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Theory

소비자-브랜드관계이론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 Kim, Moon-Ta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김문태 (부산가톨릭대학교 유통경영정보학부)
  • Received : 2010.02.04
  • Accepted : 2010.03.12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e concept that human and brand can related to each other is referred to as 'brand relationship' or 'consumer-brand relationship. By arguing that the concept of brand relationship is a readily understandable analogue, it appears that relationship thinking in the context of consumers and brands sometimes is taken for granted without thoroughly discussing its applicability.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tests the limitations with the relationship metaph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ory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product categories. And research findings as follow like these. First, even if many companies seek to anthropomorphize their brands, consumers may still don't consider them as human. Second, the possibility of personification is much higher in product categories like lead higher interaction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and give higher enjoyment than those of lower. And finally, consumer's personification of products are not essential factors that lead higher brand relationship.

사람과 브랜드가 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개념은 '브랜드 관계' 또는 '소비자-브랜드 관계'라는 개념으로 논의되어 왔다. 브랜드 관계의 질이 높으면 해당 기업은 마케팅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소비자 보유율을 높일 수 있으며 브랜드 자산을 높임으로써 결과적으로 더 높은 수익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연구주제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브랜드관계이론의 적용가능성을 제대로 논의하지 못하고 연구자의 관점에서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관계사고는 당연시 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브랜드 의인화의 타당성 및 본 논문은 구체적인 브랜드 유형별 관계전략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는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기업들이 그들의 브랜드에 의인화 마케팅전략을 시도하지만 실제,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그렇게 많이 의인화하지 않을 수 있다. 둘째, 의인화의 가능성은 소비자와 브랜드간의 상호작용성이 높고 즐거움을 많이 주는 제품군일수록 더욱 높았으나 브랜드 관계에는 이러한 점이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소비자의 브랜드 의인화정도가 높다는 것이 브랜드 관계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은 아니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