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해(渤海)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1초

발해 묘지(墓誌) 양식의 형성배경과 영향 (The study on the formation and influence about the epigraph form the Bal-Hae Dynasty)

  • 박재복
    • 동양고전연구
    • /
    • 제34호
    • /
    • pp.225-255
    • /
    • 2009
  • 본고에서는 정혜(貞惠) 정효(貞孝)공주의 묘지(墓誌)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발해 묘지 양식의 형성 배경과 특징 그리고 후대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발해의 묘지 양식은 다음과 같은 고고학적인 특징과 역사적인 의의를 지니고 있다. 첫째, 발해의 묘지는 규형(圭形)의 비갈(碑碣) 형태를 띠고 있는데, 규형으로 된 비(碑)는 동한(東漢) 시대에 처음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위진(魏晉) 시대에 이르러 무덤 앞에 묘비 세우는 것을 엄격하게 규제함에 따라 무덤 안에 규모가 작은 비갈 형태의 묘지가 출현하였다. 그러나 출토된 발해의 묘지 2점은 동시대의 당나라나 통일 신라의 그것과는 달리 규형의 비갈 양식을 띠고 있다. 이는 위진 남북조 시기의 비갈 양식이 고구려에 영향을 끼쳤고 다시 고구려의 비갈 양식이 고분벽화와 함께 발해의 묘지 제작 방식에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인근 왕조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발해는 스스로의 독특한 묘지 양식을 발전시켜왔다. 발해의 묘지 형태는 전형적인 규형(5각형)에서 뾰족한 윗부분을 다시 반으로 나누고 가로로 윗부분을 잘라 내어 사다리꼴의 변형된 규형(6각형)으로 변화 되었는데, 이는 이전과 동시대의 주변국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고유한 양식이다. 셋째, 정혜공주묘지 정면의 테두리선과 문양도 새롭게 등장하는 양식으로, 발해의 묘지에서는 미학적인 기준이 중요하게 고려되었던 듯하다. 정혜공주의 묘지는 우선 비 몸돌의 정면에 실선을 새겨 넣어 장방형의 몸체와 사다리꼴의 이수(?首) 부분으로 구분하고, 다시 사면의 가장자리에서 두 선을 긋고 그 사이에 식물의 덩굴문양을 새겼으며, 윗부분의 사다리꼴 안에는 꽃문양을 새겨 넣음으로써 한층 화려한 모습을 보인다. 넷째, 발해의 묘지 양식은 인근 지역에 성립된 후대 왕조의 묘지 양식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발해의 영향을 받은 고려는 물론 요, 송, 금, 원 등의 묘지에서도 발해묘지 양식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의 조성 배경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the Rock-cut Sculpture of Two Buddhas Seated Side-by-Side in Wonpung-ri, Goesan)

  • 정성권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224-243
    • /
    • 2020
  • 괴산 원풍리 마애불병좌상은 보물 제97호로 지정되어 있는 초대형 마애불이다. 이불병좌상은 발해에서 동경용원부를 중심으로 성행하였던 불상이나 신라나 고려에서는 조성 사례가 매우 희박하다. 본문에서는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의 조성 시기를 10세기 후반기인 광종 집권기로 파악할 수 있었다.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이 소백산맥을 넘는 주요 교통로 입구에 조성된 이유는 진천과 청주 세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진천과 청주는 광종에 앞서 재위하였던 고려 2대, 3대 왕인 혜종과 정종의 처가 세력들의 세거지였다. 이들은 광종이 가장 경계했던 호족들이었다. 마애이불병 좌상의 제작에는 중앙 정부의 후원 하에 충주와 문경 지역 장인들이 참여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문경 지역 장인들의 경우 발해 유민들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의 제작에 발해 유민들이 참여하였을 가능성은 마애불이 발해에서 유행하였던 이불병좌상인 점, 협시보살 보관의 특징이 발해적 요소가 확인되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와 함께 각연사 비로자나불좌상 광배 후면의 불패형 불탑이 발해적 요소라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또한 고려시대 발해 왕실 후예로 추정되는 대씨는 조선시대에 들어와 대개 태씨로 기록되어 있으며 태씨들의 집단 거주지가 문경이라는 점을 통해 발해 유민들이 고려초 문경에 정착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은 소백산맥을 넘어 경상도 북부와 충청도 중부 지역을 왕래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고려 왕실의 권위를 보여주는 불상이라 할 수 있다. 그 권위는 한 때 광종에 대항하여 권력 투쟁을 벌였던 진천과 청주의 호족 세력들을 직접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거대한 이불병좌상을 주요 교통로에 조성한 이유는 후삼국 시기 이후 고려에 내투한 수만의 발해 사람들이 광종을 지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또한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은 10세기 후반 경 광종대의 시대적 상황과 조각사의 흐름이 잘 반영되어 있는 의미 있는 불상이라 할 수 있다.

석국묘 출토 발해 삼채 여용의 복식 연구 (A Study on the Costumes of Two Women Statuettes Made with Three Colored Ceramic Parhae Dynasty, Excavated from a Tomb in Shiguo(석국))

  • 김민지;이순원
    • 복식
    • /
    • 제50권3호
    • /
    • pp.43-58
    • /
    • 2000
  • This study is an analysis on the costumes of two statuettes of standing women made with three colored cermai excavated from Parhae tomb in Shiguo(석국), Chilin province(길림성), China. These statuettes wear similar clothing ; A narrow sleeved under-blouse with a decollette neckline and a long skirt tied above the bosom. But their hairstyles are quite different ; one has a bun top of the head which tipped slightly forward. the other has two buns with two loops near ears. Their shoes are a little different: in the former the top of the shoes are a little crooked, but in the latter they are high-fronted and more crooked. These two statueettes are valueable and unique source which demonstrates the female costumes of Parhae dynasty, and at the same time which accounts for the acceptance and assimilation of costumes of Tang dynasty. Base upon the analysis on their costumes, hairstyles , and their expressions of the body shape, two statuettes seem to be made after the early 8th century.

  • PDF

발해의학(渤海醫學)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edical Science of Balhae(渤海))

  • 이정록;김홍균;유원준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133
    • /
    • 2006
  • This study was examined to reveal the medical Science of Balhae which was not well displayed until now. For this, the category of the medical science of Balhae(渤海) was decided in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 an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medical science of Balhae(渤海) was presumed. Balhae(渤海) succeeded to the medical science of Koguryo(高句麗) and its orthodoxy. Through the interchange between Balhae(渤海) and the country as Dang(唐) and Shilla(新羅), Balhae(渤海) accepted new medical knowledge. Balhae(渤海) had a customs to eat a cake made of rice flour and artemisia paste on the Tano Festival(端午) to overcome its constitutional character. And medicines as Gon-po(昆布), Doo-shi were treated valuable. and they used Ondol(溫突). Balhae(渤海) advanced suigeneris abscess medicine(治腫醫學), and they valued much of Hyangyak(鄕藥). And they took the serious view on the scripture in the education and on the simplic in the clinic. It shows Balhae(渤海) had the unique medical tradition of our nation. The medical institution and medical educational system of Balhae(渤海) was fundamental to that of Koguryo(高句麗), and it was established in the reference of the system of Dang(唐) and Shilla(新羅). It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system and medical education of Corea(高麗) later on. And the medical doctor of the Balhae(渤海) who was dispatched to Japan imparted the advanced medicine of Balhae(渤海) and it was fundamental to the Japanese medical development. Balhae(渤海) produced superior acupuncture on the basis of superior materials which are represented as metalwork technology and Corea-copper(高麗銅) which are handed down from the Old-Chosun(古朝鮮) and Koguryo(高句麗). And we can suppose the level of Balhae(渤海) through the fact that the acupunctual technique of Koguryo(高句麗) was spread out to the nearby country. By the tradition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 theory of Bi-bo(裨補) that cure a disease on the theory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ppeared in the north and south branch period(南北國時代). And we can prusure the level of acupuncture of Balhae(渤海) through this fact. Balhae(渤海) educated herbal medicine with priority given to Shin-nong-bon-cho-kyong(神農本草經) stand on the serious view on the scripture. They produced a various herbs on the basis of broad territory and suigeneris herbal medicine. It is famous herb of Balhae(渤海), that To-sa-ja, Gon-po(昆布), Doo-shi, Ginseng(人蔘), Woo-hwang(牛黃), Song-ja(松子), Hwang-myung-kyo (黃明膠), Baek-bu-ja(白附子), Sa-hyang(麝香), Honey(蜜).

  • PDF

세계 각국의 전차의 발전추세 (1)

  • 박성원
    • 국방과기술
    • /
    • 3호통권181호
    • /
    • pp.42-55
    • /
    • 1994
  • 항공우주산업과 첨단무기체계의 발달로 전차의 중요성이 간과되어 가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그러나 지상전력에 있어 전차의 중요성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이것은 지난 걸프전에서 소련의 T-72 전차를 모든 면에서 압도한 M1의 위력에서 잘 나타났다 이에 세계 각국에서 추진되는 전차의 발전 추세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있을 것이다. 이 글은 국과연에서 정기적으로 발해하는 "국방기술동향" 제1호에 게재된 내용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