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Mother's Discipline Style an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Preschooler's Leadership

어머니의 훈육방식 및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김경숙 (전남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양미경 (초당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0.09.27
  • Accepted : 2010.12.12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mother's discipline style,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preschooler's leadership. The subjects were 180 preschoolers who were 5 years old and their mothers live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program of SPS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score of subcategory and the total score of leadership according to the gender of preschooler and mother's employment and her educational background.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from the birth order of preschooler. (2) A correlation was not found between mother's discipline style and preschooler's leadership, but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howed up between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preschooler's leadership. (3) The leadership of preschoolers who use positive coping strategies of a sub-area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ppeared strong. And the leadership appeared low with a boy who uses avoidant & supportive strategies, supportive strategies, aggressive strategies and venting strategies more often. Furthermore, the model of explanatory adequacy (R2) of some independent variables from the average scores of subcategory and the total score of leadership was confirmed to b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model.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훈육방식 및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5세 유아 18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 리더십과 정서조절전략, 어머니의 훈육방식을 조사하여 집단간 차이분석, 상관분석과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아가 남아보다 전반적으로 리더십이 더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주도성과 의사결정 능력에서 더 강한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출생 순위 따른 리더십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취업모의 유아가 비취업모의 유아보다 더 우수한 리더십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주도성에서 더 강한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또한 대졸 이상의 고학력 모의 유아가 고졸 이하의 모보다 의사결정능력에서 더 우수한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셋째,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유아 리더십간에는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리더십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 공격전략, 감정발산전략, 무전략을 사용하는 유아일수록 더 약한 리더십을 보이며 긍정적 대처전략을 사용할수록 더 강한 리더십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유아 정서조절전략과 유아성별이 포함된 회귀모형이 유아 리더십을 의미있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이 유아 리더십의 약 50%를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복희(2006). 농촌지역유아의 공동체 리더십 연구.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김민선(2004). 긍정적 유아 리더의 특성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성숙(2008).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순자(2001). 아동의 가정환경 변인과 리더십간의 관계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제 6권 2호, 5-23.
  5. 김진혜(2009). 아버지의 놀이참여 및 놀이성과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나미순(200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리더십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문혁준(2009).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어머니의 취업유무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0(2), 57-69.
  8. 문혁준(2010). 취학전 남아와 여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기질, 또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1), 35-46.
  9. 박미숙(2008).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성아(2010). 유아의 리더십, 친사회적 행동 및 기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연경, 황혜정(2009). 유아 리더십의 유형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9(4), 281-308.
  12. 박현정(2008). 만 3세 유아를 위한 리더십 교육 효과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서기남(2009).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서혜린(2006).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혜린, 이영(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33-56.
  16. 유신희(1986). 어머니의 직업과 유아발달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이동희(2003). 유아의 기질, 부모간 갈등 및 어머니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8. 이소희(2009). 유아 리더십 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19. 이은미(2005). 유아 리더십과 부모 양육태도 관계 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학위청구논문.
  20. 장영숙, 황윤세(2009). 교사평정용 유아 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9(4), 5-22.
  21. 조복희(2007). 아동발달. 교육과학사.
  22. Barrett, L. F., & Gross, J. J. (2001). Emotional Intelligence. In T. J. Mayne & G. A. Bonanno(Eds.), Emotions.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23. Eisenberg, N., & Fabes, R. A. Bernzweig, J., Karbon, M., Poulin, R., & Hanish, L. (1993). The relations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64(5), 1418-1438. https://doi.org/10.2307/1131543
  24. Eisenberg, N., Cumberiand, A., & Spinard, T. L.(1998).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Inquiry, 9, 241-273.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0904_1
  25. Fu, V. R. (1979). The social world of the child. San Francisco: Jossey-Bass.
  26. Gardner, H. H, & Campos. J. J.(1982). (송기동 역). 서울; 북스넛.
  27. Goleman, D., Boyatzis, R., &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Boston : Little, Brown.
  28. Lisa C, Bohlin(2000). Determinabts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dominance strategies during pla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ndiana, Bloomington.
  29. Mitchell, A. (1997). Reflections on early childhood leadership development: Finding your own path. In Kagan, S. L., & Bowman, B. T.(ed), Leadership in early care and education. Washington, DC: NAEYC,.
  30. Patterson, G. R., Reid, J. B., & Dishion, T. J.(1992). Antisocial boys. OR: Castalia.
  31. Underwood, M, K.(1997). Peer social status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on and control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Merrill-Palmer Quarterly, 43, 610-634
  32. Stogdill, R. M.(1974). Handbook of Leadership: A Survey of theory Research. N. Y : The Free Press.
  33. Slukin, A. M., & Smith, P, K. (1997). Two approach to the concept of dominance in preschool. Child Development, 48, 917-923.
  34. Umberson, D, & Gove, W. R(1989). Parenthoo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Family Issues, 10(4), 440-462. https://doi.org/10.1177/019251389010004002
  35. Yukl, G. A.(1989). Leadership in Organization(2nd ed.). New jersey: Pre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