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patial Composition of Accommodation Area in Accommodation Barge of Offshore Plant

해양플랜트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구성 연구

  • Lee, Han-Seok (Department of Architecture & Ocean Space,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ang, Young-Hun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Doe, Geun-Young (Department of Architecture & Ocean Space,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Heo, Dong-Yun (Sang-Gi E&A)
  • 이한석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간건축학과) ;
  • 강영훈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건축공학과) ;
  • 도근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간건축학과) ;
  • 허동윤 ((주)상지E&A건축사사무소)
  • Received : 2010.09.02
  • Accepted : 2010.12.2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accommodation area in accommodation barge. The accommodation barge which is used as living facilities for offshore plants' workers can be classified into Accommodation Work Barge, Accommodation Pipe Lay Barge and Multi-purpose Accommodation Barge. We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accommodation area in Accommodation Work Barge, most frequently used, through analyzing G.A drawings of the barges. The spatial composition has great influences into the convenience and amenity for workers' daily life in the accommodation area of accommodation barge. The spatial composition of accommodation area shows many characteristics not in horizontal arrangement on any deck but in vertical space arrangement on layers of decks. The particular types of vertical space composition can be classified into 'Centralized Type' and 'Dispersive Type'. These two types will be the basis of space planning for new accommodation barge.

본 논문은 해양플랜트 전용거주시설로 사용되고 있는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생활바지선은 Accommodation Work Barge, Accommodation Pipe Lay Barge, Multi-purpose Accommodation Barge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Accommodation Work Barge를 대상으로 실적선 GA도면 분석을 통해 거주구 공간구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거주구 공간구성은 거주자의 생활 편리함과 쾌적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구성특성은 수평적 공간배치 보다는 수직방향에 따른 층별 공간배치에 있다.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구성은 '거주공간', '서비스공간', '업무공간'이 층별로 집중되어 나타나는 '집중형'과 각 공간이 층별로 분산되어 나타나는 '분산형'으로 구분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훈(2010), 거주용 부선 거주구 공간배치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변량선(2005), 크루즈선 거주구역의 인테리어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이한석, 도근영 (2010), 해양플랜트 거주구의 최적설계기법 연구보고서,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선도 해양플랜트 인재양성센터
  4. 이한석, 박명규, 한창용 (2000), “대형 크루즈 선박의 승객 거주구역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 학회논문집 23호, pp9-18
  5. 차선일(2009), 해양플랜트 객실공간 디자인 특성에 관한 인간공학적 설계를 위한 요소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한국선급 IMO 사무국 번역(1994), 최신해상인명안전협약 SOLAS, 해인출판사
  7. National Offshore Petroleum Safety Authority(2007), Discussion Paper-Offshore Accommodation Standards

Cited by

  1. A Study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Survival Rate for the Offshore Accommodation Barge Resident Using Fire Dynamic Simulation vol.21, pp.6, 2015, https://doi.org/10.7837/kosomes.2015.21.6.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