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료 내 황토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계분 내 암모니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Yellow Loess on Performance, Blood Component Profile and Concentration in Feces in Broiler Chickens

  • 박성복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강환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방한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김민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최희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채현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유동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나재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Park, Sung-Bok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Kang, Hwan-Ku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Bang, Han-Tae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Kim, Min-Ji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Choi, Hee-Chul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Chae, Hyun-Seok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Yu, Dong-Jo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Suh, Ok-Suk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Na, Jae-Cheon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투고 : 2010.01.17
  • 심사 : 2010.02.11
  • 발행 : 2010.03.31

초록

본 실험은 사료 내 황토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 성상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육계 Ross 초생추 360수를 선발하여 3처리구 4반복 반복당 30수씩 공시하여 5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 기간 동안 체중 및 증체량은 T2 처리구가 T1 처리구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는 나타내었으며(P<0.05), 사료 섭취량 역시 T2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각 처리구간 혈액 생화학 및 혈구 분석에서는 total cholesterol은 황토 사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triglyceride는 T1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각 처리구간의 백혈구, 호중구, 단핵구 및 산호성 백혈구 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림프구는 T2 처리구가 대조구 및 T1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향후 이에 대한 좀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계분 내 암모니아 발생량은 각 치리구간 사이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사료 내 황토 첨가 시 육계의 증체량 및 사료 섭취량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가금을 이용한 황토 첨가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을 감안할 때 앞으로 이에 대한 좀더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yellow loess on performance and blood component profile in broiler chickens. A total of three hundred sixty, 1 day old broiler chicks (Ros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with 4 replicates of 30 birds each. The experiment feeds were; control (basal diet), 0~10 days (basal diet with yellow loess T1 4%, T2 2%), 11~21 days (basal diet with yellow loess T1 2%, T2 1%), 22~35 days (basal diet with yellow loess T1 1%, T2 1%). The body weight and weight gain of the broilers fed T2 diet was significant higher than the T1 and control treatment (P<0.05).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during overall period (P<0.05). Total cholesterol in all yellow loess supplemented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treatment (P<0.05), and the triglyceride of broiler fed the diet containing T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and T2 treatment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on the total white blood cell (WBC), neutrophil (NE), monocyte (MO) and eosinophil (EO) in all yellow loess supplemented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Lymphocyte of T2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1 and control treatment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on fecal ammonia gas emission, but broiler fed yellow loess was lower than the control treatment. Aa a result, dietary supplementation of yellow loess was improve to weight gain and feed intake of broiler.

키워드

참고문헌

  1. Arscott GH 1976 Personal communication. cited in Journal of Animal Sci 45:1188-1203.
  2. Duncan DB 199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erics 11:1-42.
  3. Hanson LA, Ahlstedt S, Andressonb B, Carlsson BSP, Mellander L, Porras O, Soderstrom T, The Eden CS 1985 Protective factors in milk and the development of the immune system. Pediatrics 75:658.
  4. Martin SA 1994 Potential for manipulating the gastrointestinal microflora: A review of recent progress. in Biotechnology in the Feed Industry. TP Lyons KA Jacques ed. Nottingham Univ. Press, Loughborough, Leicestershire, England. p 15.
  5. Newman K 1994 Mannan-oligosaccharides: natural polymers with significant impact on the gastrointestinal microflora and the feed industry. TP Lyons KA Jacques ed. Nottingham Univ. Press, Loughborough, Leicestershire, England. p 167.
  6. SAS Institute 1996 $SAS/STAT^{\circledR}$ Software for PC Release 6.1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7. Spandorf AH, Matterson LD, Hall K 1973 Results of feeding kaolin clay to laying hens under varying conditions. Poultry Sci 51:1867 (abstr.).
  8. 강수원 조창연 김준식 안병석 정하연 서국현 2002 한우 수송아지에 대한 황토, 일라이트, 올리고당, 활성탄 및 크롬 급여가 성장 발육 및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4:531-540.
  9. 고재우 2005 장석의 첨가가 육계, 산란계 및 돼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25.
  10. 김명국 1999 Holstein 송아지의 새로운 사양 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윤학 김명국 홍중산 이홍구 이보균 김준식 최윤재 2002 양질 조사료의 보충과 황토의 첨가 수준이 한우의 성장성적, 육질 등급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4:61-68.
  12. 류도옥 1997 황토의 신비. 행림출판사. 서울.
  13. 문윤영 남궁환 장문백 백인기 1991 사료 중 죠라이트와 칼슘 및 인의 상호작용이 계육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사료학회지 15:133-144.
  14. 손장호 박창일 1997 사료 내 맥반석 첨가가 성장 중인 육계의 배설물 수분 함량, 장내 암모니아 함량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4:179-184.
  15. 양철주 오종일 최연재 김정빈 문승태 한승관 2006 육계에서 사료내 황토 첨가가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3:263-271.
  16. 조원모 최성복 백봉현 안병석 김준식 강우성 이수기 송만강 2000 점토 광물질 첨가가 한우 송아지의 발육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2:871-880.
  17. 최일 2005 황토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1-7.
  18. 황진연 장명익 김준석 조원모 안병석 강수원 2000. 우리나라 황토(풍화토)의 구성 광물 및 화학 성분. 한국광물학회지 13:147-163.

피인용 문헌

  1. Evaluation of dietary yellow loess as an antibiotic replacer on growth, immune responses, se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resistance in rainbow trout,Oncorhynchus mykiss vol.22, pp.5, 2016, https://doi.org/10.1111/anu.12348
  2. Ped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s of Hwangto (Yellow Residual Soils), Naju, Jeollanam-do, Korea vol.47, pp.2, 2014, https://doi.org/10.9719/EEG.2014.47.2.87
  3. vol.24, pp.3, 2017, https://doi.org/10.1111/anu.12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