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To evaluate medications at the end of life car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during their last admission. Methods: Medical record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during their last admission from July 2003 to April 2008 at a district academic hospital were evaluated. Patient's characteristics, therapeutic drug classification during their last admission and on the patient's day of death, and the administrated route and number of medications on the patient's day of death were analyzed. Results: Total 81 patients were included. The median patient age was 63 years. The median length of admission was 18 days (range: 1~101). 54% of the patients had more than one comorbidities.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drugs during the last admission were opioid analgesics (63%), followed by antibiotics (58%) and antacids (53%). On the day of death, common medications were antibiotics (59%), antacids (58%), and opioid analgesics (46%). Intravenous injection was given to 81% of the patients and intramuscular injection was given to 16% of the patients on the day of patient's death. Number of medications prescribed to patients was between 0 and 11 (median: 3) and 12% (10/81) of the patients took over 8 medications including intravenous and oral drugs on the day of death. 6% (5/81) of the patients took potentially futile medications, like multivitamin or statin until the day of death.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otentially futile medications and uncomfortable care were given to terminal cancer patients. Multicenter-based studies are necessary to diminish futile medications by essential medication at the end of life car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목적: 말기 암환자들의 여명 돌봄 시 약제들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방법: 2005년 7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말기 암환자들의 임종 전 마지막 입원시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환자의 특성, 동반질환, 마지막입원 시와 임종당일 치료약제 분류, 임종일 약제 투여경로와 약제 가지 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81명의 환자가 포함되었고 환자의 중앙 연령은 63세였다. 중앙재원기간은 18일(범위: 1~101)이었다. 54%의 환자들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동반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 입원 시 가장 많이 처방된 약제들은 오피오이드 진통제(63%), 항생제(58%), 제산제와 항궤양제(53%)였고 임종당일 흔한 약제들은 항생제(59%), 제산제와 항궤양제(58%), 마약성 진통제(46%) 순이었다. 임종당일 정맥 내 주입은 81%의 환자에게 투여되었고 근육주사는 16%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임종당일 경구약제 투여 가지 수는 0에서 11가지 사이(중앙값: 3)였고 12% (10/81)의 환자들은 정맥 및 경구 투여 포함하여 8가지 이상의 약제를 복용하였다. 6% (5/81) 환자들은 비타민이나 스타틴 계열의 약제들을 임종 시까지 복용하고 있었다. 결론: 이 연구는 말기 암환자들에게 의미가 없을 수 있는 약제들과 이로 인한 불편한 돌봄이 제공됨을 시사한다. 말기 암환자들의 여명 돌봄 시 필수약제들의 투여와 불필요한 약제의 투여 중단으로 무의미한 약제투여를 줄이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