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Hotel Western Restaurant F&B and Kitchen Manager's Leadership on Effica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호텔 양식당 식음조리 관리자의 리더십이 효능감과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Cho, Sung-Ho (Dept. of Hotel Culinary, Taekyeung University) ;
  • Park, Jae-Hee (Dept. of Hotel & Tourism Management, Sejong University) ;
  • Lee, Suk.-Man (Dept. of Hotel Foodservice & Culinary, Kyonggi University)
  • 조성호 (대경대학 호텔조리학부) ;
  • 박재희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
  • 이석만 (경기대학교 대학원 외식조리학과)
  • Received : 2010.03.08
  • Accepted : 2010.08.10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ow certain types of leadership of food and beverage employees in the super deluxe hotels in Seoul significantly affect self-efficacy, organizational effica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odel was tested using SPSS 12.0 and AMOS 5.0 on a sample of 222 respondents with 74% of a usable response nate. The result of ANCOVA indicates idealized influence,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al leader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 the organizational-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significantly influence self-efficacy.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 Organizational efficacy, and it also indirectly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efficacy b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while it doesn't have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는 호텔 식음료 종사원의 리더십 유형이 자기 효능감과 집단 효능감 및 조직 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분산 구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혁적 리더의 구성 개념 중 카리스마/비전, 개별적 배려, 지적 자극은 집단 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개별적 배려/지적 자극은 자기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효능감이 집단 효능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기 매개로 조직 몰입에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집단 효능감은 직무 만족을 경유해서 조직 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 몰입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