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파트너십 관계-개방형 혁신 프로세스 프레임워크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Framework for Partner Relationships and Open Innovation Processes

  • 조부연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
  • 신기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서비스실) ;
  • 박광태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 투고 : 2010.03.02
  • 심사 : 2010.04.01
  • 발행 : 2010.04.30

초록

글로벌 지식환경이 변화하면서 기업과 연구조직의 혁신활동도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 현상이 개방형 혁신이다. 조직의 경계를 넘는 지식흐름의 방향에 따라 내향형, 외향형, 상호형 개방으로 혁신 프로세스가 나누어져 왔으나, 파트너와의 관계를 고려한 프레임워크에 대한 논의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혁신 프로세스와 협업 파트너와의 관계를 두 축으로 하여 파트너십 관계-개방형 혁신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또한, 2002년에서 2009년까지 언론을 통해 공표된 개방형 혁신사례를 제시된 프레임워크에 따라 분류하여, 국내 개방형 혁신 현황을 분석하였다. 352건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조인트 벤처 관계에서 상호형 혁신 프로세스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과 2009년에 개방형 혁신이 급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대기업 중심 사례연구에서 발견하지 못한 상호협력형 사례들을 다수 발견하면서, 개방형 혁신 주체로서의 대학 및 출연(연)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Open innovation is a phenomenon that has been widely accepted by both practice and theory over the last few years. On the contrary, partner relationships have attracted little attention while the open innovation could not be emerged without the link to partners. This paper identifies and evaluates a framework for the partner relationships and open innovation processes. Based on the literatures regarding open innovation and partner relationships, we propose the framework of matrix type. We present results based on 352 open innovation cases reported during 2002-2009, and each case is classified into 5 different categories of the framework. JV-C(Joint Venture relationship & Coupled process) archetype has dominated the cases with 178 cases(50.6%) where JV-O(Joint Venture relationship & Outside-In process) follows JV-C with 124 cases(35.2%). No significant change has been found in the number of cases after 2003 when open innovation firstly suggested. However, the number sharply increases in 2009 by boom in JV-C and JV-O. Thes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partner relationships and preference toward Joint Venture relationship in open innovation, while the conventional approaches has just focused on value-chain partnership. We find remarkable collaboration cases contributed by universities and government invested research centers, so the role of non-profit R&D organizations has also been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석관. 2009. 개방형 혁신이 공공부문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 STEPI Insight, 28호.
  2. 김석관 외. 2008. 개방형 혁신의 산업별 특성과 시사점. 정책연구, 2008-10.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 김성홍. 2007. 개방형 기술혁신을 위한 산업별 혁신 네트워크 구축전략 수립.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 박성욱. 2008. 국가 지식정보시스템 개발의 경제적 효과 분석: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정보기술연구, 39(3): 73-94.
  5. 복득규, 이원희. 2008. 한국제조업의 개방형 기술혁신 현황과 효과분석. SERI Issue Paper, 2008. 1. 29.
  6. 송완흡. 2008.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KISTEP Issue Paper, 2008-05호.
  7. 오동훈. 2008. 개방형 혁신의 세계적인 추세와 정책방향. KISTEP Issue Paper, 2008-08호.
  8. 윤병운. 2008. 중소기업의 오픈 이노베이션: 모델, 방법론, 정책을 중심으로. 정책자료, 2008-12.
  9. 윤진효, 2008. Open Innovation의 국내 적용가능성 탐색연구. 제419회 정책&지식 온라인 포럼, 2008년 12월 15일. [서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한국정책지식센터].
  10. 이철원. 2008a. 개방형 혁신 패러다임으로 경제 발전의 효율성을 높이자. 과학기술정책, 18(3): 23-31.
  11. 이철원. 2008b. 개방형혁신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기술 중개조직(innomediary)의 모색. 과학기술정책, 18(5): 34-40.
  12. Chesbrough, H. W. 2003a. Open Innovation: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3. Chesbrough, H. W. 2003b. "Open Platform Innovation: Creating Value from Internal and External Innovation." Intel Technology Journal, 7(3): 5-9.
  14. Chesbrough, H. W. 2003c. "The Era of Open Innovation." Sloan Management Review, 44(3): 35-41.
  15. Chesbrough, H. W. 2006a. Open Business Models: How to Thrive in the New Innovation Landscap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6. Chesbrough, H. W. 2006b. Open Innovation: Researching a New Paradig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12.
  17. Chesbrough, H. W. 2007. "Why Companies Should Have Open Business Models." Sloan Management Review, 48(2): 22-28.
  18. Dowlatshahi, S. 1998. "Implementing Early Supplier Involvement: a Conceptual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18(2): 143-167. https://doi.org/10.1108/01443579810193285
  19. Enkel. E., Gassmann, O. and Chesbrough, H. W. 2009. "Open R&D and Open Innovation: Exploring the Phenomenon." R&D Management, 39(4): 311-316. https://doi.org/10.1111/j.1467-9310.2009.00570.x
  20. Gassmann, O., Enkel. E. 2004. "Towards a Theory of Open Innovation: Three Core Process Archetypes." R&D Management Conference(RADMA), 1-18.
  21. Hippel, E. 1987. The Sources of Innov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2. Holsti, O. R. 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MA: Addison-Wesley.
  23. Huston, L. and Sakkab, N. 2006. "Connect and Development: Inside Procter & Gamble's New Model for Innov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84(3).
  24. Kanter, R. M. 1994. "Collaborative Advantage: The Art of Alliances." Harvard Business Review, 72(Jul-Aug): 96-108.
  25. Narayanan, V. K. 2001. Managing Technology and Innovation for Competitive Advantage.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