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한국사회복지학)
- Volume 62 Issue 4
- /
- Pages.193-222
- /
- 2010
- /
- 1229-5132(pISSN)
Complexity of Self-Constr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People with an Experience of Life-Crisis Due to Physical Disability or Divorce -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Self-Acceptance and Self-Regulation as Mediators -
중도장애, 이혼과 같은 생애위기 경험자의 자기해석 복합성과 심리적 안녕 -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 Hyun, Kyoung-Ja (Center for Woori Social Work Research)
- 현경자 (우리사회복지연구소)
- Received : 2010.06.04
- Accepted : 2010.10.04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is questionnaire study examined the processes linking complexity of self-construal to self-positivity conceptualized as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self-acceptance and self-regulation that, in turn,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people with an experience of life-crisis during adulthood due to physical disability or divorce. Data were drawn from 359 adult Koreans resid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the physically disabled, the divorced, and their counterparts without a life-crisis experience during adulthood for comparison. On average, the life-crisis experience group(LEG) had a higher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a lowe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han the comparison group(CG). As predicted, complexity of self-construal contributed to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that helps searching for meaning, and this, in turn, was found to foster self-acceptance and self-regulation. Through these variables except self-regulation, complex self-construal contribu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as manifested by a higher level of positive emotion and a lower level of depression. As expected, while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fostered positive emot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self-acceptance among LEG and CG, only in LEG it directly reduced depression. The comparative approach employed in this study enabled to discern that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promotes psychological well-being in LEG by contributing to both meaning making and positive attitude, whereas it promotes psychological well-being in CG primarily by fostering positive attitude. Finally implications for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성인기에 발생하는 중도장애나 이혼과 같은 생애위기는 당사자의 독립성이나 상호의존성에 대한 도전을 수반하여 그러한 자기인식과 해석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생애위기 경험자의 그와 같은 자기해석이 복합적일수록 긍정적인 자기특성이 양성되어 심리적 안녕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자기해석의 복합성과 심리적 안녕 간의 관계가 자기긍정성을 구성하는 세 요인, 즉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조절에 의해 매개되는 경로를 조사하였다. 편의표집에 의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중도장애인, 이혼인, 일반인 비교집단 총 359명을 조사한 결과, 생애위기 경험집단이 평균적으로 일반인 비교집단에 비해 독립적 자기해석이 높았고,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이 낮았다. 복합적인 자기해석은 예측대로 의미 발견과 의미 부여를 돕는 관점의 다각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었고 이를 통해 자기수용, 자기조절과 같은 긍정적 태도에 기여하였으며, 이 중 관점의 다각화와 자기수용을 통한 경로로 생애위기의 경험여부와 상관없이 응답자들의 심리적 안녕, 즉 긍정적 정서의 경험과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의 감소를 도왔다. 관점의 다각화가 우울을 직접 낮추는 효과는 예측대로 생애위기 경험집단에서만 나타났고, 긍정적 정서를 양성하는 직접효과는 모든 집단에서 발견되었다. 따라서 관점의 다각화가 생애위기의 경험자들 사이에서는 의미 발견과 긍정적 태도 양쪽에 탄력을 주어 적응과 심리적 안녕을 돕는 반면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우선적으로 긍정적 태도, 긍정적 정서 등 긍정성을 키워 심리적 안녕에 기여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관점의 다각화와 복합적인 자기해석이 역경극복에 동력이 되는 의미 찾기를 도우며 긍정적 태도를 양성하여 생애위기 경험자의 심리적 안녕에 기여하는 기제와 심리적 자원으로 각각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