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Impact Review and Improvement of Durability of Silicasol-cement Grout Material

실리카졸 약액의 환경영향성 검토 및 내구증진방안

  • 이병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김영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천병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6.16
  • Accepted : 2010.11.18
  • Published : 2010.12.01

Abstract

This study was made on the fact that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durability of the recently developed alkali silicasol chemical grout material. The grout material used for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its environmental impact and durability through the SEM, chemical resistance test, leaching test, permeability test. In order to compare with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regarding alkali silicasol grout material and sodium silicate grout material. As a result of SEM, the surface and internal tissues of alkali silicasol grout material could be identified to be denser than those of sodium silicate. As a result of leaching test the adaptability was identified as grout material as it had proved to be an ecological material owing to the total amount of the element to be leached being extremely little. As a result of permeability test it is judged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silicasol to the site in the place requiring the water cut-off as the silicasol.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실리카졸 그라우팅재의 환경영향성 및 내구성을 규명한 것으로써 연구에 사용된 그라우트재는 3차원 겔 형성재인 실리카졸 그라우팅제와 규산나트륨 그라우팅제에 대한 공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 촬영, 내화학성시험, 용탈시험, 투수시험 등을 통해 친환경성과 내구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전자현미경 촬영 결과 실리카졸 그라우팅제의 표면 및 내부조직이 규산나트륨보다 치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탈시험 결과 용탈되는 원소의 총량도 극히 작아 친환경적인 재료임을 입증되어 지반주입재로써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투수시험 결과 실리카졸이 차수성면에서 현장에 적용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어 차수성을 요구하는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양형칠, 천병식(2006), STPP가 규산계 시멘트 주입재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Vol. 7, No. 4, pp. 25-34.
  2. 천병식, 정덕교, 류동성(1996), 지반개량용 실리카졸계 약액의 성질 및 내구특성에 관한 연구, 연약지반처리위원회 봄 학술세미나, 한국지반공학회, pp. 30-37.
  3. 천병식(1997), 지반보강용 마이크로시멘트 및 실리카졸의 실용화 연구, 95-0084, 건설교통부, pp. 152-186.
  4. 천병식(2005), 최신 지반주입 -이론과 실제 -, 원기술, pp. 169-170.
  5. ASTM(2003), Standard Test Methods for Measurement of Hydraulic Conductivity of Saturated Porous Materials Using a Flexible Wall Permeameter, ASTM D 5084, pp. 1-23.
  6. Johnson, L. F.(2003), Grouting and Ground Treatment, ASCE, pp. 100-116.
  7. Krizek, R. J.(2000), Advances in Grouting and Ground Modification, ASCE, pp. 155-172.
  8. Mitchell, J. K. (1993). Fundamentals of soil Behaviour, 2nd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pp. 90-103.
  9. Shi, B., Wu, Z, Inyang, H., Chen, J. and Wang, B. (1999), Preparation of Soil Specimens for SEM Analysis using Freezecut- drying, Bulletin of Engineering Geology and Environment, Vol. 58, No. 1, pp. 1-7. https://doi.org/10.1007/s100640050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