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itability Evaluation of Containment Area Design Considering Suspended Solid Sedimentation

부유물 침전을 고려한 준설투기장 설계의 적합성 평가

  • 지성현 (현대건설(주) 기술/품질개발원 첨단산업기술연구부) ;
  • 김찬기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정혁상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천병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8.13
  • Accepted : 2010.09.01
  • Published : 2010.10.01

Abstract

In this study, grain size distribution of dredged soil and suspended solid distribution of supernatant in containment area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design prediction for suitability evaluation on prediction of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of supernatant in conventional design of containment area. In addition to that, relationship were also analyzed between current velocity and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of supernatant. Evaluation results show a relatively good agreement between field measurement and design prediction. On contrast, field measurement and design prediction show a quite different value each other in the early stage of dredging or at a point that current velocity increases. It is believed that this is due to that conventional design method of containment area does not account for ponding depth and current velocity which change sensitively with dredging period. Since current velocity and distribution of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measured simultaneously show a similar trend, it is observed that there exist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velocity and distribution of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Therefore, a new design method for containment area, which can consider sedimentation of suspended solid that changes with interface height of dredged soil, ponding depth, current speed of supernatant, is necessary in order to predict the situation change of containment area more precisely.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적용된 준설투기장 설계에서 준설투기장에서 배출되는 상등수의 부유물 농도 예측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위하여 실제 현장 준설 시 준설투기장 내에서 준설토의 입도분포 및 상등수의 부유물 농도 분포를 측정하여 설계 예측 값과 비교하였으며, 상등수의 유속과 부유물 농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평가 결과, 현장 측정값과 설계 예측값이 비교적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준설 초기 및 상등수 유속이 증가한 시점에서는 설계 예측값과 상이한 측정값을 보였다. 이는 기존에 적용된 준설투기장 설계법이 준설 기간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하는 준설토의 침강 깊이 및 상등수의 유속 등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준설투기장에서 동시에 측정된 유속과 부유물 농도의 분포가 유사한 경향을 보이므로 상등수의 유속과 부유물 침전이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따라서, 현장 준설투기장 상황 변화를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위하여 준설토 계면고, 침강깊이, 상등수 유속에 따라 변화하는 부유물 침전을 고려한 준설투기장 설계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유건선(2000), 해성 점토를 이용한 준설매립토의 침하해석 및 투기장 설계, 초연약 준설매지반의 특성 및 지반개량기술 특별세미나 논문집, 현대건설(주), pp. 23-53.
  2. 유남재, 박병수, 김근수(2002), 고함수비 준설매립토의 구성관계획득을 위한 역해석기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22, No. 1-C, pp. 21-31.
  3. 이송, 양태선, 황규호(1994), 준설매립점토의 자중압밀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14, No. 4, pp. 953-963.
  4. 이승원, 지성현, 유석준, 이영남(2000), 준설매립지반의 침강.압밀거동,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16, No. 4, pp. 149-156.
  5. 지성현, 허병주, 천병식(2010), 부유물 침전을 고려한 준설투기장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Vol. 11. No. 8, pp. 57-63.
  6. Imai, G.(1980), Settling Behavior of Clay Suspension, Soil and Foundations, Vol. 20, No. 2, pp. 61-77. https://doi.org/10.3208/sandf1972.20.2_61
  7. Kynch, G. J.(1952), A Theory of Sedimentation, Transaction Faraday Society, Vol. 48, pp. 166-176. https://doi.org/10.1039/tf9524800166
  8. Mehta, A.J., Hayter, W.R., Parker, R.B., Krone, R.B. and Teeter, A.M.(1989), Cohesive Sediment Transport I:Process Description, Journal of Hydraulic Eng., ASCE, Vol. 115, No. 8, pp. 1076-1093.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89)115:8(1076)
  9. USACE(1987), Confined Disposal of Dredged Material(EM1110-2-5027), US Army Corps of Engineers, Washington D.C., pp. 3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