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 between Awareness and Residental Satisfaction on Brand Apartment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간의 관계

  • Lee, Dong-Chan (I. S. DongSeo Inc.) ;
  • Lee, Chan-Ho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wang, Kyu-Sung (Dep. of Real Estate Management and Counseling, Dong Eui Institute of Technology)
  • Received : 2010.10.08
  • Accepted : 2010.11.19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erception factors on the brand apartment for customer satisfaction by classifying perception factors into environmental factor, interior factor, brand value factor, economic factor and social factor.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compiled from the survey, which was done by the people living in Pusan from Aug. 17, 2009 to Aug. 31, 2009.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erception that the brand apartment had better interior quality, brand value, saleability and possibility of price rising than the common one had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erception factors on the brand apartment for post-purchase satisfaction of custome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study would help construction companies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o increase customer's interest and develop the brand apartment in consideration of perception factors with a high post-purchase satisfaction.

본 연구는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인식이 브랜드 아파트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인식요인들을 자연환경 요인, 내부시설수준 요인, 브랜드가치 요인, 경제성 요인, 사회환경 요인으로 분류하여 각 요인들이 브랜드 아파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부시설수준 요인, 브랜드가치 요인, 경제성 요인에 대한 브랜드 아파트 인식요인이 브랜드 아파트 만족도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아파트 건설회사들이 브랜드 아파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인식요인들(내부시설수준 요인, 브랜드가치 요인, 경제성 요인)을 분석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구매 후 만족도가 높은 인식요인들을 고려하여 브랜드 아파트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유일, "주거만족도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2. 김정현, "주택브랜드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3. 김종배, "아파트 브랜드가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 김춘수, "주거환경 요인이 아파트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5. 김한수, 임준홍, 이수상. "도심 주거지에서의 주거환경 만족도와 선호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제9권, 제1호, pp. 99-107, 1998.
  6. 박은희. "소비자의 아파트 브랜드 인지도가 아파트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7. 서정래. "아파트 브랜드가 소비자의 아파트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8. 신경숙. "아파트 브랜드가 아파트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9. 이영환. "아파트구매결정 요인이 주거 만족도에 미치는 연구- 부산.경남.울산지역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0. 이창용. "아파트브랜드 이미지와 아파트 주거만족도/태도가 신규 아파트 구매의향 및 지속적 거주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1. 이훈, "주거환경의 체계적 평가방법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6.
  12. 임소연, 김재경, 안옥희. "거주지역의 정주성 향상을 위한 연구 I : 미래주거생활주기에 따른 대구지역 대학생의 지역선호와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지, 제10권, 제4호, pp. 1-10, 1999.
  13. 표희석,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4. 한배흥, "아파트 구매에서 아파트 브랜드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5. Francescato, G., S. Weidemann, J. R. Anderson, and R. Chenoweth, "Evaluating Residents' Satisfaction in Housing for Low and Moderate Income Families: A Multimethod Approach", in Carson D.H.(ed) Man-Environment Interactions: Evaluations and Applications, Vol. 5(Methods and Measures), EDRA, 1974.
  16. Galster, G. C. and G. W. Hesser, "Residential Satisfaction: Compositional and Contextual Correlates" Environment and Behavior, Vol. 13, pp. 735-758, 1981. https://doi.org/10.1177/0013916581136006
  17. Harris, C. M.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Quality, Housing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Adaptation: A Normative Housing Study" M. S. Thesis. Ames, Iowa: Iowa State University, 1976.
  18. Weidemann, S. and J. R. Anderson, " Residents' Perceptions of Satisfaction and Safety" Environment and Behavior, Vol. 14, pp. 695-724, 1982. https://doi.org/10.1177/0013916582146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