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ecking the Validity of 'Nongak' and 'Pungmul', and Objection to the Criticism of 'Nongak'

'농악(農樂)'과 '풍물(風物)'의 타당성 검토와 '농악(農樂)' 비판에 대한 반론

  • Received : 2009.10.24
  • Accepted : 2009.12.08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is essay is a study aimed at rationality and utility of two terms, 'Nongak' and 'Pungmul'. I examined how the terms have been today, by diachrony based on review of historical material. I tried to secure the historical context and basis about my argument, quoting many historical material from Korea Dynasty period, Joseon Dynasty period and the colonial period of the imperial Japan during 1910-45 to today. I examined many objective arguments about the 'Nongak', and pointed out the mistake of the objective argument. And I examined the means and rationality of the terms, 'Nongak', 'Pungmul', 'Pungmulgut', 'Pungmulnory'. The 'Pungmul' has been used as the means of instrument for a long time from Joseon Dynasty period. It is only rational using as the means of instrument but as the means of Performance of Nongak considering the historical legitimacy. The 'Pungmul' is Sino-Korean word, not korean native letter. The Pungmulgut means the 'ritual by Pungmul', so it can be recognized the rationality, but have a weak point that it is a neologism being made by some intellectuals in 1980s. In addition to, it is not used im performing field. 'Pungmulnory' has a limit to call the Nongak as a synthetic art. 'Nongak'means a synthetic art that farmers who were absolute majority in agrarian society of Korea have made and developed. So I conclude that 'Nongak'is the best rational term.

이 글은 '농악(農樂)'과 '풍물(風物)' 두 용어의 합리성과 효용성에 관한 논의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사료검토를 바탕으로 한 통시적 고찰을 통하여 '농악'과 '풍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에 이르렀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사료를 인용하여 논의의 역사적 맥락과 근거를 확보하려 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고찰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까지 '농악'에 가해진 많은 비판적 논의들을 검토하고 그 오류를 지적하였다. 본론에서는 '농악'을 비판한 의견들에 대한 재반론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농악'과 '풍물', '풍물굿'과 '풍물놀이' 등의 용어를 포괄하여 그 의미와 합리성을 검토하였다. '풍물'은 조선시대부터 악기의 의미로 수백 년 동안 사용되어 왔고 현재에도 악기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 용어는 역사적 정통성을 고려할 때 공연양식으로서의 '농악'을 나타내는 말이 아니라'농악에 사용되는 악기'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매우 합리적이다. '풍물'이 한자말이 아니라 순우리말이라는 주장에는 동의할 만한 논거가 보이지 않으므로 이 말이 한자말이라는 것은 재삼 강조해 둔다. '풍물굿'은 '풍물로 하는 굿'이라는 의미로 글자 그대로 보아서는 나름대로의 합리성은 인정되지만 1980년대 소수의 지식인들이 만들어 낸 신조어라는 약점을 안고 있다. 더구나 현장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풍물놀이'는 종합예술인 농악을 지칭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놀이, 제의, 연극, 음악, 무용 등이 종합적으로 결합된 농악을 놀이라고 한정하여 이야기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농악'은 농경사회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했던 농민들 스스로가 창조하고 발전시킨 민중적 종합예술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며 전통성, 사용빈도, 인지도 등으로 보아서 가장 합리적인 용어라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