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n Heal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08 for Middle School Students, South Korea

`2008 개정 보건과' 교육과정 운영 효과 - 중학생을 대상으로-

  • Received : 2010.09.08
  • Accepted : 2010.11.18
  • Published : 2010.12.0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 on health educational curriculum by grasping knowledge, attitude, and the extent of practicing it after giving a health education curriculum for 17 hours.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conducted with the first-graders enrolled in a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A total of 191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urvey period was from March 5 to March 13, 2009 before the education was given from July 20 to July 25, 2009 after the education. A total of 38 questions were used to measure knowledge and a total of 39 questions were used to measure attitude and practice. This study used $x^2$ test, ANOVA, and t-test, Paired t-test. Results: After the health education curriculum was given, the test group s knowledge of health education was found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ut considering the perfect score of 38, the knowledge scores of both groups were not high. With regard to each group s attitude and practice of health education, the study compared the scores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nd found that the test group ha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In order for a health education curriculum to successfully have favorable influence on the health of teenagers, the curriculum should be offered for a more extended period of time than 17 hours and as a compulsory course, not a selective one, so that all the students can develop their health management capabilities.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중등교육과정 부분수정고시. 과학기술부고시, 제 2008-148호.
  2. 김경렬, 주현옥,김영혜 (2005). 7차 교육과정 시행 후 초등 보건교사의 보건교육 실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2(1), 41-54.
  3. 김대헌 (2004).학교안전사고에 관한 실태조사: 경기도 유치원, 초,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천.
  4. 김미남 (1997). 보건교육이 초등학교 아동의 건강행위 실천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5. 김희정 (2008).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효과 및 지속성.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공주.
  6. 노재원, 정순광, 김판규 (2002). 초등학교 보건교육과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자기 결정에 관한 연구.
  7. 백향옥 (2009). 2009년도 비만교육을 통한 건강행태 변화전략. 제38차 한국학교보건춘계학술대회, 45-50.
  8. 보건복지가족부 (2008). 제3차 (2007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9. 옥우연 (1998). 초등학교 학생들의 약물 사용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조사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충북.
  10. 윤순녕, 김영임, 최정명, 조희순, 김영희, 박영남, 오경순, 이분옥, 조선녀, 조소영, 한선희, 하영미 (2005). 초.중.고등학교학생, 학부모, 일반교사의 보건교육 영역별 요구도와 보건교육.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8(1), 1-14.
  11. 윤순녕, 정혜선, 이규영, 이영만, 조희순, 박영남, 성근석, 조미연, 하영미 (2006). 보건교과 신설을 위한 초.중.고등학교 보건교육과정 연구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2006년 전국보건교사회 수탁과제 보고서.
  12. 이규영 (2006). 보건교육 실태 및 내용 요구도.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2), 1-12.
  13. 이규영, 하영미, 김성희 (2008).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패스트푸드 및 탄산음료 섭취에 관한 지역별 비교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1(2), 47-60.
  14. 이규영 (2009). 학교보건교육효과평가방안.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2(1), 1-15.
  15. 이규영, 이규은, 조희순, 박영희 (2009). 중.고등학교 보건과 교육과정 해설연구 개발 보고서. 보건과목 교육과정 해설 연구위탁과제 답신보고, 교육과학기술부.
  16. 이정렬, 이규영, 홍윤미 (2007).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지역별 건강생활실천 비교.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24(4), 87-98.
  17. 이일환 (2006). 성교육이 중학생의 성 지식과 성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청원.
  18. 이창국, 이명선, 서승희, 한성현 (2005). 일부 고등학생들의 학교보건교육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22(1), 17-40.
  19. 임미영, 윤영미 (2009). 초등학교 흡연예방교육의 효과. 건강증진.보건교육학회지, 26(1), 59-50.
  20. 적십자간호대학건강증진사업단 (2009). 학교보건교육발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건강증진연구사업 정책 09-28. 서울: 질병관리본부 건강증진사업단.
  21. 조경호 (2003). 고등학생 응급처치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울산.
  22. 주현옥 (1998). 아동의 비만관리를 위한 체중조절 프로그램 개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부산.
  23.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9). 중학교 생활 속의 보건.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4. 한기옥 (2002). 서울지역 고등학생의 보건교육 요구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5. 홍경용 (2000). 중.고등학생 응급처치 지식수준 실태 조사. 경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26. Botivin, G. j., Griffin, K. W. Diaz, T., Ifill- Williams, M. (2001). Preventing hinge drinking during early adolescence: One - and two year follow up of a school-based prevention. Psychol Addict Behav, 15(4), 360-365. https://doi.org/10.1037/0893-164X.15.4.360
  27. Joint Committee on National Health Education Standard (2007). National health education standard, second achieving excellence. Athlanta, Ga: American Cancer Society.
  28. Kolbe, L. J. (2002). Education reform and the goals of the modern school health program. State Educ Stand, 3(4), 4-11.
  29. Kann, L., Telliohann, S. K., Wooley, S. F., & Health Education (2007). Result from the school health policies and programs study 2006. J School Health, 77(8), 408-434. https://doi.org/10.1111/j.1746-1561.2007.00228.x
  30. Schoener, J., G UERRERO, F., & Whitney, B. (1998). The effects of the growing healthy program upon children's academic perormance and attended in New York City. Report from the Office of Research, Evaluation and Assessment to the New York City, Board Education.
  31. School Health Policies and Programs Study 2006 (2007). Health Education. J School Health 77(8), 385-397. https://doi.org/10.1111/j.1746-1561.2007.0022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