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afety Evaluation of Individual Intersection Considering the Bio-Response (Electroencephalography) an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생체반응(뇌파)과 인지평가 특성에 의한 개별 교차로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 남궁문 (원광대학교 토목환경도시공학부) ;
  • 이병주 ((주)해오름이엔씨 교통계획부) ;
  • 서임기 (도로교통연구원 교통연구실 교통안전팀)
  • Received : 2010.01.26
  • Accepted : 2010.04.1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As majority of the traffic accidents in intersections is caused by human factor, a close examination is required on its contributing factors through measuring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 according to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drivers and the road conditions. In this study, for the safety evaluation of individual intersection considering human factors of the drivers, electroencephalography reaction was measured utilizing cutting-edge measuring equipment and survey on drivers' cognitive characteristics in ordinary times and while driving test was condu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oencephalography response when approaching the intersection and cognitive evaluation survey data in driving test was clarified, and individual intersection safety evaluation model was built considering cognitive evaluation factor and the reaction of a bio-response electroencephalography data. As a result, I could find out that cognitive evaluation was made through the reaction of a bio-response (Electroencephalography) process because electroencephalography reaction of a bio-response showed differently b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section and cognitive evaluation had a difference.

교차로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은 인적요인에 의한 교통사고가 대부분 차지하고 있어 운전자들의 주행특성 및 교통상황에 따른 심리적 생리적 변화측정을 통해 영향 요인 규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들의 인적요인을 고려한 개별 교차로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최첨단 계측장비를 활용한 뇌파반응을 측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평상시와 주행 실험시 운전자들의 인지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차로 접근시 뇌파변화와 주행실험 인지평가조사 자료의 관계성을 규명하고, 주행실험의 인지평가요인과 생체적 반응 뇌파데이터를 고려한 개별 교차로 안전성 평가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교차로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생체반응 뇌파가 다르게 나타나고 인지평가 또한 차이가 있어 주행시 생체반응(뇌파)과정을 통해 인지평가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응철, 이동민, 김도훈(2008) 지방부 신호교차로 안전성 판단을 위한 사고예측모형, 한국도로학회지, 한국도로학회, 제10권 제4호, pp. 56-63.
  2. 김준, 송기상(2009) 이러닝 적용을 위한 뇌파기반 인지부하측정, 인지과학, 제20권 제2호, pp. 125-154.
  3. 박정순, 박길수, 김태영, 박병호(2008) 신호교차로의 측면직각 충돌사고 특성과 심각도, 한국도로학회지, 한국도로학회, 제10권 제4호, pp. 199-211.
  4. 이동민, 김응철, 성낙문, 김도훈(2008) 지방부 비신호 교차로 교통사고 심각도 예측모형 개발, 한국도로학회지, 한국도로학회, 제10권 제3호, pp. 47-56.
  5. 이수범(2001) 인적요인이 도로설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교통개발 연구원
  6. 이환승(2006) 교통안전진단 결과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요인분석 연구, 대한안전학회지, 대한안전학회, Vol. 8, No. 2, pp. 128-137.
  7. 전용욱(2002) AHS에서 Platoon의 속도와 거리 변화에 따른 운전자의 생체신호와 감성평가,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8. 전효정(2002) 자동차 시뮬레이터에서의 급출발 및 급제동에 따른 운전자 감성평가, 한국감성과학회지, 한국감성과학회, Vol. 5, No. 4, pp. 51-57.
  9. 하오근, 허억, 원제무(2008) 신호교차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사고심각도 모형개발, 한국안전학회지. 한국안전학회, Vol. 23, No. 2, pp. 65-71.
  10. 塚口博司, 本田龍, 里見潤(2009) 步行時の身休エネルギ一消費に關する一考察, 交通工學硏究會, Vol. 44, No. 4, pp. 97-105.
  11. 松尾幸二郞, 廣畠康裕, 三浦鑛司(2008) 幹線道路における右折レ一ンの無い交差点進入路の追突事故要因の分析, 土木計畵學硏究發表會, Vol. 38. pp. 1-4.
  12. 萩田賢司, 井川泉, 浦井芳洋, 宮下直也, 土屋三智久(2004), 無信號交差点における出會い頭事故の分析, 交通工學硏究會, Vol. 39, No. 6, pp. 79-82.
  13. 岡村法宜(2004) 乘用車運轉中のFm$\theta$運轉狀況との關係一, 愛媛立醫療技術大學紀要, 第1券 第1號, pp. 17-23.
  14. Bauer. Harwood (1996) Statistical models of at-grade intersection accidents, Final Technical Report, FHWARD-96-125.
  15. Lal, S. K. L. and Craig, A. (2005) Reproducibility of the spectral components of the electroencephalogram during driver fatigu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Vol. 55, pp. 137-143.
  16. Leisch, J. P. (1989) horizontal sight distance considerations in freeway and interchange reconstruct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208, pp. 80-84.
  17. Jun Su Ha and Poong Hyun Song (2005) An Experimental Study : EEG Analysis with Eye Fixation Data during Complex Diagnostic Tasks in Nuclear Power Plants.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uture I&C for NPPs(ISOF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