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수동굴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고수동굴의 환경실태에 관한 연구

  • 홍시환;김병우;유재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24
    • /
    • pp.42-72
    • /
    • 1990
  • 고수동굴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받고 있는 자연자원이다. 우리나라에는 실로 1,000여개소에 달하는 동굴들이 있다고는 하나 그중에서도 이제까지 20여개소도 못되는 동굴들이 선발되어 천연 또는 지방기념물로 지정보호 받고 있는 것이다. 따라 이 고수동굴이야말로 다른 어느 동굴보다도 가장 학술적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는 동굴이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Specific Character of Tourist-commercial District around Gosu - Cave (고수동굴 주변 관광상업지역의 특성)

  • 홍현철;유영준;홍충렬;장상태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6 no.47
    • /
    • pp.19-34
    • /
    • 1996
  • 고수동굴이 1973년의 종합학술조사 이래 관광지로서 개발된 이후에 동굴 주변의 상업지역이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가를 살피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1996년 6월 11일 고수동굴 주변의 상점 46개의 경영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전체 상점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25개 업소들이 80년대에 개업하였고 90년 이후에 19개 업소가 상점을 개설했다. 둘째, 상점 경영 동기로는 고수동굴을 찾는 관광객이 많아 수익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상점을 개점했다는 경우가 절반 정도(47.8%)에 해당하고, 내 고향 자랑과 지역발전의 일환으로 개점한 경우와 관광사업 발전을 위해 개점한 경우가 20% 내외였다. 셋째, 고수동굴 주변 상점의 경영주들은 일반사업을 하다가 전직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관광사업, 오락장 등을 포함하면 상업 종사자들이 전체의 48% 정도에 해당하여 상업관련 종사자들의 전업이 가장 많았다. 넷째, 상점의 규모는 90년대에 개업한 상점일수록 규모가 커지고 있고, 이것은 경영주를 제외한 종업원의 운영과도 관계가 있어 상점 규모가 클수록 종업원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영주의 학력은 고졸 이상의 고학력자들이 상점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고수동굴만의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상점의 업종을 구분한 결과 기념품점과 식당이 각각 37.0%, 34.8%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고수동굴이 다른 관광명소와 색다른 특성이 없어 관광객들의 구매욕구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상점들(80.4%)이 일자리와 주거를 구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아직까지 절반 가량(52.2%)의 상점들이 다른 사람 소유의 건물을 전 ·월세로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수동굴 주변의 상업적 특성은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자기 고장에 있는 관광자원을 내 고향의 자랑거리로 생각하고 이를 지역발전의 밑거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관광지로서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다른 관광동굴과의 차별성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다른 지역의 기념품점에서 구입할 수 없는 고수동굴만이 갖고 있는 특징적인 기념품을 판매함으로써 관광객의 구매욕구를 높인다거나 고수동굴의 일주관광 후 관광객을 좀 더 머무르게 할 수 있는 시설의 개발이 더 필요하다.

  • PDF

고수동굴의 이차생성물에 관한 지형학적 분석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2 no.33
    • /
    • pp.13-43
    • /
    • 1993
  • 고수동굴을 비롯한 수많은 석회동굴 속에는 많은 퇴적물들이 있다. 특히 사력, 점토 등 여러가지 종류의 퇴적물이 있는데 때로는 동굴내에 점토로 메꾸어져 있는 곳도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퇴적물들을 동굴 퇴적물이라고 부른다. 물론 때로는 이차생성물 중에서 석순이나 석주 등을 동굴퇴적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는 동굴속에 이몰되고 있는 사력이나 토사를 가리킨다. 이 고수동굴속에서도 많은 동굴 퇴적물층이 발견되고 있다. 그 동굴 퇴적물 가운데서는 고생물의 화석이나 때로는 토기 파편까지도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동굴 퇴적물들의 화석들을 분석 판별함으로써 동굴 생성의 과정을 판독할 수 있다.(중략)

  • PDF

고수동굴 신동지구의 재정비 방안

  • 신승철;윤길진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22
    • /
    • pp.67-84
    • /
    • 1990
  • 현재 고수동굴은 과다한 인동객의 쇄도로 점차 동굴 환경이 오염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 사실이다. 물론 관리 당국자에 의하여 계속적인 환경안전 대책에 주력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원래 관광개발은 즉 자연 환경의 파괴를 초래하는 것이 뒤따르는 것이 상식이듯이 고수동굴도 그 예외는 아니어서 점차 자연이 훼손되어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중략)

  • PDF

고수동굴의 교통 및 관광특성에 관한 연구

  • 홍현철;유영준;김일봉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2 no.33
    • /
    • pp.47-62
    • /
    • 1993
  • 충주댐은 1978년에 착공하여 1985년에 완공된 것으로 유역면적은 6,664$\textrm{km}^2$이고, 총저수량은 27억 5천만㎥에 달한다(건설부, 1987). 고수동굴은 이러한 충주호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충주호권 내에 속하고 있다. 특히 이 주변지역은 충주댐의 건설로 인한 주변지역의 교통과 관광적 측면에서 많은 환경변화를 초래한 지역으로 고수동굴도 이러한 지역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통과 관광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렇게 극심한 환경변화와 더불어 관광지로서 급성장된 고수동굴과 주변지역의 교통과 관광 특성을 밝히는 것에 중점을 둔다.(중략)

  • PDF

고수동굴의 지질에 관한 연구

  • 정창희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2 no.33
    • /
    • pp.63-76
    • /
    • 1993
  • 고수동굴은 우리나라 중부내륙에 해당되는 태백산지 서사면에 있는 석회동굴이다. 이 동굴은 행정상으로는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고수리에 위치하고 경위도상으로는 동경 128$^{\circ}$23'06", 북위 36$^{\circ}$59'08"지점에 있다. 그리고 자연적 위치에서 보면 남한강 상류의 지류인 금곡천이 유입하는 북면인 높이 696m의 등우봉(높이 430m)의 남사면에 해당되는 해발 170m 지점에 위치한다.(중략)

  • PDF

고수동굴과 그 주변의 재개발구상

  • 김홍운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8 no.9
    • /
    • pp.54-65
    • /
    • 1983
  • 우리나라에서 동굴의 개발역사는 약15년에 불과하지만 그것이 학술적으로나 관광적 측면에서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 가운데 특히 제주도의 만장굴이나 울진의 성유굴, 영월의 고씨굴과 단양의 고수동굴은 일급지의 관광지로 등장하고 있다. (중략)

  • PDF

고수동굴의 환경변화

  • 홍현철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82-83
    • /
    • 1994
  • 고수동굴은 1976년 9철 2일자로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256호로 지정받았으며 학교법인 유신학원 박창원 이사장에 의하여 관광동굴로 개발되어 일반인에게 공개하게 되었다. 이 동굴의 환경변화는 동굴이 생성되면서 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자연적인 동굴의 성장과정에서 겪어야 하는 자연환경의 변화 때문에 동굴이 형성시기초부터 환경이 변화되고 생태도 달라지기 때문에 결국은 동굴 환경이 파괴되기도 하고 변화되기도 한다. 그러나 근본적인 환경변화는 동굴의 개발되어 공개된 이후 부터 급격하게 일어나게 되는데 특히 동굴의 파괴와 훼손현상은 동굴의 생태변화를 촉진시키게 되는 것이다.(중략)

  • PDF

고수동굴의 환경 보전

  • 한상봉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6.09a
    • /
    • pp.86-87
    • /
    • 1996
  • 고수동굴은 1976년 9월 2일자로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 255호로 지정 받았으며, 학교법인 유신학운 박창원 이사장에 의하여 관광동굴로 개발되어 일반인에게 공개되기 시작했다. 이 동굴의 환경 변화는 동굴이 생성되면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자연적인 동굴의 성장과정에서 겪어야 하는 자연환경이 변화 때문에 동굴의 형성되기 시작한 초부터 변화되고 생태도 달라지기 때문에 동굴환경 이 파괴되기도 하고 변화하기도 한다. 그러나 근본적인 환경 변화는 동굴이 개발되어 공개된 이후부터 급격하게 일어나게 되는데, 특히 동굴의 파괴와 훼손현상은 동굴의 생태 변화를 촉진시키게 되는 것이다.(중략)

  • PDF

고수동굴의 동굴지형적 고찰

  • 서무송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 no.2
    • /
    • pp.7-8
    • /
    • 1976
  • 고수동굴명은 원래 고수동명에서 유래된 것이나 시대의 변천을 따라 키큰풀 藁가 예 古로 변한 것 뿐이다. 이 마을의 역사를 더듬어 보면, 멀리 임진왜란(1592)과 연관된 전설일화가 있으니, 한양을 떠나 피난길에 오른 밀양박씨 형제분중 아우는 청주에 정착하고 형은 안식처를 찾아 계속남하중 말의 발병으로 키큰풀이 우거진 이곳에 정착하여 고수라 부른 것이 오늘의 고수리의 기원이며 밀양박씨 13대손 박노환씨가 거주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