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Contents of Serial Drama of Japanese Public Broadcasting - Centered on NHK Morning Dramas -

일본 공영방송 드라마 콘텐츠의 공공성 분석 - NHK TV 아침드라마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9.09.28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how NHK, a Japanese public broadcasting company, has promoted the public interest through the contents of its serial dramas including "morning dramas." Study results indicate that NHK has made utmost efforts to promote public interest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ing regulations stipulated in the Japanese Broadcasting Art. The study shows that NHK has adopted policies to protect transitional cultures of the past and to promote new cultures through drama contents. NHK has shown its intention to protect traditional cultures by broadcasting completely not only the values that Japanese people have upheld but also traditional cultures and people's professional spirits of Japan. The study also shows that NHK makes efforts to contribute to community development with the drama contents. It appears that NHK attaches a great importance on its public promise with viewers by early fixing and well observing the broadcasting season, period, and time of morning dramas in an efforts to promote their public interest.

본 연구는 '일본의 공영방송인 NHK가 '아침드라마' 등 드라마 콘텐츠를 통해 어떻게 방송의 공공성을 실현해가고 있는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연구결과 NHK의 드라마 콘텐츠는 일본의 방송법이 정하고 있는 프로그램 편성의 규정에 따라 공공성을 최대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HK는 드라마 콘텐츠를 통해 과거의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새로운 문화를 육성 및 보급하기 위한 정책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HK의 드라마는 일본 사람들이 간직해온 가치관은 물론 전통문화와 직업정신까지 고스란히 담아냄으로써 방송을 통해 전통문화를 수호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NHK는 또 드라마 콘텐츠를 통해 지역발전이라는 공공성에 충실하고자 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공영방송인 NHK는 아침드라마의 공익성 실현을 위해 드라마의 방송시기, 방송기간, 방송시간 등을 미리 정해놓고 이를 철저하게 준수하는 등 시청자와의 공적 약속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형철, "공영방송의 새로운 정체성", 방송연구, 제64호, pp.7-33, 2007.
  2. 배진아, "공영방송의 공적 책무성", 방송연구, 제 64호, pp.74-101, 2007.
  3. 백미숙, "시청자와 공영방송의 편성 전략 - 대중 오락과 뉴스 저널리즘을 중심으로", 방송연구, 제64호, pp.102-130, 2007
  4. 변동현, 김유화, "디지털 시대 공영방송의 위상에 관한 연구-편성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0-4호, pp.80-120, 2006.
  5. 박성명, "방송 프로그램 시청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가을철 학술대회 논문집, pp.206-220, 2000.
  6. 홍지아, "일본 학원 드라마의 장르적 특성", 한국 방송학보, 제20-1호, pp.445-477, 2006.
  7. 강명구, 김수아, 서주희, "동아시아 텔레비전 드 라마가 재현한 가족과 가족관계-한국, 중국, 일본, 대만의 사례 비교",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 6호, pp.25-51, 2008.
  8. 심미선, "지상파방송의 편성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7-4호, pp.37-75, 2003.
  9. 민영, 이정교, 김태용, "주시청시간대 지상파 텔 레비전의 폭력성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5호, pp.84-126, 2007.
  10. 한균태, 하승태, 서영남, 조의현, "지상파 텔레비 전의 어린이 프로그램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1호, pp.311-351, 2007.
  11. 부정남, "내용분석의 발전과정", 신문학보, 제17 호, pp.125-131, 1984.
  12. 김성태, "국내 내용분석 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고찰 및 제언", 커뮤니케이션이론, 제1권, 제2호, pp.39-66, 2005.
  13. 윤희일, 디지털시대의 일본방송,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5.
  14. 부정남, "내용분석의 발전과정", 신문학보, 제17 호, pp.125-131, 1984.
  15. 차배근, "사회과학연구방법", 세영사, 1979.
  16. Joseph R. Dominick and M. C. Pearce, "Trends in Network prime-Time Programming, 1953-74," Journal of communication, Winter, p.71, 1976. https://doi.org/10.1111/j.1460-2466.1976.tb01360.x
  17. 방정배, 김재철, "디지털 시대 공영방송의 공적 가치와 역할에 관한 의식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0-1호, pp.96-138, 2006.
  18. 차배근, "사회과학연구방법", 세영사, 1979.
  19. H. Kassarjian, "Content Analysis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4, No.2, pp.8-18, 1977. https://doi.org/10.1086/208674