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형 수신기 기반 통합화재 자동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the Integrated Fire Automation System(IFAS) on based P-Type Fire Control Panel

  • 김현주 (진주산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박재흥 (경상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서영건 (경상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투고 : 2010.08.27
  • 심사 : 2010.09.27
  • 발행 : 2010.12.31

초록

현재 사용되고 있는 P형 수신기는 화재 발생의 위치 검색 및 장치의 고장 유 무 등 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인명 및 재산 피해 등을 예방 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형 수신기에서의 고장 유무에 대한 발생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화재 발생신호에 대하여 원격지에서 P형 수신기의 상황발생 정보를 탐지할 수 있는 통합화재 자동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P형 수신기에서 상황정보를 수집 전송할 수 있는 인터넷 접속장치 부분과 P형 수신기로부터 생성된 상황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상황정보 분석 모듈 등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P-type fire control panel, currently in use, has a big hazard that can cause the large scaled human death tolls and property damage in the massive fire becaus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in real time the location of fire outbreak and whether search-device are broken down or not.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the integrated fire automation system on based p-type fire control panel should be used, which can detect in real time the signal that occur when whether search-device are broken down or not, and can detect the arisen circumstances information of p-type fire control panel on the fire signal in the far away. The devised systems have designed and embodied the analysis of circumstances information and module that can analyze the circumstances information from the p-type fire control panel and the part of internet access installment which can gather and deliver the circumstances information from the fire prevention facility receiver.

키워드

참고문헌

  1. (주)맥스포, "IT 방재를 위한 USN 시범서비스 시스템", Senor Networks Make Sensational World, 2008.
  2. 백미례, "소방공무원의 직무별 외상 후 스트레스", 제9권 제3호, 59-65쪽,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09.
  3. 소방방재청,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한국생산성본부, "2008년 기준 소방산업 통계집", 2008.
  4. ITSQC Magazine 8월호, 정보통신진흥원, 2008.
  5. 윤창영, 김승용, 이상진, "USN 기반의 화재감시 및 소방방재시설 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4권 제12호, 9-12쪽, 2009.
  6. TengZhu, 김정현, 강동중, 김민성, 이주섭, "Fire Dection in video surveillance and monitoring system using Hidden Markov Models" 한국정보처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16권 제1호, 2009.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감지 및 소방방재 통합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제4세부과제 자료.
  8. 김영희, 이금석, "상황정보의 품질요소 측정 프레임워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제11권 제6호, 201-210쪽, 2006.
  9. 정경권, 박현식, 최우승, "RFID를 이용한 일상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제14권 제7호, 49-56쪽, 2009.
  10. Athanasiadis, Pericles A. Mitkas , Ioannis N., " An Agent-Based Intelligent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Manage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15,no.3,pp.238-249, 2004. https://doi.org/10.1108/14777830410531216
  11. Chen, T., Wu, P., Chiou, Y. "An early fire-detection method based on image process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pp. 1707–1710., 2004.
  12. D. Han and B. Lee, "Development of Early Tunnel Fir Detection Algorithm Using the Image Processing," International Symposium on Visual Computing, pp. 39-48 2006.
  13. H. Xu, L. Huang, J. Wu, Y. Wang, B. Xu, J. Wang, D. Wang, "Wireless fire monitoring system for ancient buildings"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 Series; Vol. 304, No. 42, 2007.
  14. Kopilovic, I. Vagvolgyi, B. Sziranyi, T., "Application of Panoramic Annular Lens for Motion Analysis Tasks", Surveillance and Smoke Detectio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ttern Recognition, Vol. 4,, pp. 714-717., 2004.
  15. Ko, B. C. Nam, J. Y., "Object-of-Interest Image Segmentation using Human Attention and Semantic Region Clustering", Journal of Optical Society of America A: Optics, Image Science, and Vision, Vol.23, pp. 2462-2470., 2006. https://doi.org/10.1364/JOSAA.23.002462
  16. Liu, C. B. Ahuja, N. "Vision based fire detection",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ttern Recognition, Vol.4., pp.134-137., 2004.
  17. Rajasekar, F. Vernon, T. Hansen, K. Linquist, J. Orcutt, "Virtual Object Ring Buffer: A Framework for Real-time Data Grid", HDPC Conference 2004.
  18. T. Chen, P. Wu and Y. Chiou , "An early firedetection method based on image process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pp. 1707-1710, 2004.
  19. Toreyin, B. U. Dedeoglu, Y. Gudukbay, U. Cetin, A. E. "Computer vision based method for real-time fire and flame detection", In Pattern Recognition Letters, Vol. 27, pp.49-58., 2006. https://doi.org/10.1016/j.patrec.2005.06.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