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암모니아 가스

Search Result 460,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합성한 그래핀의 암모니아 가스 센서 응용

  • Kim, Myeong-Eon;Kim, Se-Yun;Vu, Xuan Hien;Kim, Jeong-Ju;Heo, Yeong-U;Lee, Jun-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646-646
    • /
    • 2013
  • 그래핀은 이차원의 탄소 원자들이 벌집구조를 이루는 탄소 원자 한 층의 물질이다.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투명전극, 가스 센서, 트랜지스터 등과 같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고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그래핀의 우수한 특성을 이용해서 마이크로센서나 신축성 있는 전자소자를 위한 전도막과 같은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기상증착법 (CVD)으로 합성한 그래핀을 이용해서 암모니아 가스 센서 소자를 제작, 센서 특성을 관찰하였다. 구리 기판을 이용하여 화학기상증착법으로 그래핀을 합성하였으며 진공로에서 수소(H2)와 메탄(CH4) 가스를 사용하였다. 그래핀 합성 온도, 가스 유량 등을 변화시키며 그래핀을 합성하고, 합성된 그래핀을 구리기판을 식각용액을 이용해 제거하는 방법으로 그래핀을 전사시키는 공정거쳐 Au/Ni 전극패턴 위에 전사시킴으로 가스 센서 소자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센서 소자를 이용해 상온에서 암모니아(NH3) 가스의 유량을 변화시키며 실험하였다. 암모니아 가스가 흐를 때 그래핀에 암모니아 분자가 흡착되어 그래핀의 전기저항을 증가시켜 이를 이용해서 암모니아 가스를 감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소자는 상온에서 암모니아 가스에 민감하게 반응했으며 이는 기존의 금속산화물을 이용한 암모니아 센서는 대부분 고온에서 작동하는 점과 비교 하였을 때 가스 센서 소자로써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Study of Toxic Gas Removal Characteristics by Chemical Analysis of Essential Oil using SPME Method (SPME법을 이용한 식물정유 성분분석을 통한 유해가스 제거 특성연구)

  • 박영규
    • KSBB Journal
    • /
    • v.19 no.3
    • /
    • pp.231-235
    • /
    • 2004
  • This paper was investigated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ammonia gas removal by essential oil. First of all, the chemical analysis was peformed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an essential oil by GC-MS. The monoterpenes in an essential oil react with ammonia by neutralization and their reaction mechanism was elucidated. Based on their chemical neutralized reaction, the removal efficiencies of ammonia gas were studied to derive the optimal conditions in the scrubber tower such as optimal temperature and pH.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ammonia gas was achieved over 98 % by the misty aerosol dispersion of scrubber tower.

Integrated membrane distillation process for separation of ammonia from domestic waste water (생활폐수로부터 암모니아 분리를 위한 통합형 막증류 시스템)

  • Choi, Youngkwon;Park, Yoo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38-338
    • /
    • 2022
  • 2050년까지 탄소중립 사회구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수소도시 실현을 통한 화석연료와 탄소배출을 줄이는 방법들이 주목받고 있다. 그린수소가스의 생산 및 운송, 저장과 가스형태의 수소를 액화 수소로 압축시키는데 드는 막대한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점에 대한 대안책으로 암모니아를 캐리어로 이용하여 운송 및 저장하고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효율 향상을 위한 추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중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요소수 수입 의존도가 높음에 따라 요소수 주요성분인 암모니아와 탄산가스를 합성한 요소수 생산 방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산업계에서 석탄과 같은 석유자원에서부터 암모니아를 추출하는 방식이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암모니아 생산에 대한 석유자원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에 대한 도출 및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 맞춰 본 연구에서는 생활하수로부터 암모니아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통합형 막증류 시스템에 연구하고자 한다. 분뇨, 음식물 폐기물 침출수 등 유기성 폐기물의 수집, 운송 및 처리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에는 암모니아성 질소 및 탄소가 다량 포함되어 있어 이를 추출하여 순수한 암모니아 생산에 대해 석유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효용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와같은 생활하수는 암모니아성 질소 이외 성분들이 고농도로 포함되어 있어 암모니아 생산에 대한 원료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하수에서 암모니아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막증류(Membrane Distillation, MD) 기반의 통합 암모니아 분리기술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적용 가능성과 효율 향상에 대해 평가 하였다. 또한, 암모니아와 탄산가스 합성을 통한 요소수 생산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Matured Compost Biofiltration of Ammonia Gas from the Agitated Composting (교반식 퇴비화 암모니아가스의 부숙퇴비를 이용한 탈취성능 특성)

  • 홍지형;박금주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8 no.1
    • /
    • pp.1-8
    • /
    • 2002
  • Real sized open type biofilter system was manufactured to control the odor generated from the agitated composting system which composted swine manure and sawdust mixtures.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biofilter system using matured compost an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biofilter system. Average ammonia reduction rate through the biofilter was 84% during about two month period of composting. The maximum ammonia concentration after filtering was 45ppm lower than allowable value of 50ppm. It was concluded that compost can be used as a biofilter materials.

  • PDF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through the Analysis of an Explosion Case at Ammonia Refrigeration Facilities (암모니아 냉동시설의 폭발사례 분석을 통한 재발방지대책)

  • Ryu, Young-Jo;Lee, Min-Kyung;Lee, Su-K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0 no.3
    • /
    • pp.38-45
    • /
    • 2016
  •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release and dispersion of ammonia can create hazardous atmospheres using FLACS software. In General, ventilation or gas detector installations are recommended as preventive measures to control explosion incidents. However, the ventilation installations cannot be applicable to the refrigeration facility that uses ammonia as refrigerating medium, because the freezing room should be sealed. From the accident investigation of the explosion case, we suggested that all electronic devices were needed to be switched by explosion proof devices, and communication facility was also needed to be installed to announce to all employees within a building in case alert condition like ammonia releases occurred.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ick Film Ammonia Gas Sensor (후막형 암모니아 가스 센서의 제조 및 가스 감응 특성)

  • Yun, Dong-Hyun;Kwon, Chul-Han;Hong, Hyung-Ki;Kim, Seung-Ryeol;Lee, Kyu-Chung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6 no.6
    • /
    • pp.445-450
    • /
    • 1997
  • An ammonia gas sensor with high sensitivity using thick-film technology were fabricated and examined. The material for sensing the ammonia gas was the mixture of oxide semiconductor, $FeO_{x}-WO_{3}-SnO_{2}$. The sensor exhibits resistance increase upon exposure to low concentration of ammonia gas. The resistance of the sensor is decreased, on the other hand, for exposure to reducing gases such as ethyl alcohol, methane, propane and carbon monoxide. A novel method for detecting ammonia gas quite selectively utilizing a sensor array consisting of an ammonia gas sensor and a compensation element were proposed and developed. The compensation element is a Pt-doped $WO_{3}-SnO_{2}$ gas sensor which shows opposite direction of resistance change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ammonia gas sensor upon exposure to ammonia gas. Excellent selectivity has been achieved using the sensor array having two sensing elements.

  • PDF

The Study on the Realtime Evaluation of NH3 Absorption Efficiency Using Chemical Gas Sensor (가스센서를 활용한 암모니아 가스의 실시간 흡수 효율 평가에 관한 연구)

  • Lim, Jung-Jin;Kim, Han-Soo;Kim, Sun-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4
    • /
    • pp.233-239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realtime evaluation system of $NH_3$ absorption efficiency with gas sensors which were installed on the inlet and outlet of lab-scale scrubber system. The $NH_3$ absorption amount, calculated by sensor outcomes for 3 hr, 6 hr, and 12 hr of absorption process,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analysed by Indo-phenol method for the absorption solution. Even 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two methods was about 2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results was very high, more than 0.99. In addition, we could find very good correlation between pH, absorption amount and reaction time. Also we could find out the breakthrough time in the middle of absorption process. With more diverse experiment in the future, we can make gas sensor system for the realtime evaluation of the odor and/or air pollution treatment efficiency.

FT-IR gas analyzer를 활용한 섬유제품의 소취성 시험 분석 표준 개발 - 암모니아 가스에 대하여

  • Kim, Hyeong-Seop;Kim, Seo-Yeon;Choe, Jun-Dong;Park, Seong-U;Hong, Sang-Gi;Gang, Yu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47-148
    • /
    • 2009
  • FT-IR 가스분석기를 활용한 섬유제품의 암모니아가스에 대한 소취성 시험법 개발을 위한 연구로서 직물의 시료 크기는 지름 200mm, 순환가스의 양은 분당 8리터로 정하였으며, 분석온도는 40도씨이상, 암모니아가스의 농도는 200ppm이상, 분석시간은 2시간이상 측정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Aeration on Hog Manure Composting and Odor Control through Fresh Compost (연속 및 간헐통기가 돈분 퇴비화 및 생퇴비 탈취에 미치는 영향)

  • J. H. Hong;Park, B. M.;Park, W. L.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3 no.1
    • /
    • pp.31-48
    • /
    • 1998
  • 가축분뇨, 음식쓰레기 둥의 유기성 고형 폐기물의 퇴비화처리 과정의 성능 향상과 암모니아 가스 발생을 저감화 하려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파이로트 규모의 원통형 회분식 분해조 및 숙성조를 설계, 제작하여 퇴비화 성능과 탈취 효과를 분석하였다. 고형퇴비화 처리에 미치는 주요요인은 초기재료의 수분, 탄질비, 수소이온농도, 발효온도 및 통기조건 등이다. 돈분에 부자재인 톱밥을 혼합하여 초기 재료의 수분, 탄질비, 수소이온농도 등을 동일한 재료로서 같은 수준에 유지하고 연속통기와 간헐통기 방식으로 퇴비화하는 동안에 분해 및 숙성단계의 부위별 발효온도의 변화, 산소흡수 및 탄산가스 배출농도의 변동, 평균통기량, 재료의 평균온도 변화, 암모니아가스 배출농도의 변화 등을 분해 및 숙성 전기간을 통해 측정하고 초기재료와 숙성재료의 주요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여 퇴비화 성능과 회비 탈취 효율을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숙성과정 8일 이후의 암모니아가스 탈취효율은 연속통기법이 90%이고, 간헐통기법이 70%였으며, 분해 및 숙성과정의 발효온도, 탄산가스 발생, 암모니아가스 배출농도 및 숙성회비의 성분 둥의 결과로서 판단할 때 에 퇴비 화 소요기 간은 6주간이었다. 2. 탄산가스 배출농도 변화로서 간헐통기 퇴비화 방식은 연속통기법에 비하여 분해과정이 7일 정도 빠르고, 숙성과정이 10일 정도 단축되었으며 암모니아가스 농도도 적게 나타나고 있었다. 3. 퇴비화 분해과정이 지난 후 숙성과정 도입단계에서 퇴비재료의 혼합 교반에 따른 재료의 고온상승으로 인한 암모니아가스의 고농도화 현상의 억제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Comparison of Ammonia Mass Flow Rate between Two Ammonia Injection Positions in DeNOx system of a Horizontal HRSG (수평형 HRSG의 탈질설비에서 암모니아 분사위치 변동에 따른 암모니아 유량비교)

  • Park, Jae-Hyun;Yoo, Hoseon
    • Plant Journal
    • /
    • v.14 no.4
    • /
    • pp.48-54
    • /
    • 2018
  • As the emission limits for NOx in power generation facilities were strengthened, HRSGs installed in the 1990s became necessary to install additional DeNOx system. However, since there is no space in the HRSG for installing the entire the catalyst and ammonia injection grid, as an alternative, the catalyst was installed inside of the HRSG and the ammonia injection device was installed in the exhaust duct of the gas turbin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horizontal HRSG of Incheon combined cycle power plan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mmonia injection method in the gas turbine exhaust duct is 1.2 times higher than the HRSG internal ammonia injection method. However when operating a HRSG for 30 years as its life span, ammonia injection method in the gas turbine exhaust duct is more economical than the cost of new HRSG constru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