, “TV 드라마 여성작가 연구”, 언론과 사회, 제4권, pp.149-189, 1999, p.154에서 재인용. https://doi.org/10.1515/comm.1980.6.1.17
  7. 김응숙, “텔레비전 드라마 <종합병원>의 담론분석”, 언론과 사회, 제7권, pp.130-161, 1995.
  8. 김훈순, 김명혜, “텔레비전 드라마의 가부장적 서사전략”, 언론과 사회, 제12권, pp.6-50, 1996.
  9. 김명혜, 김훈순, “여성이미지의 정치적 함의: 텔레비전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38호, pp.203-248, 1996.
  10. 하윤금, “멜로드라마의 이성애적 서사구조에 대한 해석: <청춘의 덫>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연구, pp307-335, 1999.
  11. 백선기, 김승희, “텔레비전 드라마의 갈등 표출과 이데올로기적 의미: 드라마 <아줌마>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제10권, pp.157-195, 2001.
  12. 송명희, “<부모님 전상서>에 나타난 가족 이데올로기와 젠더의식”, 우리어문연구, 제26집, pp.121-139, 2006.
  13. 조항제, 홍찬이, 강승화, 문소영,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에서 나타나는 가족 표현의 변화: <하늘이시여>와 <굿바이 솔로>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21-6호, pp.574-617, 2007.
  14. T. Rosemary, 이소영 역, 페미니즘 사상, p.15, 한신문화사, 1995.
  15. 김포천 외 3인 엮음, 김수현 드라마에 대하여, pp.40-42, 솔, 1998.
  16. 최영묵, 주창윤, ,개정판 텔레비전 화면깨기, 한울아카데미, pp.142-144, 2003.
  17. http://www.kshdrama.com/
  18. http://www.kshdrama.com/
  19. 김포천 외 3인 엮음, 김수현 드라마에 대하여, pp.236-249, 솔, 1998.
  20. 원용진, “장르변화로 읽는 사회: 인기드라마<모래성>과 <애인>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통권16호, pp.100-133, 1997.
  21. 박승현, 이윤진, “장르의 속성에 대한 고찰”, 언론과학연구, 제24권 1호, pp.78-90. 2007.
  22. 조항제, 홍찬이, 강승화, 문소영,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에서 나타나는 가족 표현의 변화: <하늘이시여>와 <굿바이 솔로>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21-6, p.596. 2007.
  23. 송명희, “<부모님 전상서>에 나타난 가족 이데올로기와 젠더의식”, 우리어문연구, 제26집, pp.135-136,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