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Handwashing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washing in Late School-Aged Children

손씻기 교육 프로그램이 학령후기 아동의 손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0.11.05
  • Accepted : 2010.12.01
  • Published : 2010.12.0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hand washing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washing in elementary school. Methods: The subjects were 484 late school-aged children in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from Sep. 1 to Dec. 21, 2009. Results: 1) The handwashing education group (experimental group=E) showed higher score in knowledge of handwashing than the control group (C) (t=5.20, p<.001 ) as the E group scored 29.15(${\pm}3.24$) and the C group scored 27.52(${\pm}3.69$). 2) The E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attitude of handwashing than the C group (t=6.58, p<.001 ) as the E group scored 39.60(${\pm}4.33$) and the C group scored 36.96(${\pm}4.47$). 3) The E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practice of handwashing than the C group (t=2.64, p<.001). as the E group scored 45.90(${\pm}4.79$) and the C group scored 44.67(${\pm}5.33$). Conclus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knowledge, attitude, practice and cognition of handwashing. This proves that the handwashing program was effective. It is necessary to apply more systematic and various handwashing education programs for other grade at schools.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란 (2009). 일부 초등학생의 손씻기 교육의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7.
  2. 김남초, 최경옥 (2002). 손씻기 교육이 간호사의 손씻기 행위와 중환자의 호흡기로의 MRSA분리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14(1):26-33.
  3. 김선희 (2009). 손씻기 교육 프로그램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손씻기 이행률과 방법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1.
  4. 김종규, 박정영, 김종순 (2009). 남자대학생의 손씻기 의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5(1), 36-44.
  5. 김종규, 김종순 (2009). 여자대학생의 손씻기 의식과 실천에관한 연구. 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4(2),128-135.
  6. 김현섭 (2009).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분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석사논문, 10-53.
  7. 박대권 (2007). 일부 고등학생의 손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3.
  8. 박장숙 (1997). 남자 중학생의 건강습관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63.
  9. 방설영 (2000). 손씻기 교육 프로그램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손씻기 빈도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논문, 1-53.
  10. 범국민 손씻기 운동본부 (2008) http://handwashing.or.kr
  11. 백경란(2005).손씻기 실태 및 대책,범국민 손씻기 운동본부 심포지엄 발표자료. 범국민손씻기운동본부 http://handwashing.or.kr.
  12. 식품의약품안전청 (2010). http://www.kfda.go.kr
  13. 우옥영, 김영숙. 박정숙, 서정록, 신미수, 유남숙, 조순희, 주애영 (2009). 생활 속의 보건 5학년 (21-25, 35-39), 6학년 (46-49). 서울(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14. 윤혜원 (2009). 활동중심 학습교육이 초등학생 손씻기의 지식, 태도, 실천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3.
  15. 이명해 (2008). 중환자실 간호사의 손씻기 증진 프로그램의 유형별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논문, 1-84.
  16. 이은경 (2005). 손씻기 교육 프로그램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손씻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산업보건간호학전공, 석사학위논문, 7-21.
  17. 임옥분 (2004) 손씻기 교육과 피드백이 손씻기 빈도 및 방법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3.
  18. 장윤정 (2007). 일부 중학생의 손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8.
  19. 정영숙, 문영희 (1996). 완주군 초등학생들의 건강행위조사.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3(2), 35-53.
  20. 정재심 (2002). 외과계 중환자실에서 손씻기 증진 프로그램이 손씻기 이행도와 병원감염 발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28.
  21. 정재심 (2005). 손씻기 방법과 효과. 범국민 손씻기 운동본부 심포지엄 발표자료.
  22. 정진경 (2009). 초등학생의 손씻기와 잇솔질의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09.
  23. 조선녀 (2004). 7차 교육과정의 보건교육 내용과 시간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3.
  24. 질병관리본부 (2010). 전염병발병현황 조사결과.
  25. 질병관리본부 (2008).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결과. 주간 건강과 질병, 1(17), 277-280, http://www.cdc.go.kr
  26. 질병관리본부 (2005) 손씻기 실태 및 대국민 인식도 조사 결과보고서. 현대리서치연구소.
  27. 한국교육개발원 (2009). 2009 교육기본통계조사.
  28. 한명주 (2003). 손씻기 교육 프로그램이 손씻기 이행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8.
  29. Boyce, J. M., Pittet, D. (2002). CDC guideline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s: Recommendations of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and HICPAC/SHEA/APIC/IDSA hand hygiene task force.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3(2), S3-S40. https://doi.org/10.1086/503164
  30. Center for Disease and Prevention (CDC) (2002). Guideline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 MMWR, 51 (RR 16), 1-32.
  31. Dubbert, D. M., Dolce, J., Richter, W., Miller, M., & Chapman, S. W. (1990). Infection ICU staff hand washing: Effects of education and group feedback.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0(2)200-202.
  32. Hammond, B., Ali, Y., Fendler, E., Dolan, M., & Donovan, S. (2000) Effect of hand sanitizer use on elementary school absenteeism. Am J Infect Control, 28(5), 340-346. https://doi.org/10.1067/mic.2000.107276
  33. Larson, E. L., Bryan, J. L., Adler, L. M., & Blane, C. (1997) A multifaceted approach to changing hand wahing behavior. Am J Infect Control, 25(1), 3-10. https://doi.org/10.1016/S0196-6553(97)90046-8
  34. Randle, J., Clarke, M., & Storr, J. (2006) Hand hygiene compliance in healthcare workers. J Hosp Infect, 64(3), 205-209. https://doi.org/10.1016/j.jhin.2006.06.008
  35. Rosenthal, V. D., McCormick, R. D., Guzman, S., Villamayor, C., & Orellano, P. W. (2003). Effect of education and performance feedback on hand washing: The benefit of administrative support in Argentinean hospitals. Am J Infect Control, 31(2), 85-92. https://doi.org/10.1067/mic.2003.63
  36. UNICEF Conference Jakarta, Indonesia (2007). "Hand washing with soap"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8),
  37. Global Hand Washing Day 15 October, Planner's Guide 2008 'what's inside' pp. 6-54. http://www.cdfa.ca.g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