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북한자료의 이용확대를 위한 협력모형 구축 방안

A Study on Building Cooperation Model for the Public Availability of Materials and Information on North Korea

  • Song, Sung-Seob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Ministry of Unification)
  • 투고 : 2010.03.05
  • 심사 : 2010.03.26
  • 발행 : 2010.04.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나라의 특수자료 취급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 이론적 배경이 되는 '특수자료취급지침'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 북한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전국의 특수자료 취급기관 가운데 대표적인 감독부처인 통일부와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특수자료취급기관의 특수자료 보유현황과 활용실적을 조사하였다. 다음, 분석 결과와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열악한 자료 이용 환경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제도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특수자료의 이용과 취급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조정, 통제할 수 있는 종합적인 관리 기구로써 '북한정보자료교류협의회'의 구성과 이를 통해 전국의 '특수자료취급기관'간 유기적인 협조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협력모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irstly considered the changing processes of the 'guideline on dealing with restricted materials and information' which had been theoretical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the dealing situations of materials and information on North Korea.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material possessions which were located in restricted-materials-dealing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Ministry of Unification and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also researched using results of the materials. Through the investigation analysis and precedent studies, problems caused by poor material using conditions were found and institutional developing plans were sought.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nterchange Council for North Korean Information and Materials' be constructed as a general management organization which controls many problems caused by using and treat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on North Korea and cooperative models that can lead organic connection among all institutions for dealing with restricted materials and inform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정보원. 특수자료취급지침, 2009.12.1 (제6차 개정).
  2. 김귀옥. 2002. 통일사료의 축적과 북한자료의 공개.확대 방안 연구. 2002 신진연구자 북한 및 통일관련 논문집, 3: 1-77.
  3. 김영기. 1991. 대학도서관에 있어서 공산권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대 학기논고집, 1: 84-91.
  4. 김정규. 2006. 대학도서관의 북한자료 관리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5. 민족21, 2003. 특수자료 아닌 통일자료로 거듭나야, 8월 24일, 104-105.
  6. 송승섭. 1999. 국가기록물로서의 '통일사료'의 관리방안. 문헌정보학논집, 6: 49-94.
  7. 송승섭. 2002. 북한자료의 수집과 관리. 국회도서관보, 39(5): 57-84.
  8. 신영석. 1988. 공산권자료 개방과 북한자료 공개 의미. 통일한국, 58: 40-41.
  9. 이영종. 1998. 새정부, '특수자료취급지침' 폐지 검토: 북한언론 개방 현황과 전망. 신문과 방송, 326: 86-89.
  10. 이우영, 전영선. 2009. 북한자료 공개제도 개선 방안 연구. 현대북한연구, 12(2): 62-97.
  11. 정분희. 2006. 도서관 면책 규정에 따른 북한저작물 보호와 이용 활성화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163-194. https://doi.org/10.4275/KSLIS.2006.40.1.163
  12. 정일용. 1998. 우선 특수자료취급지침부터 폐지해야. 신문과 방송, 329: 55-59.
  13. 조남현. 1991. 북한자료 개방 물꼬 트일까. 통일한국, 88: 81-85.
  14. 한국. 통일부. 2009. 통일부자료관리규정. [서울]: 통일부.
  15. 한국기자협회, 2007. 취재불편 초래.시대착오적 법규, 7월 4일. [인용 2010.02.15]. .
  16. 홍선표. 2007. 대학도서관의 북한자료의 공개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