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asic of Viewpoint of Enter the Government Service and Live in Seclusion from Nam-myoung's a Personal Criticism

남명(南冥)의 인물평(人物評)을 통해 본 출처관(出處觀)의 기저(基底)

  • Received : 2009.02.13
  • Accepted : 2009.03.07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Prior studies on Nam-myoung characteristics used to focus on practical confucianism of "Kyeong Eui (Respect and righteousness)" ideology. However, in the strict sense, what are the elements that can define Nam-myoung as a historical figure and as he has been in his time and after his death? Is it his philosophy established and derived from respect and righteousness? For this, I have a quite different view. All of literatures about Nam-myoung from his and his posterity time consistently most highly valued the idea of "Entering the government service and live in seclusion" advocated by Nam-myoung who consistently refused to be assigned any post from the government.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his idea by examining his personality and to find out the basis of his idea implied through the examination. He discussed the practices of "Entering the government service and live in seclusion" of other historical and present figures of his time through critical examination on them. For setting the reference for determining the reasonability for their practice of such idea, Nam-myoung pointed out "foresight" for understanding "Gimi (shade)" of which "Gi" is the diverging point of good and evil. He understood if one puts aside self-interest and observes the law of nature, one would be a good and lucky man but if one includes self-interest in the law of nature one would be a wicked man. His view on anyone entering government service when the time is against the person to obtain the post or when the person is unable to fill the post satisfactorily, was that they are 'people with self-interest' and therefore their practice of entering the government service and living in seclusion is wrong.

남명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남명학의 특징을 경의(敬義)사상의 실천유학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역사적 인물로서의 남명을, 그의 당대에서나 그의 사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가장 남명답게 규정짓는 요소는 무엇인가? 경과 의로 정립된 그의 철학인가? 이 점에 있어 필자는 다소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당대나 후세에 남명을 평가한 모든 글들에서는 한결같이 출처(出處)에 있어 처사(處士)로서의 지조를 끝까지 지킨 남명의 출처사상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고는 그의 출처관을 그 자신의 인물평(人物評)을 통하여 살펴보고, 나아가 그러한 인물평의 저변에 깔려 있는 출처사상의 바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는 역사적 인물들과 당대의 인물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서 그들의 출처를 논하였다. 남명은 그 출처가 합당한가 아닌가에 대한 기준으로서 기미를 파악하는 선견지명을 꼽았는데, 이때의 '기(幾)'는 바로 선과 악으로 나뉘는 분기점인 것이다. 기미의 순간에 인욕을 배제하고 천리를 잘 보존하게 된다면 바로 길인(吉人)이 되고, 인욕이 천리에 포함되게 되면 바로 악인(惡人)이 되는 것으로 파악한 것이다. 벼슬길에 나아감에 있어서도 일을 '할 수 없는 시기'에 나아가는 것이나, '할 수 없는 일'을 하려고 하는 것은 모두 인욕이 개입된 것으로 보았으니, 곧 그 출처가 잘못된 것이라는 관점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