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riculums in the Nonprofit Sector of th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Focused on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경영학과 비영리부문의 교과과정 분석: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Noh, Mi-Jin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ere has been minimal research regarding nonprofit sectors in th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many research have processed a structure aspect. And there is no studies of curriculums in nonprofit sectors.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amine the degree of opening about nonprofit subjects in th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MBA which are established in the main universities of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And it is to find the activation plans about subjects relevance to nonprofit in domestic universities. We classified the systematization level, educational level, and curriculum level based on the Wish & Mirabella(1998), and analyzed nonprofit curriculums opened in th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MBA of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The results shows that the systematization level, educational level, and curriculum level in domestic universities are lower than universities of United States. Thi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needs for the research institutes of the nonprofit sector, establishment of degree courses, education of expert, curriculum opening and others to activate the nonprofit field in domestics universities.

경영학에서 비영리 분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며, 대부분의 연구들은 조직측면에서 진행되어 왔으므로, 비영리 부문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주요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경영학부 및 석사과정에서 비영리 관련 과목의 개설 정도를 조사하고 분석한 후, 국내 대학교의 비영리 관련 과목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Wish & Mirabella(1998)의 연구를 기반으로 비영리 분야를 제도화 수준, 교육수준, 커리큘럼 수준으로 분류하였으며, 한국과 미국의 경영학부 및 석사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비영리 관련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대학교에 비해 국내 대학교의 비영리 분야에 대한 제도화 수준, 교육수준, 커리큘럼 수준은 낮은 편이였다. 국내 대학교의 비영리 분야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비영리 분야의 연구소 및 학위 과정 개설, 전문가 육성, 교과과정 개설 등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상필, "비영리단체(NPO)의 개념틀 정립을 위한 이론적 논의", 한국행정연구, 제8권, pp. 159-182, 1999.
  2. N. B. Wish, and R. M. Mirabella, "Curricular Variations in Nonprofit Management Graduate Programs", Nonprofit Management & Leadership, Vol. 9, pp. 99-109, 1998. https://doi.org/10.1002/nml.9108
  3. 김시영, 노인만, "지방정부와 NPO간 협력관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6권, pp. 203-227, 2004.
  4. 정무권, "정부와 NGO의 관계: 개념화의 문제와 이론적 쟁점", 사회과학논평, 제21권, pp. 93-139, 2001.
  5. 한준구, 문형구, "비영리조직의 경영학적 접근에 대한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제2권, 제2호, pp. 47-98, 2003.
  6. 서용구, 시장을 창조하는 마케팅 시장에 끌려가는 마케팅, 시대의 창, 2003.
  7. 주성수, 시민사회와 3섹터, 한양대학교, 1999.
  8. 이은승, 이성철, "대학사회봉사 관리체계 분석 연구", 홀리스틱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pp. 99-115, 2007.
  9. 이혜경, "일본의 비영리부문: 역사적 배경과 구조적 특성," 동서연구, 제13권, 제1호, pp. 5-49, 2001.
  10. http://www.e-welfare.go.kr.
  11. 황덕순, "한국 비영리기관의 현황과 특징", 월간노동 리뷰, pp. 27-38, 2007.
  12. 한준구, 문형구, "비영리조직의 경영학적 접근에 대한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제.2권, 제2호, pp. 47-98, 2003.
  13. 김승현, "미국의 비영리부문에 관한 연구: 역할과 성격의 변화", 국제.지역연구, 제6권, 제2호, pp. 27-48, 1997.
  14. 미국방부/국제정보프로그램국, "미국의 대학교육", Society & Value, pp. 1-63, 2005.
  15. http://usnews.com
  16. http://maincc.hufs.ac.kr
  17. http://www.postech.ac.kr
  18. http://www.kaist.ac.kr
  19. http://www.snu.ac.kr
  20. http://www.yonsei.ac.kr
  21. http://www.korea.ac.kr
  22. http://www.skku.ac.kr
  23. http://www.hanyang.ac.kr
  24. http://www.sogang.ac.kr
  25. http://www.ewha.ac.kr
  26. http://www.inha.ac.kr
  27. http://www.hbs.edu
  28. http://www.stanford.edu
  29. http://kellogg.northwestern.edu
  30. http://www.bus.umich.edu
  31. http://www.wharton.upenn.edu
  32. http://www.tuck.dartmouth.edu
  33. http://www.darden.virginia.edu
  34. http://www.duke.edu
  35. http://www.gsb.columbia.edu
  36. http://www.haas.berkeley.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