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formation and influence about the epigraph form the Bal-Hae Dynasty

발해 묘지(墓誌) 양식의 형성배경과 영향

  • Received : 2009.03.03
  • Accepted : 2009.03.28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Few data on the epigraph from the Bal-Hae Dynasty have been reported so far. The present paper,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style of the epitaphic tombstones of Princess Jeong-Hye and Princess Jeong-Hyo, investigates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alhae's epitaphic style and its influences on the posterior periods. The epitaphs from the Bal-Hae Dynasty have the following epigraphic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s. First, Bal-Hae's epitaphs are similar to those from the Goguryeo Dynasty in the sense that they are angular in their form. Tombstones with angular head first appeared during the East Han period. During the Wi-Jin period, however, as tombstones were not allowed to be erected in front of the tomb, small-sized epitaphic tombstones were set up inside tombs. Typical tombstones from the Dang Dynasty had stone pole and square cover. Unlike those from the Dang and the Tong-Il Silla Dynasties, however, the epitaphs from Bal-Hae had angular head in their tombstone body. The Bal-Hae's angular headed tombstones are very likely to testify that Goguryeo's epitaphs, which features an influence from the Wi-Jin Nambuk-Jo period, in turn exerted an effect on those from the Bal-Hae Dynasty. Second, Bal-Hae's epitaphic tombstones are characterized by their hexagonal head,which were modified from the then typical pentagonal head by cutting out the sharp point. The hexagonal head, which has not been found in its neighboring countries during the same historical period, is peculiar to the epitaphic tombstones from the Bal-Hae Dynasty. Third, the edge lines and ornamental figures first appeared in Bal-Hae's epitaphic tombstones, as seen in those of Princess Jeong-Hye. In the fa?ade of the epitaphic tombstone, a carved line demarcates its rectangular body and trapezoidal head. Four faces of the body stonehave two parallel lines in their edges within which vignette was inscribed, and the trapezoidal head part was ornamented with flower figures. Fourth, Bal-Hae's epitaphic tombstone had an extensive influence on the posterior countries in its neighborhood. The epitaphic tombstones in the Bal-Hae style are very often found in those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Yo Dynasty which were greatly influenced from Bal-Hae. The vestiges of Bal-Hae's epitaphic style are also found in those from the Song, the Geum, and the Won Dynasties.

본고에서는 정혜(貞惠) 정효(貞孝)공주의 묘지(墓誌)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발해 묘지 양식의 형성 배경과 특징 그리고 후대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발해의 묘지 양식은 다음과 같은 고고학적인 특징과 역사적인 의의를 지니고 있다. 첫째, 발해의 묘지는 규형(圭形)의 비갈(碑碣) 형태를 띠고 있는데, 규형으로 된 비(碑)는 동한(東漢) 시대에 처음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위진(魏晉) 시대에 이르러 무덤 앞에 묘비 세우는 것을 엄격하게 규제함에 따라 무덤 안에 규모가 작은 비갈 형태의 묘지가 출현하였다. 그러나 출토된 발해의 묘지 2점은 동시대의 당나라나 통일 신라의 그것과는 달리 규형의 비갈 양식을 띠고 있다. 이는 위진 남북조 시기의 비갈 양식이 고구려에 영향을 끼쳤고 다시 고구려의 비갈 양식이 고분벽화와 함께 발해의 묘지 제작 방식에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인근 왕조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발해는 스스로의 독특한 묘지 양식을 발전시켜왔다. 발해의 묘지 형태는 전형적인 규형(5각형)에서 뾰족한 윗부분을 다시 반으로 나누고 가로로 윗부분을 잘라 내어 사다리꼴의 변형된 규형(6각형)으로 변화 되었는데, 이는 이전과 동시대의 주변국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고유한 양식이다. 셋째, 정혜공주묘지 정면의 테두리선과 문양도 새롭게 등장하는 양식으로, 발해의 묘지에서는 미학적인 기준이 중요하게 고려되었던 듯하다. 정혜공주의 묘지는 우선 비 몸돌의 정면에 실선을 새겨 넣어 장방형의 몸체와 사다리꼴의 이수(?首) 부분으로 구분하고, 다시 사면의 가장자리에서 두 선을 긋고 그 사이에 식물의 덩굴문양을 새겼으며, 윗부분의 사다리꼴 안에는 꽃문양을 새겨 넣음으로써 한층 화려한 모습을 보인다. 넷째, 발해의 묘지 양식은 인근 지역에 성립된 후대 왕조의 묘지 양식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발해의 영향을 받은 고려는 물론 요, 송, 금, 원 등의 묘지에서도 발해묘지 양식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